View : 1090 Download: 0

한국전쟁 전시 납북자 문제 분석

Title
한국전쟁 전시 납북자 문제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rean War Abductees : Application of Transitional Justice mechanisms and tasks
Authors
남기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대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chanisms of transitional justice which were applied to solve the problem of Korean War Abductees. Moreover, the study includes considerations and measures for the remaining parts of this incomplete project. South Korean citizens who were forcibly taken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June 25 1950 ~ July 27 1953) are referred to as the ‘Korean War abductees.’ According to the official announcement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2017, there have been 94,121 abductees during the three year period of the war. As matter of fact, excluding the number of the few who were either foreigners or fled by personal will during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none of the abductees have returned to this day. As a solution for the matter, transitional justice was accomplished on two separate occasions. The first was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public of Korea,’ which was organized for five years from 2005 to 2010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 second was the ‘Committee on Fact-finding Korean War Abductions and the Restoration of the Reputation on the Victim,’ which was operated for 7 years between 2010 and 2017. The Korean government's application to the issue of Korean War abductees was a truth commission, a nonprofit mechanism, which contributed to the restoration of honor and dignity of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The two put an end to their projects by the former submitting a ‘Comprehensive Report’ in 2010, and the latter by submitting the ‘Fact-finding Report on Abductions during the Korean War.’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and the ‘Committee on Fact-finding Korean War Abductions and the Restoration of the Reputation on the Victim’ left the following achievements. First, after the military regime of the 1960s and the 1990s in South Korea, the issue of the abductees which were not dealt with due to ideological prejudice was publicized and were finally treated as the civilian casualties of the Korean War. Secondly, the two have clearly defined the perpetrator as North Korea and made new attempts to realize the transition period beyond the investigation of simple facts and the scale of the damage. Third, they were able to put forward the issue of abductees to the human rights agenda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netheless, the realization of justice for the abductees is yet complete. The judicial and retributional justice those the victims’ families desperately needs, are merely left up to the future regime change due to variou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First, although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its sovereignty reaches North Korea, it is impossible to exercise judicial power in reality. Second, North Korea is not part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law or the ‘Rome Statute,’ and even then, the ‘Rome Statute’ treats only cases from 2002 onwards. Therefore, there remains the question of how to apply the ‘Rome Statute’ to solve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problem including the abductees issue. Third, there is a chance that the abductee matter may be dealt in preference to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but this requires a unanimous consent of the UN Security Council.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China or Russia will approve it. Fourth, even if all conditions are met, both the victims of the abduction and the perpetrators of the incident are highly likely to be deceased of old age, so if there is no public authority,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is problem by trial. Finally, even if the perpetrators are alive, there remains the question of to what extent the individuals were responsible for the event. In addition to the realization of judicial justice, it is also necessary to realize restorative justice which can be done through history education, national campaigns, academic activities, various commemorative projects, active utilization of existing memorials for abductees, cultural arts and literature projects. Such restorative justification can at least prevent social forgetting of the incident and heal the wounds of the victims’ families. Of course, the acknowledgement and apology for their deeds by North Korea holds the foremost importanc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쟁 시기 전시 납북자 문제 해결에 적용된 전환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 유형과 작동기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나아가 과제로 남은 부분에 대한 대책을 고민하는 것까지 연구목적으로 포함한다. 전시 납북자는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타결까지 3년간의 한국전쟁 기간 동안 북한 당국에 의해 강제로 연행되어 입북한 남한의 민간인을 일컫는다. 전쟁 3년 동안 대한민국 정부 공식발표(2017)에 의하면 94,121명의 전시 납북자가 발생하였으며 스스로 도망쳐 귀환한 극소수의 생환자와 휴전협정 시 귀환한 역시 극소수의 외국인 납북자를 제외하면 사실상 한 명의 전시 납북자도 귀향하지 못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환기 정의가 두 차례에 걸쳐 실현되었다. 한국 정부는 2005~2010년 사이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를 운영하였고 2010~2017년 사이 ‘6·25전쟁납북진상규명위원회’를 운영하였다. 한국 정부가 전시 납북자 문제에 적용한 전환기 정의 기제는 비사법적 기제인 진실위원회였고, 이는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의 명예회복, 존엄성 회복 등에 기여하였다. 전자는 2010년 『종합보고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후자는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조사보고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활동을 마무리하였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와 ‘6·25전쟁납북진상규명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성과를 남겼다. 첫째, 1960~1990년대 군사정권 시기 이후 사상적 편견 때문에 다뤄지지 않았던 전시 납북자 문제를 공론화 하고 이를 한국전쟁 민간인 피해로 다루었다는 점이다. 둘째, 단순한 피해 사실 및 규모 조사를 넘어 가해자를 북한으로 명확히 규정하고 전환기 정의 실현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전시 납북자 문제를 북한 인권 문제와 관련시켜 국제사회가 주목하는 인권 의제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시 납북자 문제 전환기 정의 실현은 해결하지 못한 과제를 남겼다. 여러 가지 제약 때문에 피해자 가족이 원하는 현실적이고 사법적·응보적인 정의 실현은 미래의 체제 전환에 맡겼다는 점이다. 그 제약이란 첫째, 대한민국 헌법 상 북한지역은 우리 주권이 미치는 곳이지만 현실적으로 사법권 행사가 불가능하다. 둘째, 북한이 국제형사법 즉 「로마규정」 협약국이 아니고 「로마규정」은 2002년 이후의 사건만을 다루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로마규정」을 어떻게 북한 인권 문제―전시 납북자 문제 해결에 적용할 것인가의 숙제가 남아 있다. 셋째, 국제관습법을 우선하여 이 문제를 다룰 수 있다는 견해가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유엔 안보리의 만장일치 찬성이 필요하다. 하지만 중국, 러시아 등이 찬성여부는 불확실하다. 넷째, 모든 조건이 마련된다 해도 전시 납북 피해자와 사건 가해자 모두 고령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그렇다면 공소권이 없는 상태라 이 문제를 재판으로 해결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끝으로, 가해자가 생존해 있다 해도 어느 범위까지 책임을 물을 것인가의 문제도 남아있다. 또한 당장 실현이 어려운 사법적 정의 외에 회복적 정의 실현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역사 교육, 대 국민 캠페인, 학술활동, 각종 기념사업과 현존하는 전시 납북자 기념관의 적극 활용, 문화예술 및 문학 프로젝트 등이 있다. 이같은 회복적 정의 실현은 최소한 사건에 대한 사회의 망각을 저지하고 피해자 가족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 물론 이 모든 고민에 앞서 북한의 사실 인정과 진정한 사과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