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과정 중급 학습자를 위한 화행 중심 교재 개발 연구

Title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과정 중급 학습자를 위한 화행 중심 교재 개발 연구
Authors
김은실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포트폴리오는 중급 숙달도의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 향상을 위한 화행 중심 말하기 교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중급 학습자들 중에서도, 최근 들어 큰 양적 증가를 보이고 있는, 한국어 어학 연수를 목적으로 국내의 대학 부설 한국어 과정에서 수학 중인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어학교육통계서비스(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에 따르면 ‘2017년 고등 교육 기관 내 외국인 유학생 수’는 12만 3천 858명으로 이들 중 학위과정 중에 있는 유학생은 7만 2천 32명, 비학위과정 유학생은 5만 1천 826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2016년에 보고된 수치와 비교할 때 약 2만 명에 달하는 인원이 증가한 규모이며, 이러한 증가세의 중심에는 무엇보다 비학위과정의 단기 어학 연수생이 있으며, 그 수가 2012년 1만 6639명에서 2017년에 이르러 3만 5734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 4명 중 1명의 한국 방문 및 체류의 목적이 바로 ‘한국어 학습’인 것이다. 국내 고등 교육 기관에서 어학 연수 과정에 있는 한국어 학습자 개개인이 한국어를 배우는 구체적인 목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이들이 교육 기관이 제공하는 교육 과정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목표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실제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원활하게 의사소통하는 것일 것이다. 우리의 삶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은 상대방에 정보 전달뿐 아니라 상호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잘 유지하는 데에 기본이 되는데, 특히 대인 관계를 위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특정 언어 공동체 고유의 사회문화적 기준에 비추어 수용되는 적절한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인간의 전반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구성하는 ‘화용 능력(pragmatic competence)'은 사회적 맥락에서 적절하게 언어를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이며 언어의 기능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의 두 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균형 있는 계발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문법적 지식 위주의 학습을 넘어 화용적 측면에서의 지식과 규칙에 대한 교수·학습이 필수적이다. 화용적 측면의 지식과 이해의 부족으로 제2언어 학습자들은 실제 언어 사용 맥락에서 ‘화용적 실패(pragmatic failure)’를 경험하는데, 한국어 학습자들은 특히 의도치 않게 무례한 발화를 생산하여 모어 화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의사소통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례한 발화나 행동으로 인해 상대방인 모어 화자는 불쾌함을 경험한 반면, 이러한 사실을 한국어 학습자는 인지하지 못하는 등 한국어 학습자의 이러한 낮은 화용 인식은 학습자가 문법 오류를 피하기 위한 문법 학습에만 치중하는 경향으로 이어져 이러한 현상을 볼 때 명시적인 화용 교육을 위한 화용적 자질에 초점을 맞춘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 함양을 위해 본 포트폴리오는 한국어의 일반적인 화행을 중심으로 개발 교재를 구성하였다. 화행 교육은 발화의 행위적이고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면서 일상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실제적 언어 사용에 초점을 둔다. 특정 언어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규칙적이고 예상 가능한 패턴에 따라 화행을 적절하게 수행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알고 있지만, 제2언어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화행 수행에 관여하는 상황 맥락과 사회적 변인을 인지하고 그에 걸맞은 적절한 언어 형식 및 비언어적 요소 그리고 비교문화적 관점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과제이므로, 이러한 과제에 직면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어 화행 수행에 초점을 맞춘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교실 밖의 실질적이고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