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9 Download: 0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Title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Other Titles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uthors
공소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현장실습 체험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그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현장실습을 준비하는 석사과정생과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를 실시하는 기관 및 관계자에게 실습현장에 관한 이해와 준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현장실습과정에서 어떤 체험을 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체험 본질에의 집중,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연구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석사과정생 6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개인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자료가 포화 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이후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과정을 거쳐 본질적 주제 6개와 하위 주제 18개를 도출하였다. 6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이라는 렌즈를 벗고 아동 자체를 만남〉, 〈치료적으로 접근하지 못한 미숙한 나를 반성함〉, 〈현실에 발목 잡혀있는 아동의 잠재력이 안타까움〉, 〈한국에서의 삶이 힘겨운 어머니와의 치료적 협력이 어려움〉, 〈미술치료는 아동의 날개를 펼쳐주는 소중한 경험의 장〉, 〈열린 사고를 지닌 사회의 성숙한 구성원으로 발돋움함〉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를 통해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에 대한 학문적 고정관념이 자칫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편견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자신이 가진 편견과 선입견을 경계 할 때만이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각성한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현장실습 과정에서 내담자 특성에 관한 이해 부족, 기관 및 아동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문제 등에서 혼란스러운 감정을 느끼며 이론과 실무에 관한 공부와 훈련이 필요함을 깨닫는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가 한국사회 내에서 심리, 정서적 고통을 겪는 외국인 어머니와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지만, 아동에 대한 어머니와의 치료적 협력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고민한다. 넷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내 교육적 지원과 정서적 교류 부족으로 인해 잠재되었던 아동의 자원과 역량을 발견하고 키워나가는 데 있어 미술이 중요한 수단이자 통로가 될 수 있음을 경험한다. 다섯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 실습경험이 개방적 태도를 가지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미술치료 전문가이자 성숙한 개인의 한 사람으로서 나아가는 데 있어서 필요한 경험이었음을 깨닫는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현장실습 체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며 이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미술치료 실습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접하게 되는 석사과정생들에게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과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nhancing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on field practice for graduate student, institute, and people related to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research process composed of existential experience explora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focusing on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 of “How is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o through during the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what’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For collecting research data, this study conducted a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from September 2018 to November 2018 on 6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course who had experien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in-depth interview continued until getting the enough data.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and came up with 6 essential topics and 18 sub-topics. 6 essential topics were as follows. 〈Meeting children without bias of multi-cultural family〉, 〈Reflecting on failing to approach in therapeutic way〉, 〈Feeling regretful for children’s potential restricted by reality〉, 〈Difficulty of therapeutic cooperation from mother who go through a rough life in Korea〉, 〈Art therapy as the valuable space of experience for helping children〉, 〈Becoming a mature and open-minded member of society〉. Based on the above topics,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ce and meaning of field practice experience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had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learned that their fixed idea about multi-culture may lead to bia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at moderate therapy is available when they are careful about their own bias and prejudice. Secondly, during the field practice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felt confused in lack of understanding in characteristic of client, and communication issues with institute and children’s mothers. Also,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felt the necessity of studying and training on theory and practical affairs. Third, although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learned that issu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related to foreign mothers hav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stress in Korean society, they realized that therapeutic cooperation with mother isn’t easy. Four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discovered the resources and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could not be expressed due to lack of educ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exchange at home. Also,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experienced that art can be the important mean and pathway for developing the resources and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f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realized that field practice o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necessary for developing into an art therapist and mature individual respecting the diversity with open attitude. This study covered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after performing art therapy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e essence and meaning of such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the actual information for graduate students who will be meet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ield practice fiel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ield practice. This study also can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reducing the trials and errors in preparing for the field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