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교사염려에 관한 연구

Title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교사염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oncerns of In-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According to Professional Development
Authors
방현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풀러와 바운(Fuller & Bown, 1975)의 교사염려모델에 기초하여 중등음악교사의 주요한 염려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교사의 경력 기간에 따른 교사발달단계에서 염려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설문지 도구로는 보리치(Borich, 2000)가 Fuller와 Bown(1975)의 교사염려모델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한 리커트(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된 45문항의 교사염려 체크리스트(Teacher Concerns Checklist: TCC)를 번역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ver.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질적 연구의 면담 자료는 녹음내용을 전사를 한 후 Fuller와 Bown(1975)의 교사염려모델에 따라 자신과 음악수업,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의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지에 응답한 109명의 중등음악교사의 전반적인 염려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음악수업에 대한 염려에서 가장 높은 염려 수준을 가지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높은 염려를 드러내었으며, 자신에 대한 염려 순으로 교사염려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Duncan의 사후검증을 사용하여 경력기간에 따라서 중등음악교사의 전반적인 염려를 분석한 결과, 1~4년의 초임교사에서 5~10년의 중견교사, 그리고 11~20년 이상의 고경력교사로 교사발달 단계가 높아질수록 염려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교사염려를 살펴보자면, 자신에 대한 염려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염려 영역에서 초임교사가 가장 높은 염려 수준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중견교사가 높은 염려를 나타냈으며, 고경력교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염려 수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음악수업에 대한 염려 영역에서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서 염려 변화의 수준이 미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력에 따른 교사발달이 일어남에 따라 자신, 교수 상황,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염려로 순차적으로 변화한다는 Fuller와 Bown(1975)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였다. 본 연구는 Borich(2000)의 연구와 같이 교사들의 염려가 항상 자신, 교수 상황,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순의 일직선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는 결과와 부합하였다. 즉, 중등음악교사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교직경력이 높아질수록 음악수업에 대한 염려보다는 자신에 대한 염려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염려에서 염려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역별로 세부적인 염려를 살펴본 결과, 자신에 대한 염려 영역에서는 초임교사가 수업시간에 교사가 책임을 져야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과 학생들을 올바르게 행동하도록 지도하고 학생의 수준에 적합한 음악수업을 계획하는 것에 대한 염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이와 관련된 염려는 교사의 경력이 높아지면서 염려의 수준이 감소하였다. 음악수업에 대한 염려 영역에서는 음악수업 외에 많은 행정적인 업무들을 처리하느라 음악수업을 계획하고 구상하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초임교사들은 높은 염려 수준을 보였다. 또한 이와 관련한 염려는 중견교사와 고경력교사가 되어서도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염려 영역에서는 학생의 음악적 성취감을 높이고 각각의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며 음악수업에 흥미가 없는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과 관련한 염려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한 염려는 시간이 경과하여 교사의 교직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염려의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중등음악교사들의 염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교원양성기관과 교사연수 프로그램 및 교사 교육에서의 개선점과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를 통하여 중등음악교사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염려를 파악하고 교직 생활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main concerns of secondary music teachers based on Fuller and Bown’s concerns-based model and describe those concerns over different stag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by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Participants were 109 secondary music teachers,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early career, experienced, and highly experience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in-service period.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a 45-item, Likert-scale survey and followed-up interviews. The survey used a translated and revised version of Teacher Concerns Checklist (Borich, 2000), which is based on Fuller and Bown’s concerns-based model of teacher development.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processed with SPSS version 24.0, an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are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with the significance level set at p<.05.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hen analyzed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of concerns, which are self, task, and student-impact concerns (Fuller and Bown, 1975). Three major findings emerge from the research. Firstly, data analysis indicates that at all development levels, task concerns ranked highest, followed by impact and self concerns. Duncan’s post hoc test analysis revealed that in general, early career teachers with a career spanning one to four years hold the highest concerns followed by experienced teachers with five to ten-year career. Meanwhile, those highly experienced with more than eleven-year career turned out to have the lowest level of concerns among the three groups. Specifically, in the self-related and impact-related categories, early career teachers expressed the highest concerns followed by their experienced and highly-experienced counterparts. Howev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their levels of task-related concerns, indicating that job exper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self and impact concerns but not much in allaying task-related ones. This result contradicts Fuller and Bown (1975)’s findings that concerns of teachers change over time from self to task to impact concerns. Such linear progression may not always occur, as Borich (2000) suggests. This suggests that teachers who have been in service longer have lower self and student-impact concerns, but not lower task concerns. Secondly, major concerns of early career teachers are as follows. What early career teachers were concerned about the most in the self concerns category was being held responsible for incidents, guiding students to do the right thing, and planning classes suitable for students’ level. However, these concerns decreased as teachers got more experienced. In the task concerns category, early career teachers worried that they might not have enough time to plan and design their classes due to too much administrative work, which is what their experienced and highly experienced counterparts are also concerned much about. When it comes to student impact concerns, teachers with not much experience worried about promoting students’ sense of achievement, accepting various demands of students, and motivating students with no interest in music class. These concerns were lower among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and useful information to allay concerns of in-service teachers and improve systems of teacher training agencies and education programs.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will lay the foundation for secondary music teachers to not only identify their concerns but find effective ways to adapt to the ever-changing school environment and overcome challenges facing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