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1 Download: 0

Speech Language Profile Group(SLPG) 분류체계에 근거한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 분포 및 판별요인분석

Title
Speech Language Profile Group(SLPG) 분류체계에 근거한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 분포 및 판별요인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subgroup distribution and discriminant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ased on Speech Language Profile Group
Authors
정필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뇌성마비 아동은 말, 언어 및 인지 문제를 동반하며 이로 인해 의사소통 상황에서 다양한 어려움들을 경험하게 된다. 뇌성마비 아동이 보이는 말장애 양상들은 호흡, 발성, 말속도, 말명료도 등의 말산출 하부영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말산출과정에서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언어능력에서도 어려움이 보고되고 있다. 전반적 언어능력이나 평균발화길이, 어휘력 등에서 낮은 수행을 보이며 일반아동에 비해 지체되어 있다. 다른 장애군과는 달리 뇌성마비 아동은 신체적인 결함을 동반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운동능력 중심의 분류체계를 적용해 오고 있다. 많은 연구들을 통해 이러한 운동능력 중심의 분류체계를 통해 뇌성마비 유형 간에 상이한 양상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말, 언어능력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고, 특성들이 서로 중첩되어 있다는 결과도 제시하였다. 운동능력 중심의 분류체계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말, 언어 및 의사소통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언어재활에 있어서 중재를 위한 의사결정을 할 때는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뇌성마비 아동의 중재를 위해서는 말,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을 고려한 새로운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2000년대 이후로 새로운 분류체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 시도 가운데 하나로 SLPG(Speech-Language Profile Group)를 사용해 뇌성마비 아동의 말, 언어 결함을 고려한 새로운 분류체계를 적용해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SLPG하위그룹에 따라 국내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그 분포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SLPG 분류체계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분류체계 간의 상관이 어떠한지 알아보며 둘째, SLPG 하위그룹별 말, 언어 및 인지능력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셋째, 이러한 분류체계를 가장 잘 판별해 줄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만 4세~16세의 뇌성마비 아동 87명(경직형 67명, 불수의 운동형 4명, 실조형 3명, 혼합형 13명)이 참여하였다. 평가과제로는 말능력은 모음연장발성, 아동용 발음평가, 문장따라말하기를 실시하였고, 언어능력은 수용어휘력 검사, 인지능력은 동작성 지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이 과제를 통해 최대발성지속시간, 음성강도, 말명료도, 말속도, 수용어휘력 및 인지능력을 측정하였다. SLPG 하위그룹은 말장애유무, 언어문제 유무에 따라 말과 언어문제가 없는 NSMI-LCT(no clinical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age appropriate language, cognitive abilities), 말문제는 없지만 언어문제가 있는NSMI-LCI(no clinical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impaired language, cognitive abilities), 말문제가 있지만 언어문제는 없는 SMI-LCT(speech motor impairment and age appropriate language, cognitive abilities), 말과 언어문제가 있는SMI-LCI(speech motor impairment and impaired language, cognitive abilities), 무발화이지만 언어문제는 없는ANAR-LCT(anarthria and age appropriate language, cognitive abilities), 무발화이면서 언어문제가 있는ANAR-LCI(anarthria and impaired language, cognitive abilities) 등6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LPG 하위그룹별 분포비율은 NSMI-LCT 그룹은 11.5%, NSMI-LCI는 8.0%, SMI-LCT는 12.6%, SMI-LCI는 19.5%, ANAR-LCT는 11.5%, ANAR-LCI는 36.8%로 ANAR-LCI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NSMI-LCI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SLPG와 CFCS 분포비율은 CFCS 수준 I에서 NSMI-LCT가 50%를 차지하였고, CFCS 수준 V에서 ANAR-LCI가 84.1%를 차지하였으며 SLPG와 CFCS 간 상관은 .875이었다. SLPG와 GMFCS 분포 비율은 GMFCS 수준 IV와 V에서는 SLPG 하위그룹 ANAR-LCT, ANAR-LCI 그룹과 일치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다른 하위그룹과는 분포가 여러 수준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SLPG와 GMFCS 간에는 .548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SLPG 하위그룹별 말, 언어 및 인지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최대발성지속시간은 NSMI-LCT와 SMI-LCT, SMI-LCI, ANAR-LCT, ANAR-LCI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음성강도는 NSMI-LCT와 ANAR-LCI 간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말속도는 NSMI-LCT와 ANAR-LCT, ANAR-LCI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NSMI-LCI와 ANAR-LCT, ANAR-LCI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말명료도는 말문제 유무가 동일한 하위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말문제가 다른 하위그룹 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능력은 언어문제가 동반되는 LCI 그룹과 동반하지 않는 LCI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언어문제가 동일한 그룹임에도 NSMI-LCI와 ANAR-LCI 그룹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능력은 NSMI-LCT와 ANAR-LCI 그룹 간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SLPG 하위그룹을 가장 잘 판별하는 함수는 말명료도, 말속도, 수용어휘력 순으로 나타났다. SLPG 하위그룹의 전체 분류 정확도는 76.38%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SLPG 하위그룹별 분포비율에서 뇌성마비 아동의 50% 이상이 말장애 및 언어장애를 동시에 동반하며 무발화이면서 언어문제를 동반하는 그룹의 비율이 가장 높고, 말문제는 없지만 언어문제가 있는 그룹의 비율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SLPG와 CFCS 간 분포비율과 상관으로 볼 때 말, 언어능력과 의사소통능력과는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었으나 SLPG와 GMFCS 간의 분포비율과 상관은 중간 정도로 말, 언어능력과 대근육 운동기능과의 관련성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에서 뇌성마비 아동에게 분류체계를 적용할 때 운동능력 중심 분류체계 외에 말,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에 따른 분류체계도 함께 적용하여 상호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뇌성마비 아동의 말, 언어 및 인지능력은 SLPG 하위그룹 간에 세부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최대발성지속시간은 말, 언어문제가 없는 그룹과 말, 언어문제가 심도인 그룹 간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 SLPG 하위그룹의 중증도가 심화될수록 최대발성지속시간은 짧으며, NSMI-LCT 그룹에 비해 다른 하위그룹들에서 상대적으로 호흡기능에 제약이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음성강도는 다른 하위그룹에 비해 ANAR-LCI 그룹의 음성강도가 매우 약하며 적절한 성문하압의 생성 및 유지와 성대긴장도 조절능력이 다른 하위그룹에 비해 약하기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 말속도는 말문제가 없는 그룹과 심도의 말문제가 있는 그룹 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말문제가 없는 그룹에 비해 중등도에서 심도의 말문제를 보이는 하위그룹의 말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말명료도는 말문제 동반 유무가 다른 모든 하위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말문제가 동일한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는 SLPG 하위그룹 간 말문제 유무에 따라 말명료도에서 하위그룹 간 명확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언어능력은 언어문제가 있는 하위그룹과 없는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언어문제가 동일한 그룹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심도의 말문제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언어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지능력은 NSMI-LCT와 ANAR-LCI 그룹 간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실제 수행능력에 비해 인지능력이 낮게 평가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셋째, 말명료도, 말속도, 언어능력(수용어휘력)이 SLPG 하위그룹 분류에 대한 주요한 판별요인으로 제시되었다. 하위그룹의 판별요인에 포함된 말 관련 변인에는 조음오류, 말속도와 같은 분절적, 초분절적 요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언어능력(수용어휘력) 또한 하위그룹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의 평가 및 중재 시 말, 언어능력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말, 언어적 결함을 고려한 SLPG 분류체계를 적용해 보고, 하위그룹별 분포비율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분류체계와의 관련성 및SLPG 하위그룹 간 말, 언어능력의 차이를 제시하였다. 또한 말명료도와 말속도 및 수용어휘력이 SLPG 하위그룹을 분류하는 주요한 판별함수임을 제시하였다. SLPG 하위그룹별로 분석해 봄으로써 말, 언어 및 인지능력에 대하여 그룹 간 차이를 계층화하여 제시할 수 있었고, 기존의 운동능력 중심의 분류체계를 상호보완 할 수 있는 말,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에 근거한 분류체계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의 중재 시 말과 언어능력에 따른 하위그룹별 차이를 고려하여야 함을 제안한다. ;Cerebral palsy (CP) is a complex disorder that is accompanied by speech production, language and communication problem. Previous studies efforts have been directed toward qua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gross motor. However, the lack of data regarding speech, languag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has made it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mpairments. In order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cerebral palsy it is necessary to classify speech, and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with C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ubgroup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y using Speech, Language Profile Group(SLPG), and examine discriminant factors that differentiate subgroup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4 to 16 years and were recruited 87 children with CP (spastic 67, dyskinetic 4, ataxic 3, mixed13) through rehabilitation hospital, special school, and children’s center for the disabled. The assessment protocol were employed to each children. Data was collected from speech production task (sustained vowel /a/, Assessmen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for Children, sentence repetition), language test (receptive vocabulary), and PIQ test (K-WISC-III, K-WIPPSI). Independent variables were maximum phonation time (MPT), speech intensity, speech rate, speech intelligibility, receptive vocabulary score and cognition ability. For the analysis, children with CP were classified into six speech language profile groups such as NSMI-LCT(no clinical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age appropriate language, cognition abilities), NSMI-LCI(no clinical speech motor involvement and impaired language, cognition abilities), SMI-LCT(speech motor impairment and age appropriate language, cognition abilities), SMI-LCI(speech motor impairment and impaired language, cognition abilities), ANAR-LCT(anarthria and age appropriate language, cognition abilities), ANAR-LCI(anarthria and impaired language, cognition ab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 Descriptive study showed that of al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proportion of Group NSMI-LCT was 11.5%, NSMI-LCI was 8.0%, SMI-LCT was 12.6%, SMI-LCI was 19.5%, ANAR-LCT was 11.5%, ANAR-LCI was 36.8%. Very strong relationship were noted between SLPG and CFCS and moderate relationship were noted between SLPG and GMFCS. Results for MP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NSMI-LCT, SMI-LCT, SMI-LCI, ANAR-LCT and ANAR-LCI. Results for speech intensit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NSMI-LCT and ANAR-LCI. Results for speech ra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NSMI-LCT, ANAR-LCT and ANAR-LCI, Groups NSMI-LCI, ANAR-LCT and ANAR-LCI. Results for speech intelligibility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ech motor impairment groups and no speech motor impairment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appropriate language groups and impaired language groups were found in language abilit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NSMI-LCI and ANAR-LCI.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NSMI-LCT and ANAR-LCI were found in cognition ability. Canonical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ree functions accounted for 100% of the variance among speech, language profile group. Speech intelligibility variable accounted for 85.1%, speech rate variable 9.7% and language (receptive vocabulary) variable 5.2%.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was 76.38%.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novel information that SLPG classification system explain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peech, language and cognition impairments observed in children with CP. This study serves as a first step toward developing a classification system that could be used to stratify children with CP into meaningful subgroups for understanding speech, language featu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