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7 Download: 0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우울, 집중재활치료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우울, 집중재활치료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intensive rehabilitation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Authors
정숙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정훈
Abstract
본 연구는 초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수집된 ‘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연구(Korean Stroke Cohort for functioning and rehabilitation, KOSCO)’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요인별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 우울, 집중재활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 삶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도구는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치매선별도구인 K-MMSE(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수준은 GDS-SF(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건강관련 삶의 질은 EQ-5D-3L을 활용하여 측정되었다. 집중재활치료의 경우 재활의학과로 전과하여 체계적인 재활치료를 받은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여 활용하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수행정도(r=.760, p<.001), 사회참여 정도(r=.759, p<.001), 인지기능(r=.416, p<.001)에서 삶의 질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뇌졸중 중증도(r=-.640, p<.001), 우울(r=-.510, p<.001)에서는 삶의 질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일상생활수행(β=.382, p<.001), 사회참여도(β=.278, p<.001), 우울(β=.184, p<.001), 발병 6개월 후 뇌졸중 중증도(β=-.108, p<.001), 초기 뇌졸중 중증도(β=-.048, p<.01), 연령(β=-.039, p<.01), 성별(β=-.036, p<.01), 인지기능(β=-.032, p<.01)순으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중재활치료의 여부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일상생활수행, 사회참여도, 우울, 뇌졸중중증도, 연령, 성별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영역에 걸쳐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Aim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quality of life for stroke patients at 6 months after a first-ever stroke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intensive rehabilitation treatmen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t is crucial that the quality of life for stroke patients who have had various types of problems should be fully understood. Moreover, It would be essential to grasp the meaning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based upon 5,380 patients in Korean Stroke Cohort for functioning and rehabilitation(KOSCO). K-MMSE(Korean verson of MMSE)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 widely used dementia screening tool, was implemented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 EQ-5D was used for quality of life. Intensive rehabilitation treatmen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stroke patients were transferred to the rehabilitation department during the first hospitalization Results: Each one such as Activity of Daily Living,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and cognitive function has had a positive correlation from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stroke severity, and betwee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at 6 months after stroke including Activity of Daily Lif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and depression we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Conclusi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were founded as a factor that can impact on quality of life. However, intensive rehabilitation treatment wasn’t be affected towards quality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