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6 Download: 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Title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 Communication and Core Self-Evaluation
Authors
이선화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철옥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와 부부의사소통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으며,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의 유자녀 기혼여성 32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핵심자기평가 (자기효율성, 자아 존중감, 내적통제), 부부의사소통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해 질문하는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과 Mplus7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고 핵심자기평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동시에 부스트래핑 방법을 이용한 두 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와 부부의사소통, 양육스트레스와 핵심자기평가 간의 상관계수는 모두 부적상관을 가졌다. 특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부모의 고통과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이 높은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부의사소통과 핵심자기평가의 모든 하위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부의사소통과 핵심자기평가는 모두 결혼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에서도 부부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가장 높은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여 부부의사소통과 핵심자기평가의 매개 효과를 각각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서 결혼만족도로 가는 경로에서 부부의사소통과 핵심자기평가 모두 부분매개의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부부의사소통과 핵심자기평가의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의해 저하될 수 있는 결혼만족도의 경로에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증가함에 있어 부정적 부부의사소통은 늘어나고, 핵심자기평가는 낮아지게 되어 결혼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며 결혼생활의 질적 저하를 경험하고 있는 어머니 혹은 부부 상담에서 효율적인 부부의사소통의 방법과 핵심자기평가 저하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있어 경험적 증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양육의 책임을 부부 공동의 것으로 여기고, 이를 일상적인 스트레스로 간과하는 것이 아닌 부부에게 있어 중요한 문제로 여겨 함께 해결하고자 함에 있어, 효과적인 상호작용과 어머니의 핵심자기평가에 대한 양육스트레스의 부적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는 것에 대한 인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s of core self-assessment and couples' communication in their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arriage satisfaction relationship. Based on prior studies, the hypothesis was that core self-assessment and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in relation to motherhood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on 322 married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measurement tool, we used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asking questions about the four areas of parenting, satisfaction with marriage, core self-assessment (self-efficiency, self-respect, internal control) and couples communi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s and Mplus7 to check the general trend of measurement variables, to analyze the technology statistic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major variabl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other and marriage satisfaction, parent stress and husband communication, parent stress and core self-assessment were all incompatible. In particula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ain of parents and the delicate nature of the child during the parent's care stres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all sub-regional areas of parenting and core self-assessme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and their core self-assessment had a static effect on their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m,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has the highest static effect on marriage satisfaction. Third, based on the estima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and their core self-assessmen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both the path from mother's parent stress to marriage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parent stress of the mother was increasing in relation to the satisfaction of the marriage.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in proposing effective ways of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and programs to prevent core self-assessment degradation in counseling for mothers or couples who experience poor quality in their marriage experience. In addition, the responsibilities of parenting are considered to be comm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to resolve this issue together as a matter of importance to couples, rather than to overlook it as a daily stress, methods are required to reduce the inatt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