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2 Download: 0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ent’s neglect on depression in middle school-aged children and middle school adolesc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ice useful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
Authors
김소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방임과 우울 간의 영향관계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정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밝힘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438명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에서 보건복지부와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의 위탁을 받아 수집된 지역아동센터 아동 패널 조사 2017년도 4차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와 그에 따른 측정도구들을 살펴보면,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정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때 부모의 방임은 허묘연(2000)의 아동학대 문항을 참고하여 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청소년의 우울은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1984)이 고안한 간이정신진단검사 중 우울척도를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정도는 청소년이 지각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2018)이 고안한 센터내 서비스 도움정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방임이 클수록 청소년의 우울 수준이 높아지나, 부모 방임과 청소년 우울의 관계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로부터 도움을 받는 정도에 따라 조절되었다. 즉, 부모의 방임을 받더라도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친구들을 사귀고 함께 지내는 시간, 식사를 하는 것, 집에 안전하게 갈 수 있도록 지도해주는 도움을 받음으로써 청소년의 우울이 완화되었다. 둘째, 방임이 심각한 수준일 때보다는 다소 경미하거나 심각한 수준이 아닌 때에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정도의 완충정도가 더 높았다. 즉,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도움이 된다고 지각하는 정도가 높음으로 불구하고 방임이 심각한 수준일 때는 우울이 높았으나, 경미한 수준의 방임을 경험한 아동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도움이 된다고 지각하는 정도에 따라 우울이완화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우울에 대한 이해를 비롯하여 이를 완화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부모의 방임의 부정적 영향력을 부각시켰다. 본 연구는 청소년방임이라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발달적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 parents’ neglect and depression, and whether community child center’s service has the moderating effect, which will reveal the effectiveness of the service. 438 students in first year of middle school wer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panel research was received from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which was commissioned by Ministry of Health-Welfare and Headquarters of Community Child Center. The data used panel research’s fourth investigation in 2017. For parents’ neglect, Child abuse analysis of Heo Myoyeon(2009) and Kim Se Won(2003) were applied as a reference for scale. For depression in children, depression scale in The Symptoms Check List designed by Kim Jae-Hwan, Kim Gwangil, Won Hotaek(1984) was referenced for scale after modification. Moreover, in order to find scale for service useful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 the thesis used service usefulness scale designed by Headquarters of Community child Center (2017).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in first year students showed increased level of depression with parental neglect, yet it was controlled by the amount of service received from community child center. Thus, despite neglect from parent, adolescents’ depression was also relieved through service from community child center, such as socializing with friends, time allowed for studying alone, and assisting for safe commute home. Second, The degree of buffering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s usefulness level was higher when a level of neglect was mild or not severe. In other words, when students experienced high level of neglect, depression was not controlled by the amount of service usefulness. However, when students experienced mild level of neglect, depression was controlled by the amount of service usefulness received from community child center. This study emphasized not only the understanding of depression in adolescence, but also the negative influence of neglec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olving serious social problem of youth neglect, as well as developing a program that reflects developmental needs, in order to increas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