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남자 대학생의 자기조절 자원 고갈과 성적 대상화 가해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남자 대학생의 자기조절 자원 고갈과 성적 대상화 가해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elf-Regulatory Resources Depletion and Sexual Objectification Perpetration of Male University Students on Aggression
Authors
김엘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성적 대상화 가해는 높은 강간통념 수용, 성폭력 가해 경험 등 성적 공격성(sexual aggression)과 긴밀한 연관성을 보이는 변인이다(Hocket, Smith, Klausing, & Saucier, 2015; Suarez & Gadalla, 2010). 기존 성적 대상화 가해 연구는 성적 공격성에만 초점을 맞추었지만, 성적 대상화 가해가 공격성의 선행 변인으로 꼽히는 비인간화(dehumanization)를 야기하는 점을 고려할 때(Anderson & Bushman, 2002), 성적 대상화 가해는 성적 공격성이 아닌 일반적 공격성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라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적 대상화 가해가 성적 공격성 뿐 아니라 비(非)성적 공격성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성적 대상화 가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자기조절 자원의 고갈에 주목하였으며(Tyler, Calogero, & Adams, 2016), 자기조절 자원 고갈의 여부에 따라 성적 대상화 가해와 공격성의 관계가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성인진입기에 해당하는 남자 대학생 83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 참여자들은 성적 대상화 자극(수영복 모델의 사진)을 본 뒤 실험 조건에 따라 성적 대상화 가해 혹은 비가해를 했다. 그 뒤 사진 속 모델에 대해 지각한 비인간화 수준을 측정했다. 실험 2에서 참여자들은 먼저 자기조절 자원 고갈 혹은 비고갈 조건에 따라 과제를 수행한 뒤, 성적 대상화 자극을 관찰하며 가해를 하지 않는 지시를 따랐다. 이어서 참여자들의 여성/남성 집단을 대상으로 한 공격성 수준을 측정하였다. 참여자들 중 불성실 응답자 2명을 제외한 81명의 결과에 대해 독립표변 t검증과 이원혼합 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1에서 성적 대상화 가해를 한 참여자들이 가해를 하지 않은 참여자들보다 더 높은 수준의 비인간화를 보고했다. 구체적으로, 성적 대상화 가해 조건의 참여자들은 사진 속 여성의 도덕성, 유능성과 사회성을 낮다고 지각하였다. 실험 2에서 자기조절 자원 고갈 과제를 수행한 참여자들은 비고갈 과제를 수행한 참여자들보다 과제가 더 어렵고 힘들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자기조절 자원이 고갈된 참여자들은 성적 대상화 자극을 본 뒤 더 높은 공격성 수준을 보고하였다. 이때 여성 및 남성 집단 대상 공격성 수준에 있어 유의미한 집단차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성적 대상화 가해가 대상화 된 인물에 대한 비인간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자기조절 자원이 고갈되었을 때 성적화된(sexualized) 대상을 성적 대상화하는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성적이 아닌, 일반적 공격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 대학생의 성적 대상화 가해가 여성에 대한 비인간화 뿐 아니라 여성/남성 대상 구분 없이 공격성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를 감소시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Perpetrat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is a variable that shows a close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related to sexual aggression, such as high rape myth acceptance and past perpetration of sexual violence (Hocket, Smith, Klausing, & Saucier, 2015; Suarez & Gadalla, 2010). Although most studies on perpetrat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has focused on sexual aggress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dehumanization, a variable that is known to be a preceding factor for general aggression (Anderson & Bushman, 2002), could be caused by perpetrat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Tyler, Calogero, & Adams, 2016), this study postulated that perpetrat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could also lead to general aggression.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perpetrat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could influence not only sexual aggression but also general aggression. Specifically, this study has paid a close attention to the previous finding that the depletion of self-regulatory resources could influence perpetrat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Tyler, Calogero, & Adams, 2016), and has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petrat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and general aggression could differ based on the status of self-regulatory resources.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experimental studies involving 83 male university students whose age fall between the range of emerging adulthood. In study 1,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either sexual objectification perpetration condition or non-perpetration condition, and were shown with the sexual objectification stimuli (photo of a swimsuit model). Afterward, dehumanization level of the model in the photo was measured. In study 2, the participants first completed the self-regulatory depletion task according to their assigned group (depletion vs. non-depletion). Later, they were shown with the sexual objectification stimuli and were told not to objectify the model. At last, their aggression level for both female and male group was measured. After excluding the responses of those who failed to follow the instruction, an independent samples t test and two-way mixed ANOVA were conducted for responses of final 81 participant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In study 1, the participants in sexual objectification perpetration group reported a higher level of dehumanization than the non-perpetration group.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in sexual objectification perpetration group perceived the woman in the photo to have a lower level of morality, competence and sociability. In study 2, the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self-regulatory depletion task perceived the task to be more difficult and tiring than the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non-depletion task. Furthermore, the depleted participants reported a higher level of general aggression after seeing the sexual objectification stimuli. For this,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for female/male target aggressions. The study findings demonstrate that perpetrat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could lead to dehumanization. Furthermore, this study shows that when the self-regulatory resources are depleted, the participants failed to effectively suppress the sexual objectification response when viewing the sexualized object, thus leading to an increased level of general aggression. Such results finding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ecrease the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in that the sexual objectification perpetration by male university students not only increases dehumanization of women but also the level of general aggression regardless of the target group’s gen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