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6 Download: 0

입체나무 만들기를 통한 성인초기 우울장애 여성의 단회기 기반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입체나무 만들기를 통한 성인초기 우울장애 여성의 단회기 기반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3D Tree Making Through Single Art Therapy Session For Female With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Authors
정현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는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성인초기 여성이 단회기 미술치료를 통해 입체나무 만들기 작업을 하였을 때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보기 위한 질적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거주하는 성인 중 우울장애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나 상담치료를 받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총 12명의 참여자가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총1회기 2시간동안 클레이를 활용한 입체나무 만들기 단회기 미술치료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참여자의 미술작업, 축어록, 반구조적 인터뷰, 상담 시 기록한 메모, 일지 내용 등이 폭넓게 수집되었다. 연구자는 자료 분석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를 여러 차례 재점검하였으며, 각각의 회기 일지를 작성하고 슈퍼비전을 통해 연구자가 주관적인 해석이나 판단의 오류를 범하는 것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주제들을 추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상위주제 3개와 하위주제 9개가 도출되었다. 상위주제는 ‘나를 보여주는 입체나무’, ‘주변관계를 보여주는 입체나무’,’ 입체나무 만들기를 위한 노력’으로 상위주제로 추출하였으며, 상위 주제 내에 하위주제는 첫번째 상위주제 내에서‘우울장애와 현재의 나’, ‘과거에 대한 기억’,’미래의 모습’과 두번째 상위주제 내에서 ‘고독함’,’적대적인 친구’,’가족’과 세번째 상위주제 내에서 ‘지지대를 위한 노력’,’수관을 위한 노력’,’노력에 대한 칭찬’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입체나무 만들기 작업을 통해 나무에 자신의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나 미래를 투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이 과거나 미래의 시점에 자신을 투사해서 이야기 한다는 것은 시간적으로 가까운 현재의 자신에서 벗어나 자신을 바라본다는 의미에서 자신을 좀 더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자신의 상황을 현재만이 아닌 과거나 미래에서 바라보게 하여 자신을 통합적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입체나무 작업은 부정적인 사고로 인해 효율적인 사고의 기능이 어려운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 상황을 거리를 두고 사고 할 수 있게 도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현재만이 아닌 과거와 미래에서 자신을 바라본다는 것은 자아상의 관점이 넓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자신의 상황을 좀 더 멀리서 객관적으로 바라본다는 의미이기도 하며, 대상을 상위 수준에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위 수준의 해석은 추상적이며 대상의 본질적인 측면에 주목하게 만들어 준다(Jia, Hirt, & Karpen, 2009; Foster, Friedman, & Liberman, 2004). 이는 Beck(1985)이 이야기한 불안한 심리로 인해 좁아진 관점(worm’s eye view)를 가진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내담자가 스스로 대처능력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자아상의 관점을 넓혀주는 입체나무 만들기는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내담자를 위한 미술치료의 개입으로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치료에도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참여자들에게 나무가 쓰러지지 않게 지지대를 튼튼히 만드는 과정이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입체나무를 세웠든 못 세웠든 나무를 세우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은 작업에 대한 집중도를 높여 주었으며, 긍정적인 소망을 이야기 하도록 했다. 이것은 세우는 작업이 주는 치유적인 효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참여자들은 내면화된 자기대상을 상징하는 나무의 기둥을 세우기 위해 지지대를 끼워 중심을 잡으며 나무를 세우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그렇게 세운 나무의 기둥 위에 정서나 목표, 이상 등을 상징하는 나뭇잎을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나무의 지지대를 세우고 나무의 수관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우울장애 여성은 스스로 안정감을 얻고 자신을 치유하는 경험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생에서 중요한 선택, 사랑, 결혼, 가족, 직업, 가족과의 분리, 삶의 양식 등을 선택하고, 성인으로서의 삶을 계획하는 초기 단계인 성인초기 여성은 나무가 스스로 서는 작업과정에 더 큰 성취감을 느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성인여성은 단회기 입체나무 만들기를 통해 자신의 우울한 정서를 드러냈지만 입체나무 작업에 대해 스스로 칭찬을 하거나 사진을 찍으며 작업 결과물 자체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는 단회기 미술치료가 대부분의 활동에서 흥미를 잃고 생각하거나 집중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는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여성에서 자기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우울장애로 진단받은 성인초기 여성의 입체나무만들기 작업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연구한 단회기 기반 질적사례연구로서,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내담자에게 효과적인 미술치료 개입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imed to investigate experience of females with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when creating 3-dimensional (3D) Tree through single art therapy session. A total of 12 participants who were diagnosed with depression from Seoul and Gyunggi-do area participated in the single individual art therapy session that creates 3D Tree by using clay for 2 hours per one sessio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art works by the participants, verbatim record, semi-structured interview, counselling memos and daily records as well. The collected data were repeatedly reviewed during the analysis process, in order to avoid making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researcher and errors of judgement. As a result, the common themes were extracted, which included 3 overarching themes and 9 specific themes. The overarching themes included ‘3D Tree to show myself,’ ‘3D Tree to show my relationship’ and ‘The efforts to create 3D Tree.’ The first overarching theme consisted of ‘Depression and what I am now’, ‘Memories of the past’ and ‘Hope for the future.’ The second and third overarching themes were classified into ‘Solitude,’ ’Hostile friends,’ ’Family’ and ‘Making efforts to stake a tree,’ ’Making efforts for tree crown,’ and ‘Compliment for the effor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projected not only their present but also their past and future onto their 3D tree. Putting themselves into the perspective of the past or future indicated that they could look at themselves in more integrated view, aside from their present selves. Therefore, 3D Tree was found to be helpful for the participants with depression who found it difficult to think effectively due to their negative thoughts, to take a step back and look into problems from different angle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take broader views on their current situation, and look at them in more objective manners. Therefore, the creation of 3D Tree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art therapy, which can play animportant role in treatment for those who are diagnosed with depression. Second, this study discovered significant meaning in staking the tree properly by the participants. Making efforts to stake a tree—whether they successfully staked a tree or not—helped to remain focused on work and talk about their positive hopes. It’s curative effect of staking a tree.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had to make efforts to stake a tree which symbolizes their internalized ego and became immersed in their works making more leaves on the tree support pole that stand for their emotion, goal and ideal. In this process, the females with depression experienced to stabilize and heal themselves. The females in their early adulthood who needed to make important choices such as love, marriage, family, separation from family and life style and design their lives as well as adults might find sense of accomplishment in the 3D Tree standing alone. Third, the female with depression showed their emotional depression while creating 3D Tree in single session but responded positively on their works like praising themselves for making 3D Tree and taking pictures. It’s meaningful experience since it provided opportunity to feel positive emotion on themselves for the depressed patients who were motivated. As a single-session qualitative case study, it investigated the meaning of 3D Tree Creation for the females with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and moreover, successfully suggested an effective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the cl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epression as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