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6 Download: 0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증치매 노인의 삶의 질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Title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증치매 노인의 삶의 질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for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using the day care center
Authors
전지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증치매 노인의 삶의 질을 위한 질적 사례연구로 집단미술치료 어떠한 경험을 했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경증치매 노인은 치매의 진행으로 인한 불안, 우울, 위축감, 고립감등을 경험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경증치매 노인은 초기 치매에 해당되므로 인지증상과 더불어 정서적인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정하경, 2016). 특히 삶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일들로 인해 우울 및 위축감을 많이 느끼게 되어 예전의 나와 지금 현재의 나와 비교해서 들게 되는 상실감과 무가치함을 더 많이 느끼게 된다(박재원, 2017).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경증치매 노인들의 정서적인 측면들을 삶의 질과도 연결하여 집단미술치료 경험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사례의 특수성과 목적에 맞게 질적 사례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집단미술치료 사례는 2018년 6월 21일 부터 9월 13일 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고,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노인요양등급 5등급 판정을 받은 경증치매 노인 6명이다. 경증치매 노인의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심리적 안정감, 긍정적인 자기인식, 타인과의 관계형성을 포함한 삶의 질에 초점을 두고 계획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의 사전, 사후 면담과 전회기 녹음을 전사한 축어록과 매 회기의 작품 사진, 연구자의 일지와 보조 치료사의 행동 관찰일지를 참고하여 수집 되었다. 자료 분석은 질적 사례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미술치료의 경험과 그 속에서 느끼는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의미 분석 과정에서 전사한 축어록을 반복적으로 듣고 읽으며 회기 내에서 보여 지는 유의미한 표현을 정리한 뒤에 범주화 시켜 정리하였다.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총 8개의 상위주제와 22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분석의 범주는 〈기대와 걱정으로 시작한 집단미술치료〉, 〈내 마음을 보여주며 인정받고 싶음〉, 〈내 인생에서 진행되는 노화가 안타까움〉, 〈회상을 통해 내 삶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봄〉, 〈마음으로 일치단결된 우리〉, 〈치매라도 소중한 가족에 대한 마음만은 끄떡없음〉, 〈미술치료 시간만은 내 행복에만 집중하고 싶음〉, 〈무료한 내 삶에 생기를 불어 넣은 미술치료 시간이 감사함〉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증치매 노인들이 집단미술치료에서 경험한 의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집단원들과 미술작업을 하고 작품에 담긴 이야기를 집단안에서 나누면서 치매로 인한 우울한 마음과 삶에서의 답답함을 풀어내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찾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혼자 있으면 치매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 때문에 집단에 어우러지려고 노력하였으며, 집단원들과 미술을 매개로 상호작용하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응집된 대인관계 경험을 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은 배움이 치매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며 다양한 미술 매체를 활용한 미술작업과 나눔에 집중하고 성취와 만족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경증치매 노인들은 정서적인 안정감을 구축하며 집단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가 향상되어 응집된 대인관계를 경험했고 또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며 전반적인 삶에서 자신감이 향상된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qualitative case study on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ith mild dementia using day care center and to examine the elderly’s experience in group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Elderly with mild dementia experience anxiety, depression, withdrawal, and sense of isolation in the process of dementia. Sinc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re in early stage of dementia, they experience remarkable cognitive symptom and emotional symptom (Hakyeong Jeong, 2016). Especially, elderly with mild dementia feel depression and withdrawal toward the various life happenings and they feel much sense of loss and worthlessness after comparing themselves in present and past (Jaewon Park, 2017). Thus,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meaning of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by connecting to emotional aspects of elderly with mild dementia on quality of life. For the unique characteristic and purpose of the case,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conducted 12 group art therapy sessions once a week for 60 minutes from June 21, 2018 to September 13, 2018.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6 elderly who were diagnosed of grade 5 in Care Grade System. The purpose of group art therapy for elderly with mild dementia was design focusing on quality of life including psychological stability, positive self-recognition, and formation of relations with others. For collecting data, this study collected record transcribing the pre-interview, post-interview, and overall sessions, photo of artwork for each session, daily record of researcher, and assistant therapist’s journal on behavior observation.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tried to analyze the experiences from art therapy and meaning of such experiences. In analyzing the meaning, this study repeatedly listened and read the transcribed record, organized the significant expressions in sessions, classified the expression, and organized them.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this study derived 8 topics and 22 sub-topics. The categorie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Group art therapy starting with anticipation and worry〉, 〈Showing feelings and getting recognition〉, 〈Feeling sad for aging in the life〉, 〈Looking at life in new perspective through recollection〉, 〈Uniting with hearts〉, 〈Unchanging love for family even with dementia〉, 〈Focusing on own happiness during art therapy session〉, 〈Thanking art therapy for energizing the boring lif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meaning of experiences of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group art therapy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orked on painting and shared ideas about their artworks with the group members. In the process, the participants had the experience of reliving their depression and frustration in life and finding emotional stability. Secondly, the participants tried to get along with other group member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being alone wouldn’t help in dementia. While interacting with group members through art, the participants enhanced understanding on themselves and others and experienced concentrated personal relationship. Third,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learning would help in dementia. The participants focused on painting and sharing through various art media and had the experience of feeling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formed emotional stability, enhanced relationship and experienced condensed personal relationship by interacting with group members, felt satisfaction an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gained more confidence in overall life asp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