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1 Download: 0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산출과 인지 양상 연구

Title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산출과 인지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spects of Korean Intonation Output and Perception for English-Speaking Korean Learners : Focused on Sentences with ‘-eulgeol’ at the End of a Sentence
Authors
임수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억양의 화용적 기능에 초점을 두고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화자의 태도에 따른 한국어 억양 산출과 인지 양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였으며, 한국어 억양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억양의 화용적 기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집단 간 억양 산출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고, 연구 문제 2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집단 간 억양의 화용적 의미기능 인지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억양의 기능과 한국어 억양의 유형을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선정한 문종결 위치 ‘-(으)ㄹ걸’의 의미 기능과 억양을 정리했다. 문종결 위치에서 ‘-(으)ㄹ걸’의 의미 기능을 ‘추측’, ‘후회/ 아쉬움’, ‘미안함 표시’, ‘확신/ 주장’, ‘핀잔’, ‘경고’, ‘체념’을 총 7개로 제시하고, 각 의미 기능이 나타나는 구어 담화 상황을 설정하여 이에 따른 억양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과 연구 절차, 연구 도구, 자료 분석 방법에 관해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에서 제시한 연구 도구를 토대로 진행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화자의 태도에 따른 문종결 위치 ‘-(으)ㄹ걸’의 억양 산출 실험 및 인지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어 집단 간 억양 산출 양상과 인지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산출 실험과 인지 실험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산출 실험 결과 첫째,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추측’의 기능을 하는 문종결 위치 ‘-(으)ㄹ걸’의 억양 산출에 있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이 화용적 의미 기능에 따른 문종결 위치 ‘-(으)ㄹ걸’의 억양 산출에 있어 의미 기능별 뚜렷한 특징은 보인 반면,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추측’ 의미 기능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추측의’ 억양인 LH%를 높은 빈도로 산출하고 있었다. 셋째,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문종결 위치 ‘-(으)ㄹ걸’이 반드시 L%와 같은 하향 억양으로 실현되어야만 하는 상황에서 L%를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인지 실험 결과 첫째,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화자의 태도에 따른 문종결 위치 ‘-(으)ㄹ걸’의 억양 산출 실험 결과와 달리 억양에 나타나는 화자의 태도나 화용적 의미 기능 비교적 잘 인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한국어 모어 화자가 ‘핀잔’을 나타낼 때 산출되는 LHL%를 산출한 영어권 학습자는 0명이었던 반면, LHL%를 ‘핀잔’으로 인지한 비율은 87%였다. 둘째, L:% 억양을 통해 ‘미안함’을 간접적으로 표시하는 상황에서 간접 표현을 인지하지 못하고 개인의 ‘체념’으로 선택하였다는 점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종결 위치의 ‘-(으)ㄹ걸’에 초점을 두고 의미 기능에 따른 억양 산출 및 인지 양상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어 교육에서 주로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것에 반해 본 연구는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억양 산출 및 인지 양상을 살펴보았다. 셋째, 영어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고급 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한 종류의 억양만을 주로 산출하는 오류를 밝혔다는 점, 그리고 의미 기능 인지에 있어 한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간접적인 표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focuses on the pragmatic function of intonation and examines the perception of Korean intonation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speaker and the perception patterns of the group of Koreans and the group of English-speaking Korean learner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Ⅰ, it describ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examined the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e Korean intonation, confirming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pragmatic function of intonation. In this sense, suggesting two subjects for study. The subject for study 1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intonation output between the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English-speaking Korean learner groups, and the subject for study 2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perception difference in intonation function between the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English-speaking Korean learner groups. In Chapter Ⅱ, it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function of intonation and the type of Korean accent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summarized the meaning function and intonation of ‘-eulgeol’. In the end of a sentence, the meaning function of ‘-eulgeol’ is suggested with 7 expressions in total including, ‘guessing’, ‘regret’, ‘express sorriness’, ‘assurance/ assertion’, ‘scolding’, ‘warning’, ‘resign’. It also presented intonation analysis framework by setting the spoken discourse situation in which each meaning function is expressed. Chapter III describes the subject of this study, research procedures, research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In Chapter Ⅳ, it derived intonation output experiment and the perception test result of the ‘-eulgeol’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Korean speaker and the English learner’s speaker based on the research tool presented in Ⅲ. And then,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pattern of intonation output and perception patterns among groups. In Chapter Ⅴ,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and perception experiments are presented. First,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showed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of English-speaking have no difference in the Korean native speaker in intonation output of ‘guessing’ of ‘-eulgeol’. Second,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distinct features by mean function in intonation output of ‘-eulgeol’, according to pragmatic meaning function, whereas English-speaking Korean learner group showed LH% of intonation output at a high frequency, in all questions except supposing meaning function. Third, the English-speaking Korean learner group showed almost no L% in the situation where the end of a sentence position ‘-eulgeol’ must be realized with the downward accent with L%.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test we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learners of English-speaking were relatively well aware of the attitude or the pragmatic meanings of into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peaker’s attitude, unlike the result of intonation output of ‘-eulgeol’. In particular, the number of English learners who showed the LHL% when the Koreans expressed scolding was 0, while the rate of recognition of LHL% was 87%.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in the situation where L:% intonation indirectly displays the sorriness, they did not recognize the circumstance properly, and attributed to the loneliness of the individua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focused on ‘-eulgeol’ in the end of a sentence, and examined intonation output and percep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meaning function in detail. Second, in contrast to studying Chinese learners main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intonation output and perception patterns in English-speaking Korean learners. Third, despite the fact that the advanced learners of English-speaking Korean language have the advanced level, revealed the error that only the one kind of intonation was primarily derived, and that they did not recognize the indirect expression frequently used in Korean in terms of perception of meaning fun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