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2 Download: 0

대학생의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and ment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Authors
최수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의지력이 한정되지 않은 자원이라고 믿는 비제한 신념이 정서적·심리적·사회적 안녕감을 모두 포함하는 행복의 지표인 정신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자기조절과 개인적 목표전념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과 경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37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에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먼저,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잠재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정하였다. 또한 부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조절과 개인적 목표전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변인들의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 자기조절, 개인적 목표전념, 정신적 안녕감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측정변인들의 상관 분석 결과, 네 개의 잠재변인들의 측정변인들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정한 결과,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에서 정신적 안녕감, 자기조절, 개인적 목표전념으로 향하는 각각의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 개인적 목표전념에서 정신적 안녕감으로 향하는 각각의 경로와 자기조절에서 개인적 목표전념으로 향하는 경로 역시 유의하였다. 셋째, 부스트래핑 방법을 실시한 결과,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과 정신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 개인적 목표전념은 각각 유의한 단순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자기조절과 개인적 목표전념을 차례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의지력이 한정되지 않은 자원이라고 여기는 비제한 신념을 가질수록 일상에서 자신의 목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자기조절을 더 잘할 수 있고, 이는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 성공적으로 전념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결과적으로 정신적 안녕감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으로서 새로운 사회적 맥락 및 역할을 경험하는 한편, 이후의 삶에 중요한 영향력을 갖는 시기인 성인진입기에 속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서적·심리적·사회적 안녕감을 모두 포함하는 행복의 지표인 정신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행복감을 경험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적응적으로 기능하는 것에 더하여,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고 그 사회에 기여하면서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현대사회의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스스로를 N포 세대라고 칭하는 현상은 이들이 미래에 진정으로 바라는 것들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를 상실해가고 있음을 반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자신의 꿈과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 것은 미래의 가능성을 열어줄 뿐만 아니라 현재의 삶에 의미를 부여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의지력이 쉽게 고갈되지 않는 자원이라는 신념은 매일의 생활뿐만 아니라 이들이 미래에 원하는 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장애물을 극복하는데 있어 힘이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정신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개인이 의지력의 속성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신념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조절과 개인적 목표전념의 매개효과가 확인된 것을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정신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모색하는 데에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a belief that willpower is a nonlimited resource, on mental well-being. Also,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79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drawn from Seoul,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Gyeongsang area. Using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variables were conducted and structural relations of each variables were exam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so,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and mental well-being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self-regulation, personal goal striving, and mental well-being. Also, all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four latent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all of the paths from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to mental well-being,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were significant. Also, each path from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to mental well-being, and the path from self-regulation to personal goal striving were also significant. Third,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respectively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and mental well-being. In addition, the dual-mediated effect of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was also significant. Taken together, it was identified that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not only direct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mental well-being, but also indirectly increases mental well-being by encouraging one to better self-regulate in the direction consistent with personal goals in everyday life, which in turn helps successful goal str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s that contribute to the ment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belong in the emerging adulthood, a period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later l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consider individual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willpower in order to improve the ment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Moreover, based on the dual-mediated effect of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in devising som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ment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