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46 Download: 0

외국인 대상 한복 체험 서비스 디자인

Title
외국인 대상 한복 체험 서비스 디자인
Other Titles
Service Design for Korean traditional costume(hanbok) Try on experience/service for the foreign tourist : Focusing on the palace
Authors
박상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서비스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Interest in Korea, triggered by the success of leading Korean dramas and popular music, continues to escalated to include a host of other aspects of Korean culture, such as Hangeul (Korean alphabet), Hansik (Korean food) and Hanbok (Korean traditional clothing). And there was a paradigm shift in travel and tourism among foreigners visiting Korea; it has shifted from sightseeing to an experience-base tourism; more visitors participate in hands-on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Kimchi-making and trying on Hanbok. Among many ways to get a glimpse of the nation’s traditions and culture, trying on Hanbok has come more popular to foreign tourists. Originally only worn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national holidays and weddings, photos of younger generation posing in Hanbok throughout Korea have flooded social media, and tourists are now jumping on this new trend as well. However, many Koreans still feel wearing Hanbok is "uncomfortable," "unfashionable," "difficult to manage," and "too expensive." In fact, the image and experience of Hanbok was no different to those foreign tourists who have participated in tryin g on Hanbok servic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to understand challenges faced by the foreign tourists during their try on Hanbok experience and to suggest ideas for improvements.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ut 10 tourists who participated in trying on Hanbok services, owners of Hanbok rental shops as well as representatives from Korea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interview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responses were sought. Results indicate that People think Hanbok is beautiful but is way too uncomfortable to walk around and their struggle started from Hanbok rental shop itself. Further details of the results along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in the paper.;최근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을 중심으로 유람에서 체험관광을 선호하는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10대에서 20대의 젊은 층들이 한복에 대한 개성과 특별한 경험을 중시하는 가운데 한복을 입고 찍은 사진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Social Network Site)에 올리는 한복 놀이문화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면서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한복 고유의 아름다움이 빠르게 전해져 가고 있다. 또한 "한 스타일" K 한류 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의 유행으로 한복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점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아름다운 한복을 입고 직접 체험을 하며 공감하는 한복체험서비스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한복에 대한 긍정적인 문화는 자국민들의 한복에 대한 자부심 고취 및 우리나라 한복의 대중화 및 세계화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한다. 앞서 언급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복을 입고 자연스럽게 전통 고궁 및 문화재를 방문하면서 한국의 전통문화를 경험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점차 늘어날 것에 대해 대비를 하고 한복체험의 서비스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지속해서 개발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외국인 관광객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것에 비해 2012년도 이후부터 외국인 관광객의 재방문율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문제점으로는 서울에 한정된 관광상품과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부족함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최대 불만 사항으로는 언어소통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외국인 관광객과 한국인 서비스 제공자 간의 소통에 아직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들 관점 중심으로 한복체험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다양한 고객 접점을 분석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쌍방향 시각으로 현장의 문제점을 찾아 외국인들의 Needs와 스타일을 반영하고 현재의 한복체험서비스 중 불편한 사항을 개선할 수 있는 서비스의 핵심을 찾아 한국의 아름다움을 한복으로 공유하여 지속할 수 있는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고객 중심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한복 체험 서비스 현황에 대해 전반적인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인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바탕으로 단계별로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DISCOVER 단계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한복대여점 현황과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객 현황, 한복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하였으며 한류 드라마 동향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하는 것에 비해 디자인과 소재개발의 부족, 언어소통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Observation, Shadowing, 외국인 관광객과 이해관계자 간의 인터뷰를 활용하여 서울의 고궁을 중심으로 한복체험서비스 제반을 조사한 결과 외국인 관광객은 그들의 체형에 맞는 서비스와 한국의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 한복 매뉴얼 등 한복체험 서비스를 통해 전통한복을 알고 보다 편리하고 즐겁게 소통하고자 하는 Needs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FINE 단계에서는 가상의 퍼소나와 전의맵으로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한복체험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정의하고 그들의 Needs를 바탕으로 한복체험서비스의 핵심 아이디어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서비스는 인지 단계에서부터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사이트 통합 및 문화재청에서 기본 매뉴얼을 제공해주는 인증 서비스 두 번째는 아름다움으로 공유하고 자 하는 외국인들만의 온라인 소통의 장으로 세계 최대 커뮤니티 사이트를 활용한 전통한복 그램, 마지막으로 EASY SERVICE MANUAL 서비스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언어제공을 받고 한복을 이해할 수 있도록 앱을 활용하였다. 또한 앱을 통해 개인 정보 보호 및 정확하고 신뢰감 있는 서비스로 제안하고자 한다. DEVELOP 단계에서는 앞서 언급한 아이디어를 전개하여 Concept Sheet을 만들어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할 수 있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사용자가 필요한 경험과 상황을 정리하여 이를 프로토타입으로 구체화하였고 마지막으로 서비스 스토리보드를 활용하여 가상 외국인 사용자를 설정하고 프로세스를 통해 외국인들이 변화된 한복체험 서비스를 이용하는 부분을 시각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복식문화를 세계화하는 부분에 대한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국내 한복체험서비스의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찾고자 한 선행연구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과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한복체험을 하는 관광객들의 한복체험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Needs 조사, 전통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한복의 세계화를 위한 요소들을 반영하여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정체성을 재고하면서 관련된 사용자의 감성과 경험을 기반으로 편리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외국인 관광객들을 배려한 서비스개발로 서비스 이용자는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받고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시스템적인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해결함으로써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 재방문율 향상과 우리나라 한복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외국인 한복체험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서비스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