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7 Download: 0

유아의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LMA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유아의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LMA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LMA Dance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Young Children’s Dance Literacy
Authors
정재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상미
Abstract
유아에게 매일 매일은 탐구의 여정이며, 그 여행의 수단이 바로 움직임이다. 신체 움직임은 유아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과 긴밀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이 무용교육 또는 움직임 교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무용교육의 큰 목표로 등장한 댄스 리터러시는 무용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풀어내는 능력으로, 댄스 리터러시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움직임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목표로 LMA를 활용한 체계적인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LMA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 유아의 발달적 특성, 댄스 리터러시, LMA이론 등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목표, 영역,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로 프로그램을 구체화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해서는 2018년 5월 1일부터 7월 12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D국공립어린이집 만 5세 유아 13명을 대상으로 8주간 주 2회씩 총 16회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자에게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각각 지각운동능력검사, 창의적 신체표현능력검사, 공간능력검사, 사회적 능력검사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양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가 작성한 수업일지와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와의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운동능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 각 부위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공간과 시간요소의 변화를 주어 움직임을 수행하는 활동을 통해 유아가 신체, 공간, 방향, 시간을 인식하도록 하여 지각운동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에포트를 사용하여 이미지, 감정 등을 움직임으로 구체화시키는 활동을 통해 유아가 움직임의 특질을 생각하고 창작함으로써 동작의 다양성, 동작의 방향성, 동작의 시간성, 동작의 흐름변화, 동작의 표현성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간능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공간능력의 하위요소 중 눈-운동 협응과 공간적 추리를 제외한 형태-배경 구별,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 공간 지각에서 위치알기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가 다양한 도형과 경로를 경험하고 소도구를 활용하여 공간을 탐색하는 활동을 통해 공간 내 위치 및 형태를 지각하고 대상과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넷째, 사회적 능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모둠활동에서 친구들과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움직임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을 통해 유아의 협력성, 자기통제성, 주장성을 포함한 사회적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그 외의 결과로 유아의 신체 움직임 범위, 신체표현, 공간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고 유아의 능동적 참여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한국의 무용교육표준, 미국의 국가핵심무용교육표준 및 뉴질랜드의 무용교육과정, 스미스-오타드의 미드웨이 모형 및 누리과정을 토대로 구성하고 LMA를 적용한 것으로서 유아의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둘째, 댄스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지각운동능력,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공간능력, 사회적 능력을 함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LMA 무용교육 프로그램 적용집단과 일반적 유아무용 프로그램 적용집단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댄스 리터러시를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LMA(Laban Movement Analysis) dance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young children 's dance literacy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by this study are: 1. How will the LMA dance education program be organized to improve the children's dance literacy? 2. What is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the LMA da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s dance literacy?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In order to develop the LMA da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s dance literacy, this study conducted the LMA dance education program for 13 young children aged 5 years old in a national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Republic of South Korea for two month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a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e pre and post test(perceptual motor ability test,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test, spatial ability test, social ability tes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a class journal written by the researcher and interviews with the teach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LMA dance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children's perceptual motor ability,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spatial ability and social ability. First,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items of perceptual motor 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are able to perceive their body, space, direction and time by using various parts of the body and performing movement by changing space and time factors. Second,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items of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Through the use of effort element, images and emotions can be used to motivate the child to think and create the nature of movement, thereby helping to improve the variety of motion, motion direction, motion time, motion flow change, and motion expression. Third,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spatial ability items.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spatial ability,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shape recognition-background distinction, visual memory and recall, and location awareness in spatial perception, excluding eye-movement coordination and spatial reasoning. It is thought that the young children were able to perceive their position and form in space and to recognize their relation with the object by experiencing various shapes and paths and exploring space using props. Fourth, social ability items showed meaningful results. It is believed that this process helped to improv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cluding cooperation, self-control, and assertiveness through the process of talking with friends and motivating them in group activities. Through the data from the class journal and inter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physical movement range, body expression and space were improved, and active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as show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LMA danc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function as a teaching- learning program for children to develop dance literacy. The process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nstructed by applying LMA theory based on Dance Education Standards by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National Core Arts Standards in Danc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Arts in the New Zealand Curriculum in Danc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program was based on Smith-Autard’s Midway model and Nuri-curriculum, which led to appropriat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and the children was used to prepare a systematic and advanced class. Second, LMA da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s dance literacy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perceptual motor ability,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space ability and social ability.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age range of the subjects and the design of comparative groups is needed. Also, a test tool for measuring dance literacy is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