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9 Download: 0

학습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어휘 교육 연구

Title
학습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어휘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ubject Vocabulary Education for Learning Literacy
Authors
전영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본 연구는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학습 문식성 신장에 바탕이 되는 교과 어휘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대상 어휘를 선정하고 어휘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내용 영역 및 내용 교과의 학습 과정에 있어 어휘에 대한 중요성은 늘 강조되어 왔지만, 이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는 강조의 강도만큼 충분히 수행되지 못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과의 내용 지식 구성을 담당하는 여러 어휘 중에서, 지식의 인식 및 형성에 기여하는 어휘를 교과 개념 어휘로 설정, 이에 대한 실제적 목록을 구축하고 의미 차원에서 유형화하여 그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를 구성하는 어휘를 ‘교과 특수 개념어’, ‘교과 일반 개념어’, ‘학습 도구어’, ‘학습 기본어’로 분류하였다. 특히 내용 영역 및 내용 교과에서 요구하는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수준의 차별화된 문식 능력이 교과의 특수한 어휘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그 특수성을 드러내는 어휘로 ‘교과 일반 개념어’에 주목하였다. 교과 일반 개념어는 기존의 학술 텍스트를 구성하는 어휘 중, 학술 어휘(academic vocabulary)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더욱 부각시켜 설정한 분류이다. 교과 일반 개념어는 영역에 따라 의미가 구체화되고 정교화되는 어휘로, 추상적인 개념을 표상하며, 다양한 어휘와 결합하여 교과의 전문 개념을 만들어가는 어휘를 말한다. 교과 특수 개념어가 주로 특정 교과에 분포하여, 교과의 중심 내용을 표상한다면, 교과 일반 개념어는 특정 교과 및 다양한 분야에 두루 분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또 다양한 분야에 분포하면서 의도적인 교육을 통해 접근해야 하는 2차 어휘로서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학습 도구어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나, 영역에 따라 또 어떤 어휘와 함께 쓰이느냐에 따라 교과 일반 개념어는 그 의미가 구체화, 정교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 도구어와 차별화된 성격을 가진다. 특히 교과 일반 개념어는 교과 내에서 교과 특수 개념어와 함께 쓰이며 의미적 특수성이 부각됨을 고려하여, 이 두 분류를 ‘교과 개념 어휘’로 설정하고 이들의 관계적 차원에서 드러나는 의미화 양상 및 의미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과 어휘 분류 대상이 되는 어휘는 중학교 사회과와 과학과의 교과서 텍스트, 약 50만 어절을 말뭉치로 구축하여 일반명사에 한정하여 추출하였다. 어휘의 분포와 빈도 등을 고려하여 추출한 일반명사는 사회과 987개, 과학과 642개였으며, 이들 명사를 사고도구어, 교과별 편수 용어, 초등 교과서 어휘 등을 활용한 소거법의 방식으로 교과 특수 개념어, 교과 일반 개념어, 학습 도구어, 학습 기본어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들 단어 간 의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잠재의미분석(Latent Semantic Analysis, LSA)을 활용한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값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교과 일반 개념어를 중심어로 한 연관어 목록을 제시하였다. 학습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어휘 교육의 내용은 교과 어휘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텍스트의 의미 구성의 과정에서의 어휘 의미의 유형 및 유형화 방식 등을 분석하여 구성하였다. 각 교과 내에서 교과 일반 개념어의 의미는 교과 주제 영역, 문맥 내 다른 어휘와의 의미 관계, 의미화 방식 등에 따라 결정되고 해석되며, 개념적 의미, 확장적 의미, 해석적 의미로 유형화된다. 개념적 의미와 확장적 의미의 유형에 대한 교육 내용은 의미 관계 탐색을 통한 의미의 선택과 해석으로, 텍스트 차원에서의 어휘의 해석적 의미는 텍스트 의미 구성을 통한 어휘 의미의 비판적 인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의 과정에서의 어휘의 역할을 인식하고, 학습자의 사고 발달 및 사회문화적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어휘 교육의 대상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특정 목적 텍스트에서 어휘의 의미가 역동적으로 존재하는 양상을 분석하여, 텍스트 의미 구성 과정에서의 어휘의 중핵적 역할을 확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습 문식성과 관련한 어휘 차원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 단어 수준이 아닌 텍스트 차원에서의 어휘 의미 교육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bject vocabulary based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literacy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elect vocabulary for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 and the contents of vocabulary education. Although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has always been emphasized in the learning process of content area and contents subject, the practical research on this has not been performed as much as it has been emphasized. In this study, the vocabulary that contributes to the recognition and formation of knowledge among the many vocabularies that constitute the content knowledge of the subject is defined as the conceptual vocabulary. The actual list of the conceptual vocabulary is constructed, grouped by meaning, then the content of education i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vocabularies that constitute the subject are classified into 'subject specific concept words', 'subject general concept words', 'general academic words', and 'basic' words. In particular, I focused on 'subject general concept words' as a vocabulary that reveals the specificity of the subject, as I saw that the general and basic level of differentiated literacy skills required in the content area and content subject are developed from the specific vocabulary of the subject. The subject general concept words are such vocabularies constituting the existing academic text that have expertise and the specificity of the academic vocabulary. The subject general concept words are vocabularies in which meanings are specified and elaborated according to areas, and vocabularies that represent abstract concepts and combine with various vocabularies to create professional concepts of subjects. Whereas the subject specific concept words are mainly found in a specific subject and represent the central contents of the subject, the subject general concept words are found throughout a specific subject and various fields . It is similar to general academic words in that it has the character of being a secondary vocabulary to be accessed through intentional education, found in various fields, however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general academic words in that depending on which words are used together and on the area in which the words are used, the meaning of the subject general concept words can be specified and elaborated. In particular, the subject general concept words are used with the subject specific concept words in the subject, and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e semantic specificity, these two categories are called 'subject learning vocabulary' and the author will seek to identify the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types revealed in relation to them. The vocabulary to be classified into the textbook vocabulary was constructed by extracting corpus of about 500,000 words in texts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s, and limited to general nouns. The number of general nouns that were extrac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vocabulary were 987 in social studies and 642 in science.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ademic vocabulary, numerical terms, and elementary textbook vocabulary. They were categorized as subject specific concept words, subject general concept words, general academic words, and basic wor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these words, the cosine similarity value using latent semantic analysis (LSA) is sought, and based on this the author presented a list of words related to the subject general concept words.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vocabulary education for learning literacy enhancement is focused on the meaning of the textbook vocabulary and is composed by analyzing the type of the vocabulary meaning and the way of categorization in the process of the semantic composition of the text. Within each subject, the meaning of the subject general concept words is determin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topic subject area, the semantic relation with other vocabularies in the context, the semantic method, and the conceptual meaning, the interpretative mean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about conceptual meaning and the types of extended meaning can be connected with the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through semantic relation search, and the interpretive meaning of vocabulary in text dimension can be connected to critical cognition of vocabulary meaning through text semantic com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role of vocabulary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to identify the subject of vocabulary education for improving learner 's thinking and socio - 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In addition, the semantic role of the vocabular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text semantics was affirmed by analyzing the dynamics of the vocabulary in the specific tex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specific contents and direction of vocabulary education related to learning literacy, and confirmed the potential and importance of vocabulary meaning education in text level rather than word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