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6 Download: 0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접근 및 딜레마

Title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접근 및 딜레마
Other Titles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s of, approaches to, and dilemmas about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of young children
Authors
홍지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접근 및 딜레마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넓히고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 공존하는 현대사회에서 유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는 어떠한가? 2.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접근은 어떠한가? 3.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딜레마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공사립 유치원에서 담임을 맡고 있는 유아교사 10명이었다. 기본적인 질적 연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주된 자료 수집방법으로는 심층면담법을 사용하였다. 심층면담은 2018년 9월 4일부터 2018년 10월 23일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반구조화된 개인면담의 형식으로 한 차례 당 60분~90분씩 참여자별로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귀납적으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사회화를 단체생활을 위한 자기절제이자 사회적 기술과 가치 습득으로서 이해하고 있었으며, 개별화를 개인에 대한 존중이자 능동성과 자율성의 발달로서 이해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사회화가 자기절제를, 개별화가 자유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둘 간의 긴장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교육 안에서 공존이 가능하다고 보고 이 둘의 조화를 교육의 목적으로서 이해하고 있었다. 이에 교사들은 유아들이 타인을 배려하면서도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교육할 것과 사회적 규범을 안내하되 유아의 의견과 요구를 충분히 수용할 것을 본인들의 역할로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의 조화를 위해 개별 지도와 학급 운영 차원에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개별 지도 차원에서 교사들은 유아에게 교육이 필요한 순간에 적절한 상호작용을 하며 사회화와 개별화를 지원하였다. 이 때 교사들이 활용한 방법으로는 행위의 결과에 대해 생각해보기,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기, 모범보이기, 칭찬하기, 독립적 선택 유도하기, 자기표현의 기회 제공하기, 내적동기의 발견 지원하기 등이 있었다. 학급 운영 차원에서 교사들은 열거주의에 입각한 교육적 접근과 포괄주의에 입각한 교육적 접근을 혼용하며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의 조화를 도모하였다. 전자는 공통의 규준을 정해놓고 이에 해당되는 행위만을 인정하되 예외를 허용하는 접근방식이며, 후자는 유아의 자유를 기본으로 하되 일부 사안에 한해 제한을 하는 접근방식이었다. 교사들은 이를 통해 유아들에게 사회적 규범을 지도하면서도 유아들의 개별적 특성과 요구를 수용하고자 하였다. 셋째,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교사들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다양한 사안에서 그리고 다양한 차원에서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교사들이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해 경험한 딜레마는 가치론적 딜레마, 방법론적 딜레마, 구조적 딜레마로 구분될 수 있었다. 가치론적 딜레마는 방향성에 대한 딜레마로, 교사들은 개별 유아와 사회적 규범 사이에서 혹은 개별 유아와 타인 혹은 집단의 안녕 사이에서 가치론적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방법론적 딜레마는 방향성은 설정하고 있으나 그것의 실행 방법과 관련해 겪는 딜레마로, 교사들은 사회적 규범을 지도하되 규범이 낙오와 낙인, 배제를 야기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그리고 유아의 자율성을 존중하되 교육의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방법론적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구조적 딜레마는 방향성과 방법은 설정하고 있으나 그것의 실현과 관련해 겪는 딜레마로, 교사들은 교사 대 유아 비율, 기관철학, 행정업무 등 기관 내적 요인과 가정과의 상반된 철학 등 기관 외적 요인으로 인해 구조적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장에서는 사회화와 개별화의 조화를 위해 노력하되 이로 인한 딜레마를 외면·좌절하지 않고 마주할 필요가 있으며, 학계에서는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논의를 학제간의 연계 속에 진행함과 동시에 어느 하나로의 편향을 경계하며 가치의 상대성 차원에서 논의를 확장해갈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of, approaches to, and dilemmas about the soci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young children. By examining their understanding and practices, this study enables teachers at fiel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issues of the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of young children and provide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modern society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of young children in educational context? 2.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approach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of young children? 3. What dilemmas do kindergarten teachers face with regard to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of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0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been in the field for more than 2 years. Basic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nd in-depth interviews ware used as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4, 2018 to October 23, 2018, for about two months, and were conducted twice for each participant in the form of semi-structured personal interviews for 60-90 minutes per sess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defined socialization as self-regulation and social skill and social value acquisition, whereas they defined individuation as respect for self and development of autonomy. Although the teachers understood that socialization presupposed self-regulation and that individualization presupposed freedom, they believed that it was possible for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to coexist in education. They even assumed it to be their duty to harmonize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in educational context. In order to achieve the harmony, the teachers reported having conducted educational practices such as modeling, complimenting, supporting, and so forth. The teachers also took two different approaches in classroom management for the harmony of the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the positive system and the negative system. Using these two approaches, the teachers tried to compromise the guidance of social norms and acceptance of children's freedom. However, despite the diverse efforts of teachers to achieve harmony between soci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young children, the teachers ended up having dilemmas, which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axiological dilemmas, methodological dilemmas, and structural dilemmas. Axiological dilemmas could be defined as dilemmas that had to do with the instructions or educational purposes. Methodological dilemmas were related to achieving the educational purposes. Structural dilemmas were dilemmas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what the teachers had in mi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discussion of these issues in terms of the relativity of val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