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2 Download: 0

치매 자가 진단을 위한 태블릿 PC용 어플리케이션 설계 연구

Title
치매 자가 진단을 위한 태블릿 PC용 어플리케이션 설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 Tablet-PC Based Application Design For Self-Examination of Dementia
Authors
유능화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호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design a tablet-PC based application as an instrument for self-examination of dementia and to evaluate its usability on its users for the sake of the practical use. This application is targeted at the Korean 'New Silver' who are preliminary aged people and will be the aged from the year 2020. While the aged in Korea at present still has low accessibility to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PCs, the New Silver is familiar with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tend to actively accept and try any products of new technology. The tool for the self-diagnosis of dementia is testing a person's sentence comprehension, which is investigated by the accuracy of a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the result of the test can differentiate person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individuals with dementia of Alzheimer's type from normal aging population. Besides, the way of conducting a sentence-picture task is simple and convenient to apply to an mobile application. Accordingly, a new version of the task for investigating sentence comprehension was designed by cooperative study with NABLE(Neurogenic communication And Brain Lab at Ewha) and was applied to the application as a self-diagnostic function. To examinate dementia,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s used to be conducted by a professional operator with the pictures on papers or with a computer-based program that are still needed to be guided. The new version of the task, however, is designed for applying to the tablet-PC based application and there is no more need to execute the task with the operator. That tablet-PCs have the intuitive touch system and better usability that the PCs do is the reason why this application has designed as a tablet-PC based one. Designing the application, three concepts of the service was proposed for its users to be provided with: 'self-', 'easy', and 'simple'. When using this application, users can gain these three values by the instruction manual with the recorded guide voice, easy-to-use functions and the simplified menu structure. Carrying these users' values, the application was designed with the new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as a main function. After prototyping the application, the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and it was proved as a result that the New Silver users can easily operate the application by themselves. In conclusion, the New Silver users, who want to detect dementia by self-examination, will be able to easily use the diagnostic functions of this application by themselves. In the near future, this application can contribute to both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dementia, targeting at the preliminary aged users. However, further researches are remained: firstly, the new version of sentence-matching task which is main function of the application should be standardized as a diagnosis method of dementia; and the application should improve its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by conducting iterative user test in order to offer emotional values as well as its value for practical use.;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노인뿐 아니라 치매를 가진 노인이 증가하는 것에 주목하고, 이에 예비 노인 세대가 치매를 자가(自家) 진단할 수 있는 태블릿 PC용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할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의 설계에 앞서, 치매를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문장이해능력 평가 도구를 새롭게 제작하여 이를 적용하였으며, 예비 노인 세대로서 뉴 실버세대(New Silver)를 타깃 사용자로 정의하였다. 이후 실제 타깃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가능성 및 그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노인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노화 과정을 겪고 있는 사람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법률상에서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노인은 그 특징인 노화에 따라 감각 능력을 포함한 신체적 기능의 퇴화와 함께 신념이나 태도, 행동과 사회적 지위 및 역할의 변화와 같은 심리적, 사회적 노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정상적인 노화와는 달리, 치매(Dementia)는 어원에 따라 ‘정상적인 마음에서 이탈된 것’ 또는 ‘정신이 없어진 것’이라는 의미로, 정상적인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던 사람이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뇌 기능이 손상되면서, 기억력, 언어 능력, 판단력 등 인지 기능이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치매 환자는 언어 능력이 손상되어 의사소통에 장애를 겪게 되는데, 특히, 치매 환자의 문장이해능력이 정상 노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평가한 연구 결과 문장이해능력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치매를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에, 본교 언어병리학과 신경언어장애연구실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의 적용을 위한 문장이해능력 평가 도구를 새롭게 제작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장이해능력 평가 도구는 PC용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검사자가 지시사항을 안내하고 PC 자체의 조작 방법이나 프로그램 사용법을 설명하는 등 검사자의 개입이 요구되어 피검사자의 시간적, 심리적 부담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PC에 비해 직관적인 터치 방식과 사용 편의성을 지닌 태블릿 PC의 장점을 활용하여, 문장이해능력 평가 도구를 태블릿 PC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적용함으로써, 검사자의 개입 없이도 사용자가 스스로 문장이해능력 평가를 수행하고 치매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설계를 위해 타깃 사용자로 정의한 뉴 실버세대는 1955년-1963년에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로,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주역으로 활약했던 이들이 노인 세대로 진입하면 새로운 실버 문화가 탄생할 것을 예상하여 이들을 뉴 실버세대라 지칭한다. 2020년부터 65세 이상 노인 세대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뉴 실버세대는 2012년의 경우 우리나라 인구의 14%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예비 노인 세대인 이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독립적으로 경제력을 보유하고 노인 세대로 진입하여, 생산보다는 소비의 중심계층으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소비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1970년대 산업화 이후 미디어를 경험한 세대로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뉴 실버세대를 본 연구에서 설계한 어플리케이션의 타깃 사용자로 정의하였다. 한편, 현재 국내 기(旣) 개발 및 상용화되어 있는 치매 진단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살펴본 결과, 치매의 진단 기능에 설문이나 간단한 치매 선별검사 항목을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는 추세였다. 그러나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사례에서 진단 기능이 거의 유사하고, 태블릿 PC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태블릿 PC를 기반으로 하여, 새롭게 제작한 문장이해능력 평가 도구를 진단 기능으로 적용하여, 치매 자가 진단을 위한 태블릿 PC용 어플리케이션을 설계를 진행하였다. 이 때, 문장이해능력 평가 도구의 문항들을 난이도에 따라 단계화하고, 문장이해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정상 혹은 치매를 판별할 수 있는 진단 기준을 잠정적으로 마련하였다. 진단 기능을 중심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함에 있어, 본 연구는 사용자의 노화에 따른 시지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인터페이스 요소에 반영하였고, 진단 방법을 안내하는 기능을 안내 음성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가 학습하는 데 쉽도록 하였다. 이는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목적 및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스스로’, ‘쉽게’사용할 수 있도록 ‘간소화’하여 이를 치매의 자가 진단에 실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실제 뉴 실버세대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사용자가 스스로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사용하기 쉽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치매 자가 진단을 원하는 뉴 실버세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스스로 문장이해능력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혼자서도 간편하게 치매를 진단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나아가 이들의 치매 조기 발견 및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문장이해능력 평가 도구의 정확한 치매 진단 기준을 확립하고, 효용적 가치뿐만 아니라 감성적 가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사용성 평가를 거쳐 실제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