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논증적 텍스트 활용 읽기 지도 방안

Title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논증적 텍스트 활용 읽기 지도 방안
Other Titles
A teaching method for effective reading utilizing argumentative text of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Authors
고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는 고급 단계의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의 논증적 텍스트 유형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활동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논증적 텍스트를 활용한 효과적인 읽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 학문 목적 읽기 활동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재까지의 읽기 활동 연구는 텍스트 유형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기존에 이루어진 논의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개념과 유형, 논증적 텍스트의 특성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논증적 텍스트를 활용한 읽기 활동 구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실제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학문 목적 읽기 교재의 논증적 텍스트 분석을 위한 분석 대상과 구체적인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논증적 텍스트 유형의 분석을 위해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의‘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텍스트 분류’를 토대로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고, 논증적 텍스트를 활용한 읽기 활동 분석을 위해 읽기 활동을 전, 중, 후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 시중에 출판되어 있는 고급 단계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 4종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논증적 텍스트의 유형과 읽기 활동을 분석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에 따르면 첫째, 논증적 텍스트의 유형이 논설문과 학업/학술문에 편중되어 있어 다양한 유형의 논증적 텍스트를 제시할 필요성이 있었다. 둘째, 논증적 텍스트 읽기에 필요한 비판적 이해를 위한 활동이 약 10%~23%로 그 비중이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교재들에서 논증적 텍스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50%~80%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에 비해 논증적 텍스트에 필요한 비판적 이해를 위한 활동이 적절히 제시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비판적 이해를 위한 활동의 유형이 의견 제시하기와 주장에 대해 동의/반박하기 활동에 편중되어 있어 다양한 유형의 비판적 이해 활동들이 보완될 필요성이 있었다. 넷째, 비판적 이해를 위한 활동의 구성이 단계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논증적 텍스트 읽기에 필요한 비판적 읽기의 수업 구성과 읽기 자료 구성 실례를 제시하고 제시한 지도 방안을 적용하여 논증적 텍스트를 활용한 읽기 활동 구성 방안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결론 및 제언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업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텍스트 유형인 논증적 텍스트의 효과적인 읽기를 위해 필요한 읽기 활동을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읽기 활동을 적용하여 논증적 텍스트를 활용한 읽기 활동 구성 방안의 예시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논증적 텍스트 읽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eaching method for effective reading utilizing argumentative texts, based upon types of argumentative texts in the advanced Korean textbook for reading for academic purpose and analysis of reading activities depending on types of text. Chapter 1 aimed to describ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also, examine preceding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and reading activities for academic purpose. As a result, it’s discovered that research on reading activity lacked connection with the text types. Chapter 2 was to examine whole theory on concept of text, it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gumentative texts based upon existing discussion. In addition, it identified composition of reading activities utilizing the argumentative texts in details in order to set up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ctual analysis. In Chapter 3, the object of analysis and specific standards for the analysis of argumentative texts in the textbook for reading for academic purpose were established. The analysis standard was set up based upon ‘Text classification for Korean Education Curriculum Design’ which is the international standard model for Korean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types of argumentative texts and also, the reading activities were suggested in three stages; Before reading, While reading and After reading in order to analyze the reading activities which utilizes the argumentative texts. 4 advanced Korean textbooks for reading for academic purpose that were already published were analyzed and furthermore, the analysis results of types of argumentative texts and reading activities were discussed. First, it’s necessary to present different types of argumentative texts, since the types of argumentative texts put too much emphasis on rhetorical writing and academic writings. Second, the activity for critical comprehension required for reading argumentative texts made up approximately 10%~23%, which was not significant. The percentage of argumentative texts in the analyzed textbooks was about 50%~80%, which was quite significant. However, the activities for critical comprehension required for the argumentative texts were not properly suggested. Third, it’s necessary to complement various types of critical comprehension activities, since the types of activities for the critical comprehension especially focused on agreement/refutation activities. Fourth, the composition of activities for critical comprehension was not presented in stages. Chapter 4 suggested actual examples of class programs for critical reading required for reading argumentative texts as well as composi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also, presented examples of reading activity composition plan that utilizes the argumentative texts by using the teaching methods. Chapter 5 presented conclusion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This study reconstructed reading activities required for effectively reading the argumentative texts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studies for academic purpose for Korean learners, applied the reconstructed reading activities and suggested the examples of reading activity composition plan that utilizes the argumentative texts. It’s expected to see the research findings help learners read argumentative texts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