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4 Download: 0

성별과 상황 변인에 따른 한국인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응답 화행

Title
성별과 상황 변인에 따른 한국인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응답 화행
Other Titles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of Korean and Thai Korean Learners : According to Gender and Situational Variables
Authors
여희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인 모어 화자와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화용 규칙의 습득이 중요하다. 특히 외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경우, 자연스러운 화용 규칙 습득이 어려워 화용 규칙을 학습하지 않으면 한국인과의 대화에서 화용적 실패(pragmatic failure)를 경험할 수 있다. 한국어교육에서 칭찬 응답 화행은 다른 화행에 비해 연구가 부족하며, 최근 한국어의 수요가 높아진 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칭찬 응답 화행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의 칭찬 응답 화행을 비교하고자 한다. 한편, 한국어는 언어의 성선호적 차이(sex-preferential differentiation)가 존재하는 언어로, 칭찬 응답 화행도 화자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실현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은 칭찬 응답 화행을 칭찬 대상, 상대적 지위, 친밀도와 같은 상황 변인에 따라서 다르게 실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성별 집단으로 나누어 칭찬 응답 화행 사용 양상을 비교하고, 칭찬 상황 변인에 따라 각 집단의 칭찬 응답 화행 실현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I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에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먼저, 칭찬 화행과 칭찬 응답 화행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 방법과 방향성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한국어의 성별 언어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어에서의 성별에 따른 언어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정리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은 ‘한국인 모어 화자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화자의 성별에 따라 칭찬 응답 화행 실현 양상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 문제 2는 ‘각 실험 참여자 집단은 상황 변인인 칭찬 대상, 상대적 지위, 친밀도에 따라 칭찬 응답 화행 실현 양상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II 장에서는 본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먼저 칭찬 및 칭찬 응답 화행의 개념과 기존 연구의 칭찬 응답 화행 유형을 정리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할 칭찬 응답 화행 유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성별 언어의 개념과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음운, 문법, 어휘 화용 측면에서의 성별 언어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III 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연구 절차, 실험 참여자, 자료 수집 도구 및 분석 방법을 정리하였다. 칭찬 및 칭찬 응답 화행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24개의 칭찬 상황을 도출하여 한국인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상황 선택을 위한 조사를 통해 상황의 실현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를 통해 본 실험에서 사용할 담화 완성형 테스트(DCT; Discourse Completion Test)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DCT 실험지는 본 실험 전 한국인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예비 실험을 시행하여 각 문항이 칭찬 응답을 수집하기 위한 실험 목적에 맞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한국인 여성 모어 화자 20명, 한국인 남성 모어 화자 20명, 태국인 여성 한국인 학습자 20명, 태국인 남성 한국인 학습자 20명, 총 80명을 대상으로 본 실험 DCT를 진행하였다. IV 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도출하고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을 정리하였다. 본 실험에서 도출한 연구 문제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 칭찬 응답 화행 유형 개수와 상황별 칭찬 응답 화행 유형 평균 개수는 한국인 여성, 한국인 남성, 태국인 남성 학습자, 태국인 여성 학습자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인이 태국인 학습자에 비해 많은 유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인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태국인 학습자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더 많은 유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칭찬 응답 화행 유형 사용 순위를 분석한 결과 네 집단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유형은 ‘감사하기’로 같았다. 그러나 한국인 여성과 남성 집단은 2위 이하의 순위가 달라 사용 양상에 차이를 보인 반면에,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여성, 남성 집단의 유형 사용 순위가 5위까지 동일하게 나타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성별에 따른 칭찬 응답 화행 교수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연구 문제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인은 칭찬 대상, 상대적 지위, 친밀도에 따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칭찬 응답 화행 유형이 ‘감사하기’, ‘설명하기’, ‘칭찬 약화하기’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태국인 학습자는 상황 변인에 따른 차이 없이 대부분 ‘감사하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도 한국인 여성과 남성은 상황 변인에 따라 선호하는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지만, 태국인 학습자는 선호하는 유형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황 변인에 따른 한국인의 칭찬 응답 화행 유형 교수의 필요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V 장에서는 연구를 종합하여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 및 의의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칭찬 응답 화행 유형 교수의 필요성과 칭찬 응답 유형 상황에 맞는 칭찬 응답 화행 교수의 필요성을 밝혔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 살펴보지 않았던 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칭찬 응답 화행 교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성별 집단에 따라 칭찬 응답 화행 양상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밝혔다. 본 연구가 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칭찬 응답 화행 교수 방안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It is important to acquire pragmatic rules in order for foreign Korean learners who speak Korean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Korean native speakers. In particular, learners who learn Korean in foreign countries may experience pragmatic failure in dialogue with Koreans if they do not learn pragmatic rules because they are difficult to learn pragmatic rules naturally.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to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in Thailand where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has recent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ailand. Meanwhile, Korean language has a sex-preferential differenciation, and that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In addi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Koreans have differentiated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according to situational variables such as to whom they praise, relative status, and intim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by dividing Korean and Thai Korean learners into gender groups, and to analyze the use of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depending on compliment situational variables.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In Chapter I, I clarif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examine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n develop the research problem. First, the method and direction of the study is embodied through the precedent study of the speech act of compliments and compliment responses. Also,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gender language in Korean, it is clarified how languag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re expressed in Korean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confirm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gender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ai Korean learners, is there a difference of realizing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2.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variables such as to whom they praise, relative status, and intimacy, how the experiment participants show differences in the realization of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Section II summar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First the speech act of compliments and compliment responses, and the strategies of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of existing research are summarized. And then the strategies of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which will be used in this study, is laid out. In addition, the concept of gender langu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language in terms of phonology, grammar, and pragmatic appearing in previous studies are summarized. Section III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Research procedure, experiment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tools, and analysis methods are summariz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peech act of compliments and compliment responses, 24 compliment situations are derived. And then the possibility of situational realiza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survey of selecting situation by the Korean native speaker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items of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which will be used for this study, are constructed. DCT experiment is confirmed by preliminary experiment with Korean native speakers, which was performed to see whether each item is set reasonably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the compliment responses. Then DCT is conducted on total 80 people; 20 female Korean native speakers, 20 male Korean native speakers, 20 Thai female-Korean learners, 20 Thai male-Korean learners. In Section IV,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derived and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are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 1 derived from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strategies of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and the average number of the strategies of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by situation are in the order of Korean women, Korean men, Thai male-Korean learners, and Thai female-Korean learners. It is found that Korean native speakers use more strategies than the Thai Korean learners do and Korean men use more strategies than Korean women do, and Thai male-Korean learners use more strategies then Thai female-Korean learners d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rder of use of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strategies, the most used type in four groups was 'Appreciation Token'. However, while the Korean women and men group showed a difference in the usage patterns (since their rankings below the 2nd rank of are different), the Thai Korean learners showed less differences, because they showed the same rank order to 5th rank of. This leads to the need of study for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for Thai Korean learners, depending on their gender. Next, the results of Research Question 2 a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ly used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by Koreans, according to whom they praise, relative status, and intimacy, are 'Appreciation Token', 'Comment history', 'Scaling down of praise', while Thai Korean learners use 'Appreciation Token' most frequently, with no difference according to situational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Korean women and men have different preferenc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variables, but Thai Korean learners have similar preference strategies. In this way, I could see the necessity of study for type of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variables. Section V summarizes the research and summarizes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s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necessity of teaching for various strategies of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for Thai Korean learners and the necessity of teaching for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according to the compliment response strateg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about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for Thai Korean learners, which was not studied in the previous study, is suggested and the direction of study is suggested. Second, the differences of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according to gender group are clarified by comparing it.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in constructing teaching methods the speech act of compliment responses for Thai Korean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