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8 Download: 0

성폭력 피해자 치유를 위한 하나님 표상 재구성 연구

Title
성폭력 피해자 치유를 위한 하나님 표상 재구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s for Sexual Violence Victims
Authors
서미선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희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가 지닐 수 있는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 문제를 이해하고, 기능적 하나님 표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을 찾아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를 돕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들 중에서도 성폭력 사건으로 하여금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이 형성되어 고통 받는 피해자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성폭력 사건이 피해자의 하나님 표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했다. 성폭력사건은 피해자에게 큰 상처와 트라우마를 남긴다. 그래서 피해자들의 삶을 망가뜨리며 오랜 시간 고통을 겪게 한다. 그리고 피해자는 성폭력 사건 후 하나님의 존재에 대해 의문을 가지며 하나님과 씨름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이 때 피해자의 하나님의 표상이 어떠한지는 매우 중요한데, 기능적인 하나님 표상은 피해자의 회복을 돕지만,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은 피해자의 회복을 더디게 하며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다. 본 연구자는 피해자가 끔찍한 성폭력 사건과 하나님의 존재 사이에서 분투하며 나아갈 때, 피해자의 보다 빠른 회복을 위해서 목회상담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먼저, 성폭력 피해자가 겪은 성폭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성폭력의 기본적인 개념을 살펴보았다. 성폭력의 정의와 성폭력의 역사, 그리고 성폭력의 경험으로 인한 피해와 후유증은 어떠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회문화적, 신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성폭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성폭력의 원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은 성폭력의 이해를 도와 피해자들의 고통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성폭력 피해자들의 하나님 표상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대상관계이론을 바탕으로 하나님 표상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상관계이론가들에 의하면 대상표상은 어린 시절 주요 양육자와의 경험과 주요 사건을 바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주요 양육자와의 경험은 하나님 표상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하나님 표상의 이론적 배경인 대상관계이론을 살펴봄으로써 하나님 표상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어린 시절 형성된 하나님 표상은 주요사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데, 성폭력과 같은 고통스러운 사건으로 피해자는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을 가질 수 있다. 피해자는 성폭력 사건 후 하나님과 대면하며 씨름하는 과정을 겪는다. 이 과정 속에서 성폭력 피해자가 기능적인 하나님 표상을 갖고 빠른 회복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회상담가의 중요한 역할이다. 그러므로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으로 하여금 고통을 겪고 있는 성폭력 피해자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해체와 재구성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어린 시절 주요 양육자와의 사건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하나님 표상 이외에도 전통적인 기독교 문화 속에서 형성되는 하나님 표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전통적인 기독교 문화적 영향 속에서 형성되는 하나님 표상이 성폭력 피해자에게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은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전통적인 기독교 문화의 가부장적 아버지와 같은 하나님 표상은 성폭력 피해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즉, 기독교 문화에 스며들어 있는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하나님 아버지 이미지는 피해자들에게 이중적 고통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하나님 이미지에 대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 하나님 표상이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를 위한 새로운 하나님 표상에 대해 논의 하였다. 먼저, 방법론적 차원에서 두 가지를 고찰하였다. 기존 목회신학관점에서의 성서 읽기와 정희성의 ‘한-여성-놀이’로서 성서다시 읽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 목회신학 관점에서의 성서 읽기 방법은 새로운 관점에서의 성서 읽기 방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그리고‘한-여성-놀이’로서의 성서를 다시 읽는 것은 성폭력 피해자 중심으로 성서를 해석하는 것으로서 성폭력 피해자들에게 치유의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를 위한 구체적인 하나님 표상들을 제안하고자 샐리 맥페이그의 은유신학을 바탕으로 기능적 하나님 표상을 모색하였다. 은유를 통해 기능적 하나님 이미지 대한 새로운 방법들을 찾을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은유를 사용해서 다양한 하나님 이미지를 상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은유신학은 피해자들의 기존의 가부장적인 전통적인 하나님 이미지를 해체시키고, 새로운 하나님의 표상을 만들어내는 데 적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성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하나님 표상의 또 다른 대안은 목회신학자 제임스 폴링의 관계적이고 애매모호한 하나님 이미지이다. 피해자들은 성폭력으로 인한 상처치유를 위해서는 복잡한 과정들을 포괄하고 고통을 극복하게 하는 자기 이미지가 필요하다. 제임스폴링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관계적이고 애매모호한 자아를 제시하며, 애매모호한 하나님의 이미지를 통해 피해자들이 성폭력의 경험을 극복하도록 이끌었다. 본 논문은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를 돕기 위한 목회상담적 관점의 연구이다. 성폭력 피해자들은 성폭력 사건과 평생 씨름하며 살아가야 한다. 피해자들이 성폭력 경험과 하나님의 존재 사이에서 분투하며 살아가야 과정 속에서 피해자들이 가능한 한 빠르게 회복 되어 균형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그들 곁에서 최선을 다해 돕는 것이 목회상담가의 역할이다. 성폭력 피해자가 가질 수 있는 역기능적 하나님표상과 대안적인 하나님 표상들에 대한 연구는 성폭력으로 상처를 입게 된 피해자들이 회복하는 과정에서 기능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s that sexual violence victims have and find how to reform it into 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Especially, the study focus on the victims who suffer from malfunctioning of God representations after sexual violence event of sexual violence victims. And the study assumes that the sexual violence event would negatively influence on God representation. The sexual violence incident is shocking event that would offend victim’s mind and give them trauma. Therefore, it break the victims’ life and they suffer from it for a long time. Moreover, the victim would wonder the presence of God after the sexual violence incident and experience the process to struggle with God. At this time, victims God representa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helps victims’recovery but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delays the victims’ recovery and aggravate their pain. The researcher in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role of pastoral counselor is very essential while victims struggle with terrible sexual violence and God’s presence. First, to help understand the sexual violence that victims suffer from, this paper research the basic concept of sexual violence. As the basic concept of sexual violence, there are the definition, the history and aftereffects of the sexual violence. And then the study considers the sexual violence from social-cultur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To consider the sexual violence from various perspective helps understand victims pain and empathize with the pain. Next, to research God representation of victims, w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object-relation theory. By object-relation theorists, the object representation is formed based on the main events and experiences with a main fosterer when they were young. And the main events and experiences with the main fosterer have a strong effect on forming God representation. By studying theoretical background of God representation, we can understand deeply how God representation forms. God representation formed in childhood can be transformed by main events so the painful incidents such as sexual violence give victims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After Sexual violence incidence, victims experience the process facing and struggling with God. In this process, the important role of pastoral counselor is to help victims have 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and rapidly recover. Thus, to heal the broken hearts of sexual violence victims, it is essential that they should break up and reform God representation. Next, this study considers God representation formed in traditional Christian culture. To research how God representation formed in Christian cultural effect is helpful for victims recovery.God representation as patriarchal father has a negative effect on sexual violence victims. That is, the patriarchal and authoritative God image gives victims double pains. Thus, from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existing way, God representation needs to be reformed.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new God representation for healing sexual violence victims.To begin with, there are two ways from methodological dimension. First way is to read the Bible in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Second way is to reread the Bible as Jung Hee sung’s‘han-women-plays’. The existing way reading the Bible suggests necessity of the Bible reading way from new perspective. And rereading the Bible as ‘han-women-plays’ means interpreting the Bible centering on sexual violence victims and this way can be useful as healing resources. Then, this study tried to find 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based on metaphorical theology by Sallie MacFague to suggest specific God representations for healing victims. Through metaphor, we can find new ways of functioning God image and imagine various God images using a variety of metaphor. Therefore, the metaphorical theology can be proper method to break up the existing traditional and patriarchal God images and make up new God representations. And another alternative for sexual violence victims is relational and ambiguous God image of pastoral theologian James Poling. Victims need self image that includes complex process and makes them overcome pains. James poling suggests relational and ambiguous self image as solution to this problem, leading to make victims overcome pains from sexual violence incidence. This paper is to research and study from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for healing sexual violence victims. They should struggle with sexual violence incidence for a long life time. The role of pastoral counselor is to help with them to recover as soon as possible and make them live in balance in the process of struggling between sexual violence incidence and God presence. The study on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that victims have and alternative God representation can be helpful to recover the victims who have trauma and broken he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