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시선추적을 활용한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단어재인과제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수행력 비교

Title
시선추적을 활용한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단어재인과제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수행력 비교
Other Titles
Age-related Differences in Word Recognition Task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Types : Evidence from Eyetracking
Authors
조혜련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단어재인과제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간 수행력을 시선추적 기법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정상 청년층 24명과 정상 노년층 22명을 대상으로, 방해자극 유형에 따른 단어재인과제를 실시하였다. 정반응률(%)과 반응시간(ms), 시선추적기(Eyetracker)를 활용한 목표자극의 시선고정 비율(proportion of fixation)과 방해자극의 시선고정비율을 유형별로 각각 산출하였다. 결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률을 보였다. 반응시간 또한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느렸다. 구간에 따른 집단 간 목표자극의 시선고정비율에 대한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간별 주효과와 구간과 집단 간 이차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반면, 집단 간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간에 따른 집단 간 방해자극의 시선고정비율에 대한 삼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간별 주효과, 방해자극 유형별 주효과, 구간과 방해유형 간 이차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반면, 집단 간 주효과, 구간과 집단 간 이차 상호작용, 방해유형과 집단 간 이차 상호작용, 구간에 따른 방해유형과 집단 간 이차 상호작용이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정반응률이 낮고, 반응시간이 느린 것으로 보아 수행력이 저조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목표자극의 시선고정비율 분석을 통해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구간에 따라 목표자극을 덜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해자극의 시선고정비율 분석을 통해 두 집단 모두 음운적, 의미적으로 관련 없는 어휘에 비해 관련이 있는 어휘자극에 더 방해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시선추적기법은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분석방법임을 시사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ge-related differences in word recognition task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types with Eyetracker. A total of 60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to the study, but 46 participants were entered into the data analyses(Young=24; Elderly=22). Mean age for young and elderly groups was 21.17 (SD=1.49) and 68.95 (SD=5.23), respectively. The stimuli was consisted of 80 Korean Nouns which is four types: 1) target, 2) object phonologically related to the target and 3) object semantically related to the target and 4) object unrelated in sound or meaning to the target. Each critical trial display included a target picture, a semantically related picture, a phonologically related picture, and a picture that were phonologically and semantically unrelated to the target.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a 3 x 3 array with four pictures on it, one in each corner.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one of the picture after sound stimuli presented. Participants performed a word recognition task while the Eyetracker was recorded. The Eyetracking data was analyzed.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group in accuracy and reaction time. The elderly group has lower accuracy and slower on reaction time than the young group. With respect to Eyetracking data which is the proportion of target fix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group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and time. The young group more fixated the target than the elderly group in 1000-1800ms. According to the proportion data of the interference type,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ypes and time. Both groups more fixated the phonologically related picture than semantically related picture or unrelated picture in phase3(1000-1400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lderly group has lower accuracy and slower language processing than the young group. This feature could be a attribute of age-related language chan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