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5 Download: 0

주거환경특성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Title
주거환경특성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Children’s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ir Develop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Children who Live in ‘Ger’ and Temporary Buildings.
Authors
BATSAIKHAN, ANU AND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This dissertation examines whether children’s residential environment influences on their development (physical health, academic achievement, the level of self-esteem, and problematic behaviors), with special reference to children who live in Ger or temporary buildings in the outskirts of Ulaanbaatar, Mongolia.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ir developmental status, self-reported pre-survey and main survey were applied to two groups of total 45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wo weeks (April 1 – April 12, 2019): 1) Two schools were chosen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total 13 classes were selected from them through simple random sampling; 2)Experimental group was from School ‘A’ located at the outskirts of the Ulaanbaatar city, of which students mainly dwell in Ger or temporary buildings; 3) Control group was from School ‘B’, of which students mainly live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at the center of the city.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pre-determined as 1) Physical Health (Fatness Index, Subjective Health Judgement, and BMI), 2)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SchoolPerformance, and Score Satisfaction), 3) the level of Self-Esteem, and 4)Problematic Behaviors (Internalized or Externalized Problems).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using Satisfaction (structural environment, indoor/external environment, and stigma discrimination) has negative(-) influence on BMI (mean Body Mass Index) and positive(+) influence on Subjective Health Judgement: 1) BMI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2) The higher Subjective Family Expediency is,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Judgement is; 3) The number of disease in case of female students is larg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Second, Evaluation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Convenience, Accessibility, Order, and Comfort) has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ore Satisfaction: 1) Female students show higher achievem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in general; 2)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Scor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students; 3) the higher parents’ level of education is, the higher children’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Performance are. Third, Evaluation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Convenience, Accessibility, Order, and Comfort)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Self-Esteem; Children, with a low level BMI and steady-working parents, have higher level of Self-Esteem. Fourth, Housing Characteristics (Residential types), Housing Satisfaction (structural environment, indoor/external environment, and stigma discrimination), and Evaluation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Convenience, Accessibility,Order, Comfort, Privacy, and Interaction) have negative(-) influence on Problematic Behaviors (internalized or externalized): female students reveal higher internalized problems, meanwhile males have higher externalized problems. These results would be applied to Child-Friendly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and Anti- Housing Poverty policies in near futur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enhancing healthy development of Mongolian children/teenagers who live in poor residential environment.;본 연구는 몽골 울란바토르시 외곽의 게르 및 가건물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들의 주거환경특성이 그들의 발달(신체적 건강,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아동의 욕구를 규명하고, 관련된 몽골 아동복지의 정책적, 실천적 제언과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배경지식을 구축하고자 한다.본 연구는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12일까지 약 2주간 예비조사, 본조사 순으로실시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총 457명으로 아동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몽골 울란바토르시 외곽에 게르 및 가건물로 형성된 게르지역(Ger area) 거주가구가 많은 상위 4개 구(district)인 바양주르흐(Bayanzurkh), 수흐바타르(Sukhbaatar), 성긴하이르항(Songino khairkhan), 칭겔테(Chingeltei)에 소재한 총 73개 국립종합학교의 중·고등학생(6~12학년)이다. 연구자는 의도적 표본추출(Purposive sampling) 방법을 통해 А학교는 시외곽에 위치하면서 게르 및 가건물 거주가구가 많은 학교로, В학교는 시중앙에 위치하면서 고층아파트 거주가구가 많은 학교로 각각 임의표집한 후 학년별로 1개 학급의 대표반 총 13개 반을 단순무작위 추출(Simple random sampling)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부실한 설문지 33부를 제외한 424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및 주거환경특성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아동의 ①신체적 건강(비만도, 주관적 건강상태, BMI) ②학업성취(주관적성적, 평가성적, 성적만족도) ③자아존중감 ④문제행동(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만족도는 아동의 비만도와 질환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주관적 건강상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중학생일수록 비만도가 높고, 주관적 가정형편이 좋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남아보다 여아가 질환 여부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거특성평가는 아동의 평가성적, 성적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남아보다 여아가 전반적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주관적 성적과 성적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구주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의주관적 성적과 평가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특성평가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내재화문제와 외현화문제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주거일반특성에서는 저비용주거(게르, 가건물) 아동보다 고비용주거(고 층아파트, 다가구주택, 개인고급하우스) 아동이 내재화문제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BMI가 낮을수록, 가구주가 지속근로를 할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에서는 내재화문제는 여아가, 외현화문제는 남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발달에 미치는 주거환경특성 영향요인에서는 ①아동의 신체적 건강에 주거의 실내환경(온도, 습도, 공기, 냄새, 전등, 난방, 소음차단, 울림의 정도, 화재 및 해충보호 상태), 외부환경(건물의 외관 및 색채, 주변환경, 안전 맟 재해보호 상태), 구조설계(주거의 크기, 방 개수, 전기 및 상하수도, 구조부 재질), 낙인차별 경험(주거로 인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②아동의 학업성취에 주거의 편리성(아동 제반활동에 적합한 가구배치 및 크기, 기 능의 적정 정도), 접근성(상업,·시설·의료· 문화· 교육·대중교통), 질서성(아동 스스로 물건 정리·보관 가능 수납가구 보유·정리·정돈), 쾌적성(아동 제반 활동에 쾌적한 온도, 공기, 조명, 소음의 적당성 정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③아동의 자아존중감에는 주거의 편리성, 질서성, 안전성(가구 모서리 등 마감형태와 실내 바닥 등의 구조재질의 안전 정도), 프라이버시(아동이 가족구성원 및 타인으로부터 사상활의 보장을 받을 수 있는 정도), 상호작용성(가족구성원, 친구와 함께 학습이나 놀이 활동을 할 수 있는 영역, 가구, 생활재의 소유 상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④문제행동에는 주거의 형태(게르, 가건물, 고층아파트 등), 구조설계, 실내·외부환경, 낙인차별경험, 편리성, 질서성, 안전성, 쾌적성, 프라이버시, 상호작용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몽골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 및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아동친화적 주거환경개선 사업’ 및 ‘아동가구 탈주거빈곤 정책’ 도모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