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7 Download: 0

국내 인공와우이식 청소년의 음악교육 및 활동 수준에 따른 음악감상 만족도

Title
국내 인공와우이식 청소년의 음악교육 및 활동 수준에 따른 음악감상 만족도
Other Titles
Cochlear implanted teenagers’ Musical satisfaction related with their music education and activity
Authors
권은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인공와우(Cochlea Implant; 이하 CI) 이식 청소년의 음악교육 및 활동 경험에 따른 상황별 음악감상 만족도 비교에 목적을 둔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경기도, 경상도에 소재하는 CI 관련 단체에서 만 10~18세 사이의 CI 청소년 27명을 모집하여 설문을 실시했다. CI 청소년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10~18세 사이의 건청(Normal Hearing; 이하 NH) 청소년 118명을 모집하여 1차 설문을 실시했다. 모집된 CI 청소년 27명의 응답과 균형을 맞추기 위해 회수한 118명의 설문지 중 무작위로 50명을 2차 표집했다. 설문 문항은 크게 1) 기본 정보 2) 음악교육 및 활동 3) 일상생활 음악감상 경험 4) 상황별 음악감상 만족도 조사의 4가지로 구분되며 총 26개의 응답 문항을 수집했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종합하자면 첫째, CI 청소년은 NH 청소년보다 음악교육 및 활동 경험을 통한 혜택을 대해 스스로 지각하고 있었고 음악교육 경험보다 음악활동 경험이 자신에게 더 유익했다고 평가했다. 둘째, CI 청소년의 일상생활 음악감상 내용 및 수준은 일반적인 청소년기의 특징이 반영되어 나타나고 감상 시 고려하는 음악 요소와 감상환경에 대한 음악감상 만족도는 CI 기기를 통한 음악지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음악교육 및 활동을 모두 경험한 CI 청소년 그룹은 음악경험이 없는 CI 청소년 그룹과 비교했을 때 공통적인 경향을 보이는 3개 요인을 제외한 5개의 요인 중 4개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CI 청소년의 음악교육 및 활동 경험은 음악감상 만족도 향상에 전반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CI 청소년의 음악교육 및 활동 경험과 일상생활 음악감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음악교육 및 활동 경험과 상황별 음악감상 만족도를 조사하여 CI 청소년의 음악중재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compare CI’s(Cochlear implanted teenagers) musical satisfaction related with their music education and activity. For this research, 27 CI who are 10~18 years old participated. To compare with CI’s trait, 118 NH(Normal hearing teenagers) participated in the 1st survey, to balance the number of respondents, randomly sampling 50 NH respondent out of 118 NH teenagers. The survey consists of 29 questions, and survey items are 1) Basic information 2) Music education and activity 3) Musical experience in everyday life 4) Contextual music appreciation satisfaction. To compound the result of research. First, compared to NH, CI recognize the benefits they can get from music education and activity, and they respond that music activity experience was more beneficial to them compare to music education. Second, CI’s music appreciation content and level reflect normal teenagers traits and musical factors, and musical satisfaction level reflects musical perception traits through CI instrument. Third, except universal 3 factors, 3 factors out of 5 factors of musical satisfaction meaningfully increased in CI teenagers group who experienced both music education and activity compared to the group who have never had such experience. Therefore, music education and activity can increase musical satisfaction for CI teenage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present condition of CI teenagers’ music education, activity experience and musical appreciation in their everyday life, and research CI’s music education, activity experience, and contextual musical satisfaction to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music intervention for CI teenag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