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교내 합창동아리 경험과 인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음악적 태도 및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연구

Title
교내 합창동아리 경험과 인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음악적 태도 및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연구
Authors
류지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지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musical behavior, communication skill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based on each high school student’s choir experience. Also,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student choir experiences, improvements needed, an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 choir experience on education, which can encourage students to have a better educational experience.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 a hundred and six students from a high school located in Inchun-Si (sixty-six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choir within five years and forty students who are currently active as a choir member). These subjects were evaluated by choir experience survey, music attitude scale (MAS), and communication metric system.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jority of high school students’ choir experience last less than six months and the main reason for this phenomenon was the difficulty in keeping up with the studies. In addition, most of the students participate in a choir voluntarily and they experience less than one choir concert and/or less than one repertoire. Seco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tudents were diligent during their choir classes and thought positively on choir activity. Third, a musical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choir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participation motive, and a musical behavior and communication skills depending on choir experience had overall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groups. Fourth, positive correlation(p<0.01) was found for musical behavior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choir experience when analyzed comprehensively. This demonstrates that students’ musical behavior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skills and thus, it can be interpreted as strong potential for students to develop musical behavior, which provides musical enjoy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essential in community, via choir activities. The research outcomes suggest that the choir activities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be encouraged at a school and ministry of education-level as it improves crucial skills, musical behavior and communication skills. Also,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one of theoretical backgrounds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and thus, will enhance not only choir activities but also many other diverse musical activities in high school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합창동아리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학생의 음악적 태도 및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음악적 태도와 의사소통능력 간 관계를 탐색하는데 있다. 또한 고등학생들의 합창동아리 경험 고찰을 통한 합창동아리 운영에 있어 개선할 점에 대해 살펴보고 교내 합창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여 학생들의 합창동아리 활동을 독려하며, 학생들이 좀 더 나은 교육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데 교육적 의의가 있다. 연구는 인천시 소재의 고등학교에서 재학 중인 학생들 가운데 최근 5년 내에 합창동아리 경험이 있는 학생 66명과 현재 합창동아리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학생 40명, 총 10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및 합창동아리 활동 설문지와 음악적 태도 측정도구(MAS), 의사소통능력 측정도구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실시 후 집계 된 데이터를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검정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도출 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합창동아리 경험은 대부분 6개월 미만의 짧은 시간 내에 단절 되며, 단절 되는 가장 큰 이유로는 학업과 병행이 힘들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대부분의 학생들은 합창동아리 활동을 자발적인 동기에 의해 시작하게 되며 많은 수의 학생들이 합창동아리 활동 시기 동안 경험한 합창대회의 수는 1회 이하, 레파토리는 1가지 이하로 조사되었다. 둘째, 합창동아리 참여 태도와 활동에 대한 인식 설문 내용을 빈도 분석한 결과 대부분 고등학생은 합창동아리에 근면한 태도로 참여하며 합창동아리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합창동아리 경험 내용에 따른 음악적 태도는 합창동아리 참여 동기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합창동아리 참여 태도 및 활동에 대한 인식에 따른 음악적 태도 및 의사소통능력은 전 하위 범주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합창동아리 참여 태도와 합창동아리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집단일수록 음악적 태도와 의사소통능력 평균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합창동아리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의 음악적 태도와 의사소통능력은 전 하위 범주에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은 학생의 음악적 태도가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결론적으로 합창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연습 시간 이외의 실생활에서도 음악을 즐기고 영위할 수 있는 음악적 태도와 현대 사회의 필수적인 의사소통능력이 신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육적 효과가 있는 합창동아리 활동을 학교 차원, 교육부 차원에서 장려해야함을 시사하는 본 연구가 향후 합창동아리를 포함한 다양한 음악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되며 인성 교육의 중요성과 음악 활동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