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중국 내 자폐범주성장애 대상 음악중재 연구의 동향

Title
중국 내 자폐범주성장애 대상 음악중재 연구의 동향
Other Titles
Research Trends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na
Authors
BU, FANQI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진형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내 자폐범주성장애 대상 음악 중재 연구들을 분석하고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고려점과 제안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폐범주성장애를 대상으로 음악 중재 연구가 시작된 1999년부터 2018년 사이에 발표한 연구들 중 선정기준에 맞는 논문 44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도별 동향을 보면 2006년부터 관련 연구 수가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7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유형으로 사례연구가 대부분이었는데 26편(59.1%)이 이에 해당되었다. 둘째, 제1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을 살펴보면 음악학을 전공한 연구자에 의해 진행된 연구가 14편(31.8%)으로 가장 많았던 반면 음악치료를 전공자의 연구는 단 1편이었고 음악 중재 제공자가 음악치료 전공자인 연구는 9편(20.5%)이었다. 셋째, 연구 대상자 관련 결과를 보면 대상자가 1명인 연구가 19편(43.2%)으로 가장 많았고, 유아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세션 정보를 보면 개별 세션 형태로 진행된 연구가 18편(40.9%)으로 가장 많았으며, 세션 시간이 40분 초과-50분 이하인 연구가 가장 많은 수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의 음악 중재 관련 특성을 보면 사회 영역을 목표로 진행한 연구가 36편(81.8%)으로, 이중 사회적 상호작용을 목표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음악 중재 방법으로는 연주(54.5%)와 노래(52.3%)를 과반수의 연구에서 사용하였고, 동요가 빈번하게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범주성장애 대상 음악 중재 연구의 확장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analyze the development trend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published in China in order to provide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A total of 44 published studies was chosen. The review indicates the following. First, the total number of related studies showed an escalating trend since 2006.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was published in 2017, and the research type was mainly case studies. Second, among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only 1 of researchers had majored in music therapy, most of the researchers had background in Musicology(31.8%), followed by Medicine(27.3%). However, 20.5% of researchers used an interventionist who majored in music therapy. From the aspec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most number of studies had only one research participant(43.2%), followed by two to five research participants(15.9%), and most of these participants were preschoolers between 3 and 6 years old(61.4%). Most studies conducted individual session(40.9%) for the duration of 40 to 50 minute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the majority of the studies selected social goal as clinical goal, which was 81.8% of the total. When analyzed by the specific objectives, interaction skill(58.3%) was the most frequently addressed objective. In terms of music activities, most researchers used instrument playing(54.5%) and singing(52.3%), and children’s so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music. Recommendations and discussions are presented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the objective of developing music therapy for the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Chin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