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남녀 청소년의 집단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괴롭힘 방관 및 방어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남녀 청소년의 집단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괴롭힘 방관 및 방어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 on Adolescents' Bystanding and Defending Behaviors of Peer Bullying : Moderating Effect of Peer Conformity
Authors
김지원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청소년의 집단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괴롭힘 방관 및 방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또래동조성이 조절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4곳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314명(남학생 167명, 여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남녀 청소년의 집단의 도덕적 이탈은 Bandura 등(1996)의 도덕적 이탈 척도(MMDS: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Scale)를 Gini 등(2014)이 수정한 학급 집단의 도덕적 이탈(Class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을 번역 후 역번역 과정을 거쳐 사용하였다. 또래괴롭힘 방관 및 방어 행동은 Salmivalli 등(1996)이 개발한 참여자 역할 질문지(PRQ: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를 서미정(2008)이 수정 및 보완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또래동조성은 Berndt(1979)가 개발한 또래동조성 척도(PCI: Peer Conformity Inventory)를 조윤주와 정옥분(2009)이 수정 및 보완한 것을 정지혜(2018)가 일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 행동 중 방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또래동조성이 조절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남학생의 경우 집단의 도덕적 이탈이 높을수록, 또래동조성이 높을수록 방관 행동을 많이 하였고, 여학생의 경우 또래동조성이 높을수록 방관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의 도덕적 이탈이 방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또래동조성이 조절하였다. 즉, 또래동조성의 정도에 따라 집단의 도덕적 이탈과 방어 행동 간 관계가 달라졌다. 이러한 조절효과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집단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괴롭힘 방관 및 방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또래동조성이 조절하는지 검증하여 관련 변인들 간의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들이 방관하는 행동을 줄이고 피해자를 돕는 방어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 집단의 도덕적 이탈, 또래동조성을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방관 및 방어 행동과 관련된 개인내적요인과 환경적 변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학교 현장 및 또래괴롭힘 예방 프로그램과 상담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peer conformity controls the effect of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 of adolescents on bystanding and defending behavior that is around peer bullying. A total of 314 middle school students(boys: 167, girls: 147)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regarding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 peer conformity, bystanding and defending behaviors of peer bullying.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items from the Class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Gini et al, 2014), Peer Conformity Inventory (PCI; Berndt, 1979), and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 (PRQ; Salmivali et al, 1996).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er conformity failed to control the effect of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 on the bystanding behavior. However, in the case of boys higher the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 and peer conformity, the more bystanding behavior appeared. In the case of girls higher peer conformity, the more bystanding behavior appeared. Second, the effect of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 on defending behavior was controlled by peer conformity.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 and defending behavior has chang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peer conformity. These control effects were significant in both boys and girls. This study provided essential information that expanded understanding the relevant variables by verifying whether the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 has an effect on bystanding and defending behavior of peer bullying.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to consider gender,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 and peer conformity to increase defending behavior to reduce bystand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personal factor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related to the bystanding and defending behavior of peer bullying, and they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school field and peer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and counsel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