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4 Download: 0

감상 음악 내 리듬분할패턴에 따른 노인의 정서가 인식 예비연구

Title
감상 음악 내 리듬분할패턴에 따른 노인의 정서가 인식 예비연구
Other Titles
A pilot study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rhythm division pattern
Authors
조화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감상음악 내 리듬분할패턴에 따른 노인의 정서가 인식 및 정서 강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예비연구이다. 리듬의 분할패턴이 다른 두 가지의 음악을 감상한 후, 만 65세 이상의 노인의 정서가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은 경로당, 노인대학, 노인종합복지시설 등의 노인이용시설에서 모집된 116명 중에서 내용이 불충분하거나 연령기준에 부적합한 19명을 제외하여 총 9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16분음표로 지속적으로 분할되는 정기적 리듬패턴의 음악과 4분음표 이하로 분할되는 비정기적 리듬패턴의 음악을 각각 2분 동안 감상하도록 했으며, 행복, 슬픔, 분노, 두려움의 4가지 정서유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느껴지는 정서강도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은 16분음표로 분할된 정기적 리듬패턴에서 높은 비율로 긍정적 정서로 인식하였으며 평균적으로 6.5의 비교적 높은 강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리듬분할의 패턴에 따른 노인의 정서반응 차이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음악관련 활동 경험의 유무가 리듬이 분할된 음악에 대한 정서강도와 관련이 있었으며, 감상시간이 길수록 16분음표의 정기적 리듬분할 패턴이 사용된 곡에서 강한 정서가 유도됨이 확인되었다. 노인의 음악배경에 따라 정서반응에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연구과정에서 노인의 음악적 배경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리듬분할패턴에 따른 노인의 정서인식 차이의 가능성을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 리듬적 요소에 따른 노인의 정서반응연구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감상자의 음악배경에 따른 리듬적 요소 내 정서인식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a pilot study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emotion recognition and emotion intensity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rhythm division patter in the listening to the music. After listening to two different rhythmic pattern music,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emotions of elderly over 65 years old. Among the 116 elderly who were recruited from elderly facilities such as the senior center, elderly college, and elderly welfare facilities, 19 were excluded because of inadequate responses, so 97 responses were analyzed. Regular rhythm pattern music divided by sixteenth notes and non-periodic rhythm patter music divided by below quarter notes were provided to listen for 2 minutes each, and elderly checked one of four emotional types of happiness, sadness, anger, and fear. As a result, first, elderly perceived the positive emotion as a high rate in the periodic rhythm pattern divided by the sixteenth note, and recognized as a relatively high intensity of 6.5 on the average. This resul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he difference of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rhythm division pattern. Second, the presence of experience of music-related activities of the elderly was related to the intensity of the emotional reaction to the rhythm division music, and the strong emotion was induced when the listening time was longer in the music using the regular sixteenth notes division pattern.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details of the musical background of the elderly in the research process because the emotional response differs according to the musical background of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ossibility of the difference of the emotion percep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rhythm patter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ntinuing attention of the elderly to the rhythm factor is needed in the future research ant also suggest to identify differences in emotional perception in rhythmic elements according to participants’musical backgrou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