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67 Download: 0

한국무용 다감각 훈련이 여성노인의 수평시야, 체력, 자세, 보행, 낙상효능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한국무용 다감각 훈련이 여성노인의 수평시야, 체력, 자세, 보행, 낙상효능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multisensory training with Korean traditional dance on the female elderly's visual field, physical fitness, posture, gait, falls efficacy, depression
Authors
안주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 다감각 훈련이 여성노인의 수평시야, 체력, 자세, 보행, 낙상효능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와 각 변인들 간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의 여성노인으로 운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30명,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30명이다. 운동은 한국무용을 기반으로 한 체력, 눈-고개 협응향상, 시선고정, 고유수용감각 및 전정계 향상, 보행강화 훈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주간 주 2회, 60분씩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은 한국무용 다감각 훈련의 참여 유무이며, 종속변인은 수평시야, 체력, 자세, 보행, 낙상효능감, 우울이다. 수평시야는 종이판 시야검사법(김재민, 유근창, 2002)을, 체력은 한국형 노인체력검사(문화체육관광부, 2012)를, 자세는 바디스타일(Mzen, 한국)을 사용하였다. 보행은 압력분포측정기(E-mad, 독일)를 사용하였으며, 발바닥을 총 4개 영역으로 나누어 접촉시간, 접촉면적, 최대 힘, 최대압력을 분석하였다. 낙상효능감은 한국형 노인 낙상효능감 척도(FES-K)를, 우울은 한국판 단축형 노인우울 척도(SGDS-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 승인을 받아 연구 윤리를 준수하여 진행하였다(과제번호: 155-4). 자료 처리는 SPSS(22.0) 통계프로그램의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공변량 분석(ANCOVA), 이원배치분산분석(two-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위계적 조절회귀분석(hierarchic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무용 다감각 훈련 후 실험집단의 수평시야는 좌측시야(10%)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수평시야의 확장 및 좌우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체력은 하지근력(18%), 유연성(18%), 평형성(18%), 심폐지구력(8%)이 향상되었다. 자세는 견갑골 하각 기울기(-65%), 종골(우)각기울기(-53%), 좌우 골반기울기(-40%), 좌우 어깨기울기(-34%), 다리굴곡(좌) 각도(-25%)가 감소하여 교정에 도움이 되었다. 보행은 왼발의 전체(-7%), 중족(-7%), 전족(-7%), 발가락(-6%)과 오른발의 전족(-5%)에서 접촉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왼발 발가락의 최대 힘(16%)과 최대압력(26%)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오른발 전체의 최대압력(-24%)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보행의 속도와 발가락의 사용이 증가하여 보행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낙상효능감은 집단 내 평균점수 이하 그룹(19명)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우울(-48%)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비교집단의 수평시야, 체력, 낙상효능감, 우울은 사전·사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후 자세의 종골각(좌) 기울기(29%)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나빠졌다. 보행은 왼발 중족(5%), 오른발 전족(3%)의 접촉면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왼발의 최대압력(12%)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왼발의 기립각이 교정되었으나, 발의 지지면적이 감소하고, 최대압력이 증가하여 발바닥이 체중을 분산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므로, 발의 안정성이 감소하였다고 볼 수 있다. 수평시야는 체력, 자세, 보행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낙상효능감, 우울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수평시야는 좌측에 비하여 우측이 유의하게 넓었으므로 시야의 불균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훈련을 통한 시야(좌)의 확장 및 균형으로 하지의 정렬, 보행속도 증가, 발바닥 압력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한편, 평형성은 좌우 골반기울기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심폐지구력과 좌우 어깨기울기는 보행 시 발의 접촉시간 감소와 관련이 있었으며, 오른발 기립각의 정렬은 보행 시 발의 능동적 힘을 증가시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 유연성 향상은 낙상효능감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심폐지구력 향상은 우울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한국무용 다감각 훈련이 여성노인의 수평시야, 체력, 자세, 보행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62%였으며, 자세(35.4%), 보행(33.4%) 순이었다. 훈련에 따른 시야(좌)의 확장은 유연성의 향상, 다리굴곡(좌), 종골각(우)의 교정, 왼발 보행 속도의 증가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한국무용은 동작마다 그에 맞는 시선이 있으며, 시선 처리 역시 동작의 한 부분이다. 무용을 할 때, 올바른 시선은 움직임의 범위를 극대화하고, 더욱 더 자연스럽고 우아한 동작을 할 수 있게 한다. 한국무용의 이러한 장점을 살린 시선훈련은 수평시야의 확장 및 균형은 물론 노인에게 필요한 자세교정, 보행향상, 체력(하지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평형성)의 향상과 낙상효능감, 우울에도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상지근력, 협응력, 시상면에서의 자세는 차이가 없었다. 상지근력과 협응력의 향상, 시상면 자세의 교정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지의 다관절 닫힌 힘 사슬운동 적용을 위한 다양한 소도구의 활용, 탄성이 높은 무른지면 조성 등 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시야가 좁아지는 뇌졸중 또는 치매노인에게도 시선훈련의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추후과제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sensory training on the horizontal vision, physical fitness for the elderly, posture, gait,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of female elderly. The subjects were 30 elderly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and 30 elderly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The exercise consisted of physical fitness based on Korean dance, improvement of eye-head coordination, gaze fixation, proprioception and vestibular enhancement, and gait training. The exercise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for 12 weeks. Independent variables were multisensory korean dance training participa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horizontal visual field, physical fitness, posture, gait,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The horizontal field of view was measured using a paper plate field test (Kim Jae-min, Yu Geun-chang, 2002), physical fitness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elder physical fitness tes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and posture using body style (Mzen, Korea). Gait was analyzed for contact time, contact area, maximum force, and maximum pressure by dividing the sole of foot into four areas using a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ment (E-med, Germany). Falling efficacy was assessed by the Korean Geriatric Geriatric Efficacy Scale (FES-K), and depression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 This research was approved by the IRB (Department of Bioethics, Ewha Womans University) and complied with the research ethics (Task Number: 155-4).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COVA, two-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multivariate ANOVA, and hierarchic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5.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orizontal visual field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left visual field (10%) after the Korean dance noisy sensory training, which positively affected the horizontal visual field expansion and left-right balance. Physical fitness improved leg strength(18%), flexibility(18%), balance(18%) and cardiovascular endurance(8%). The right and left shoulder blade angle(-65%), right calcaneual angle(-53%), lateral pelvic tilt(-40%), interacromial angle(-34%) and left knee flexion angle decreased. This means that the posture has been corrected. The contact ti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eft side of the foot(-7%), mid foot(-7%), fore foot(-7%), toes maximum force(16%) and pressure(26%) of the left to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maximum pressure of the right foot(-24%)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a result, the walking speed and the use of the toe increased, and the walking ability was improved. Fall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19 patients), and depression (-48%)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ean score in the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orizontal visual field, physical fitness,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left calcaneal angle(29%) decreased significantly. Walking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act time of the left midfoot(5%) and right forefoot(3%)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aximum pressure of the left foot(12%). The calcaneal angle of the left foot was corrected, but the contact area of the foot decreased and the maximum pressure increased. As a result, the stability of the foot is reduced because the sol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weight distribution. Horizontal visual field was correlated with physical fitness, posture, and gait,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The expansion and balance of the left visual field through Korean dance multisensory training influenced the alignment of the legs, the increase of the walking speed, and the dispersion of the sole pressure. On the other hand, the balance was correlated with lateral pelvic tilt.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interacromial angle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foot contact time during walking, and the right foot calcaneal angle had an effect on increasing the active force of the foot during walking. The improvement in flexibility affected the increase in fall efficacy, and the improvement in cardiovascular endurance affected depression. The effects of Korean dance multisensory training on the horizontal vision, physical fitness, posture and walking improvement of the elderly women were 62%, followed by posture(35.4%) and walking(33.4%). Extension of left visual field according to training modulated the improvement of flexibility, correction of leg flexion(left), correction of calcaneal angle(right), and increase of left leg walking speed. Korean dance has an eye field for each movement, and the eye field is also part of the movement. When doing Korean dance, the right eye field maximizes the range of motion and makes it more natural and elegant. Eye field training utilizing these advantages of Korean danc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osture correction, walking, physical fitness(leg strength,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equilibrium),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necessary for elderly people as well as horizontal field of view expansion and balance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body strength, coordination, and posture. In order to improve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coordination, and correction of sagittal posture,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athletic workout for multijoint closed loop kinetic chain exercises and complementary programs such as high elasticity floor preparation. Based on thes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ye training on the elderly with stroke or dementia whose vision is narrow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