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5 Download: 0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비서구권 비엔날레에 관한 연구

Title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비서구권 비엔날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Non-Western Biennales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Authors
최정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논문은 가야트리 스피박의 탈식민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현대 미술계의 이슈로 부상한 비서구권의 비엔날레들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탈식민주의 담론의 주요 논의들과 스피박의 이론을 살펴보고, 가야트리 스피박의 이론에 초점을 맞추어 아바나, 싱가포르, 호주, 광주에서 개최된 비엔날레들을 차례로 분석한다. 탈식민주의는 넓은 의미에서 다양한 분야에 지속되는 식민주의적 잔재를 인식하고, 식민주의 비판과 극복을 위한 담론적인 실천이다. 냉전 이후 영토 식민화는 종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를 ‘탈식민적인 신식민화된 세계’로 인식하여, 현재까지도 다방면에 걸쳐 지속되는 식민 유산의 존재를 드러내며 식민주의로부터 적극적으로 탈피하고자 하는 탈식민주의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탈식민주의’를 198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서구의 ‘탈식민주의 이론’과 ‘탈식민주의’라는 용어의 등장 이전부터 진행되고 있었던 제3세계의 탈식민적 실천인 ‘탈식민주의 비평’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후 탈식민주의 이론을 선구하는 가야트리 스피박의 이론을 살펴본다. 스피박은 서구의 철학, 문학, 역사 문화 텍스트를 해체주의적으로 분석하여 타자를 규정하는 서구의 인식론적 폭력을 드러내고, 유럽의 지식 체계가 식민적 주체를 형성하고 이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타자를 전유 및 배제하는 방식을 고발한다. 더불어 스피박은 타자 개념을 젠더와 인종, 문화의 축으로 확장한 ‘서발턴’ 개념을 제시하여 침묵을 강요당하는 서발턴의 현실을 폭로한다. 마지막으로 배제되고 지워지는 타자의 목소리에 응답하고, 그들을 세계 내에 기입하기 위한 윤리적 책임을 제시하며 탈식민화를 꾀한다. 탈식민주의 논의가 활기를 띠기 시작하던 1970-80년대의 시대적 분위기는 미술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89년을 기점으로 일어난 소위 ‘탈식민적 전환’으로 미술에서의 ‘탈식민적 실천’은 증폭되었고, 이는 이후 열린 비엔날레 전시들로 구체화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서구 각지에서 열렸던 《지구의 마법사들》, 《1993 휘트니 비엔날레》, 그리고 《아시아 현대미술 - 전통/긴장 전》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한계를 살펴본다. 각 전시는 현대미술의 경계를 확장하고, 소외되었던 다양한 타자들의 목소리를 아우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전시에서는 큐레이팅 방식부터 작가 선정까지 전시의 곳곳에서 여전히 서구 중심의 인식론적 폭력이 작동하여 타자들의 미술이 재타자화되고 기존의 질서와 지배담론이 강화되었다. 즉 스피박이 말하는 ‘토착 정보원’의 역할로서 타자들을 수용하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89년 이후 개최된 제3세계 영토 곳곳에서 개최된 비엔날레들을 기존 미술계의 패권주의를 극복하고 서구 중심적 문화를 재편하고자 하는 ‘탈식민적’ 성격의 비엔날레로 규정하고 이들을 분석한다. 먼저 《제3회 아바나 비엔날레》는 중심/주변의 이분법에 균열을 내고, ‘주변’으로 환원되지 않는 타자들의 다채로운 예술적 시도들을 집대성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다음으로 《제8회 아시아-태평양 트리엔날레》와 《2016 싱가포르 비엔날레》는 서구의 ‘인식론적 폭력’에 의하여 편협하고 고정적인 타자의 이미지로 재현되는 지역의 작품들에 주목하여 서구의 언어와 사유의 프레임에서 좀처럼 포착될 수 없었던 미술이 목소리를 내는 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12회 광주 비엔날레》는 ‘광주 정신’을 정서적 기반으로 삼아 다양한 서발턴들과의 윤리적 관계 맺음을 예술의 영역에서 실현하고 있다는 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미술은 서구 중심의 미술계의 오래된 타자였기에, 적절히 평가되거나 재현되지 못했던 역사를 여타 다른 비서구권 미술계와 공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여전히 비서구권 비엔날레를 다룬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서구권에서 열리는 비엔날레를 탈식민주의적인 시각에서 조망하여, 이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한국의 미술을 재조명하는 논의의 장을 확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ost-colonial theory of Gayatri Spivak to analyze non-Western biennales that began garnering attention from the modern art community since the late 1980s. The biennales in question are those held in Havana, Singapore, Australia, and Gwangju, and for the analysis, the paper also covers dominant post-colonial discourses along with Spivak’s theory. Broadly speaking, post-colonialism is about recognizing the colonial legacies that still exist in various fields, and is a discourse aimed at denouncing and overcoming colonialism. Ever since the Cold War ended, territorial colonialism came to an end. However, this study views today’s world as a “post-colonial neo-colonized world,” and uncovers the legacies of colonialism that persist in diverse fields. The focus is on post-colonialism, which is defined in this study as an endeavor to actively break away from colonialism. In the beginning, the study breaks down the concept of “post-colonialism” into “post-colonial theory” and “post-colonial criticism.” The post-colonial theory refers to a set of ideas that saw a surge in popularity since the 1980s, and post-colonial criticism is part of the Third World’s post-colonial effort, which began even before the term “post-colonialism” was coined. Then, the paper looks into the theory of Gayatri Spivak, who is known as a pioneer in the field of post-colonial studies. Spivak used deconstruction to analyze the West’s philosophical, literary, historical, and cultural texts to reveal its epistemic violence of defining “the Other.” Furthermore, she accused the European knowledge system of turning people into colonial subjects, and of appropriating and excluding the Other as a means to justify the action. Spivak also introduced the concept of “subaltern” by extending the concept of the Other to include gender, racial, and cultural aspects, thereby exposing the reality where the subalterns were forced to remain silent. Finally, this paper responds to the voices of the Other that have been deliberately eliminated and erased from history and highlights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the world to bring the Other’s voices back into global discourse as an effort to purse post-colonialism. The rise of post-colonialism in the 1970s and 80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art community as well. In particular, “post-colonial turn,” which began in 1989, drove “post-colonial practice” in art, and the new trend was quite apparent in the biennales held in the following years. Thus, this paper first explain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ree exhibitions—Magiciens de la Terra, Whitney Biennale 1993, and Traditions/Tensions: Contemporary Art in Asia—that were held in Western countries. To be sure, the three shows were meaningful in that they expanded the horizon of modern art and tried to involve the voices of the Other that have long been excluded from the art world. Nevertheless, the Western-centered epistemic violence was still present from the curation to the selection of artists, otherizing the artworks of the Other, as well as reinforcing the existing order and the dominant discourse. In other words, the exhibitions simply accepted the Other by serving as what Spivak called “native informants.” Hence, this study goes further to view and analyze the Third World biennales held since 1989 as post-colonial exhibitions aimed at overcoming the existing hegemony in the art world and reorganizing the Western-dominated culture. The first biennale dealt in the study is the 3rd Havana Biennial, which played a key role in weakening the center-periphery dichotomy and bringing together the diverse artistic efforts of the Other that cannot be reduced to “periphery.” Next, the study looks at the 8th Asia Pacific Triennial and Singapore Biennale 2016, which focused on the regional artworks that were constantly reproduced in the form of prejudiced and stereotyped images by the epistemic violence of the West. The two exhibition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artworks to convey their messages that have rarely been captured under the framework of Western language and philosophy. Finally, the study covers the 12th Gwangju Biennale, which was held on the emotional basis of “Gwangju spirit,” and aimed to form ethical relationships with subalterns in the realm of art. Korean artworks have also been considered the Other for a long time in the Western-dominated art world and have a history of being poorly assessed and reproduced just like those of the non-Western world. Nonetheless, there is still not enough research in Korea that deals with biennales held in non-Western countries. For this reaso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view non-Western biennales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in order to deepen understanding of the exhibitions an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discussion about shedding new light on Korean art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