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카자흐스탄의 알마티 구역 아동복지시설 퇴소청년의 자립준비 영향요인

Title
카자흐스탄의 알마티 구역 아동복지시설 퇴소청년의 자립준비 영향요인
Authors
KEMBAYEVA, KAMSHAT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카자흐스탄 알마티 구역의 아동복지시설 퇴소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 사회적 지지와 시설요인으로 나누어 분석 하여 카자흐스탄 아동복지, 특히 퇴소청소년의 자립관련 아동복지 실천 및 정책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카자흐스탄 알마티 구역의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이 일관되고 연속된 사회적 지지 속에서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길 바라며 퇴소 전에 카자흐스탄의 차별화된 서비스 혹은 정책 지원방안을 모색하여 아동복지시설 퇴소 청소년의 삶의 질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한국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시설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준비가 여러 차원의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카자흐스탄에서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한국의 시설청소년들이 제도적으로 만 18세에 시설보호를 떠나 독립하는 생활을 해야 하는 상황은 카자흐스탄 아동복지시설을 퇴소한 청소년들이 닥치는 입장과 비슷한 상황이기 때문에 카자흐스탄의 아동복지 시설청소년에 적용하여 자립관련 영향 요인들을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조사는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분포된 18개소의 자립생활관 중 2개소를 임의로 표집하여 이들 자립생활관에 거주하는 총 272명 중 226명 대상으로 자료를 조사하였다. “자스타르 우이” 자립생활관 생활자의 연령은 만 18세부터 23세까지이고, “덤 유네셰스트바” 자립생활관 생활자의 연령은 24세 이상 29세 미만이며, 본 설문조사는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지역에서 2019년 3월 30일부터 4월 10일 까지 실시하였다. 한국의 퇴소청소년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카자흐스탄 알마티 지역 퇴소청소년의 자립 영향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자아존중감척도, 공격성 척도, 우울불안척도, 사회적 지지척도, 자립준비척도가 사용되었고 자료 분석을 SPSS 19.0을 이용해 빈도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립준비의 차이를 살펴보면, 시설의 22세-25세 청소년들의 자립준비가 18세-21세, 26세-29세 청소년들의 비해 자립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 전체 평균은 60.80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6가지 기술 중에서 평균점수가 낮은 기술은 지역사회 자원 활용 기술 8.45점, 그 다음은 돈 관리 기술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아동들의 자립준비를 위해 자립기술영역 중에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될 점은 경제개념에 대한 정립과 지역사회 내의 자원과 자원 활용에 대한 모색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공격성, 우울불안, 사회적지지가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립준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은 사회적 지지(β=.450, p<.001), 우울불안(β=-.217,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자립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살펴볼 수 있고, 우울불안의 부정적 영향은 우울불안이 낮을수록 자립준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공격성, 우울불안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시설청소년의 공격성과 우울불안은 직접적으로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 지지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시설청소년의 성공적인 자립을 위해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공격성과 우울불안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입을 하면서 동시에 사회적 지지를 형성하는 다차원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자립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인 사회적 지지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카자흐스탄 시설청소년들에게 지속적인 사회적 지지와 관심과 후원체계가 필요하다. 시설청소년들의 성장을 도와준 사람들의 지지를 통해 이들의 성장을 돕는‘주위의 가까운 사람들’에 주목하여,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욕구와 상황을 감안하여 청소년들에게 자립준비 프로그램의 운영과 개별화된 서비스가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립준비 목표를 만들며 정기적으로 개인의 자립준비 정도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퇴소를 앞둔 시설청소년에게 필요한 자립준비의 여러 가지 영역 중 카자흐스탄의 자립수준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규명하지 못한 자립준비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자립준비 프로그램에서 돈 관리 기술과 지역 사회 자원 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of children 's welfare facilities in Almaty district of Kazakhstan by 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factors, social support and facility factors,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mplications for self - reliance on child welfare practices and policies. Through thesis, I hope that the children leaving the children's welfare facilities in Kazakhstan's Almaty area will grow into healthy adults in a consistent and continuous social support. I will look for ways to support different services or policies in Kazakhstan and to develop the quality of life of youth leaving child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previous Korean studies, the preparation for self - reliance of juvenile - detached youth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However, studies that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se factors almost never in Kazakhstan. The situation in Korea where institutional youths are institutionally obliged to leave their protection at the age of 18 is a situation similar to that of youths who leave Kazakhstan's children's welfare facilities it would be meaningful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related to self - reliance by applying it to youth in child welfare facilities in Kazakhstan. This survey randomly sampled two of the 18 self-supporting dormitories distributed in Almaty, Kazakhstan, 226 out of a total of 272 residents living in these self - reliant dwelling houses were ancestors. "Zhastar Ui“ independent living dweller's age ranges from 18 to 23, and "Dom yuneshestva" independent dweller is aged between 24 and 29 and surveyed from March 30 to April 10, 2019 in Almaty, Kazakhstan. Self - esteem scale, aggression scale, depressive anxiety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 - readiness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self - efficacy factors of youth withdrawing from the Almaty area in Kazakhstan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youth leaving school.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e survey, the preparation age of 22-to-25-year-olds was 18 to 21 years old, and that they are more prepared for self-reliance than those aged 26-29. Second, the overall average of the self - reliance prepared for facility youth was 60.80 points, among the six technologies, the technology with low average score was 8.45 points for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technology, followed by money management technolog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self-sustaining technology to prepare children for self-reliance is that they are part of the concept of economy, what resources are in the community, and how they can be utilized. Third, self - esteem, aggression,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upport of the adolescents were found to affect the preparation of self – rel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β = .450, p <.001) and depression anxiety (β = -. 217, p <.001)Therefore,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sufficiency preparation. The negative effect of depressive anxiety means that the lower the depressive anxiety, the higher self-preparedness.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examined to see whether the direct influence of self - esteem, aggression, and anxiety of self -The aggressiveness and depressive anxiety of facility adolescents not only directly influenced preparation for self - reliance but also indirect influence through social support. This suggests that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form positive social self - esteem and to support intervention so as to minimize aggression and depressive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which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or self - reli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 reliance of youth in child care facili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sustainable social support and support systems for Kazakh youths. Through the support of good people who helped the youth of the facilit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eople around us' to help them grow and prepare a system to support them. Second, considering the needs and circumstances of adolescents in child care facilities, the operation of self - reliance preparation programs and individualized services should be carried out for adolescents.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elf-sufficiency preparation goals and regularly check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self-reliance by individual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self-sufficiency in Kazakhstan among the various areas of self-reliance preparation needed for institutional youth who are about to leave, and to follow up on what measures can be taken to improve self-research is needed.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focus on money management skills and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skills in the self-help preparation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