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6 Download: 0

우울과 취업불안을 가진 청년구직자의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우울과 취업불안을 가진 청년구직자의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young job seekers with depression and job anxiety
Authors
정다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과 취업불안을 가진 청년구직자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청년구직자가 미술치료에서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와 관련된 문헌 또는 자료수집,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사전검사를 통한 연구 대상자 선발, 사전면담 진행, 프로그램 실시, 사후면담 진행, 결과 및 자료 처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미술치료는 2018년 9월 5일부터 10월 25일까지 주 1-2회 60분씩 총 16회기를 진행하였다. 또한 자료수집을 위하여 사전면담과 사후면담을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참여자의 동의하에 총 16회기의 미술치료 전 과정과 모든 심층 면담을 전사한 자료, 연구자의 관찰일지, 연구참여자의 작품사진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심층분석을 통해 범주화하고 검토 작업을 통해 개념화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우울과 취업불안을 가진 청년구직자의 미술치료 경험의 범주는 총 7개의 상위주제와 20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상위주제는 〈어떻게 대해야 할지 잘 모르겠는 미술치료〉, 〈구직활동에 있어서 몰랐던 나를 알게 되는 시간〉, 〈미술치료에서 이해와 변화를 위한 성장통을 겪음〉, 〈답답한 구직상황에서 새로운 생각들을 고민해보고 길을 찾아감〉, 〈자신의 중심을 찾기 위해 노력함〉, 〈나만의 구직에 대한 틀을 갖춰가면서 감정과 신체적 변화를 느낌〉, 〈나를 성장하게 한 미술치료〉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과 취업불안을 가진 청년구직자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연구자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취업불안을 가진 청년구직자는 미술치료에서 구직활동에 대한 자신의 두려움과 불안을 이해하고 미술치료에서 자기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구직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구직을 위한 동기를 찾아가는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 우울과 취업불안을 가진 청년구직자는 미술작업과정에서 우울과 취업 불안을 가져오는 역 기능적인 신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의 순환과정을 생각해보며 자신의 상황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다. 셋째, 우울과 취업불안을 가진 청년구직자는 반복되는 취업실패로 새로운 활동을 어색하고 두렵게 여겼으나 미술을 통해 안전하게 자기를 개방하고 자신을 돌보는 경험을 하였으며 구직활동에 대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e young job seeker experiences through the art therapy process and what it means after applying art therapy program for young job seekers with depression and job anxiety.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using qualitative case research methods. The study is in order of selection of related materials, literature collection, art therapy program composition,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through pre-test, pre-interview, program implementation, post-interview, results and data processing. Art therapy was performed total 16 sessions, 1 or 2 sessions a week, 60 minutes each, from September 5, 2018 to October 25, 2018.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the study conducted pre-interviews before the art therapy and post-interviews after the end of the entire art therapy. In this process, entire 16 sessions of art therapy, interviews materials, researchers' observations, artwork of the participants and photographs of the works were collect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by in - depth analysis and conceptualized through review.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into 7 high-level topics and 20 sub-topics. The categories of art therapy experiences of young job seekers with depression and job anxiety are as follows: 〈unfamiliar art therapy〉, 〈time to know my true self not knowing during the job search〉, 〈experiencing growth for understanding and change in art therapy〉, 〈finding new ideas and new directions in stuffy job seeking〉, 〈efforts to find my center〉, 〈feeling emotional and physical changes while making standards for my own job search〉, 〈the art therapy that grew 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 conclusion about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young job seekers with depression and job anxiety is as follows. First, young job seekers with depression and job anxiety understood fears and anxiety about job search activities.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job seeking changed as they explored themselves, and they tried to find motivation for seeking a job in the course of art therapy. Second, young job seekers with depression and job anxiety found dysfunctional beliefs that cause depression and job anxiety and they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own situation by reviewing the process of negative emotions. Third, young job seekers with depression and job anxiety felt awkward and afraid of new activities due to repeated job failures, but they had the experience of safely opening and caring for themselves through the art and gained energy for job search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