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f Factors That Affects Resil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uthors
김서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란 스트레스나 역경을 극복하고 삶을 살아가는 데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긍정적인 힘(Dyer & McGuinness, 1996)으로, 변화와 도전적인 환경에서의 긍정적인 적응과 개인적인 발달을 내포하는 역동적인 개념(Gu & Day, 2007)이다. 이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와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는 특수교사에게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질적 연구는 폭력행동이 있는 정서·행동장애학생으로부터의 상해경험이 있는 소수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 유일하다. 즉, 수많은 장애유형과 다양한 환경에 놓여 있는 특수교사가 어떻게 그들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회복탄력적인 교사로 성장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공립학교(특수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질적 분석하여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의 공립특수학교와 공립일반학교의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특수교사 10명이다. 연구 참여자는 목적표집과 눈덩이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선정하였고,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예비 연구를 통해 수정한 후, 수정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1978; 이남인, 2014 재인용)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방법에 기초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전사본을 반복적으로 읽고 연구 내용에 관련되는 내용을 기록하며, 유사한 주제의 내용끼리 범주화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 분석이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인 전문가 검토를 거쳤고, 분석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를 위해 참여자 검토를 실행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8개의 대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대주제는 첫째, 특수교사 직무에 도움이 되는 개인의 성격 특성, 둘째, 특수교사로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 셋째, 특수교사 직무 관련 성취경험으로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요인에 해당한다. 도출된 대주제 중 넷째, 동료특수교사의 조언과 지원, 다섯째, 학교 내 인간관계에서의 이해와 신뢰, 여섯째, 학생들로 인한 즐거움과 발전, 일곱째, 가족과 친구의 지원, 여덟째, 연수를 통한 제도적 지원은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 외부 환경적 요인에 해당한다. 첫 번째 대주제인 특수교사 직무에 도움이 되는 개인의 성격특성은 대인관계와 직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성격특성으로 인내심, 적극성, 열린 자세, 배우는 것을 좋아함, 끈기, 긍정성 등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대주제는 특수교사로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으로, 여기에는 학교 내부에서 만나는 다양한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 관계 유지, 대인관계 문제 해결 노력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정보를 찾거나 공부를 하고, 수업과 학생의 우선순위에 대한 고민을 하는 등의 다양한 자기 개발 노력과 재충전을 위하여 학교와 나의 삶을 분리하는 노력도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대주제인 특수교사 직무 관련 성취경험과 관련하여서는 교수관련 성취경험, 학교 내 인간관계에서의 성취경험, 업무 관련한 성취경험이 언급되었다. 특수교사가 제공한 중재에 따른 장애학생의 성취와 변화 또는 참여 자체도 성취감을 주는 요인이 되며,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는 학생에 대한 진심어린 자세와 노력을 통한 인정과 신뢰를 얻는 성취경험이 나타났고, 이 과정에서 학부모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업무와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겪으면서 객관적 판단력과 문제 해결력을 가지게 되었고, 어려움에 대해 적절한 지원을 요청하였거나,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의 즐거움이 있다고 언급하였으며 다양한 경험을 통한 직무역량이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네 번째 대주제는 동료특수교사의 조언과 지원에 대한 것으로, 동료특수교사들로부터의 공감과 지지, 이해와 위로, 살핌이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언을 통한 문제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 제공, 동료특수교사들의 장점을 찾아서 배우거나 자기 자신을 반성하고 성찰하는 기회, 멘토로부터의 지원도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함께 언급되었다. 다섯 번째 대주제는 학교 내 인간관계에서의 이해와 신뢰에 관련된 것이었다. 이는 특수교사가 겪는 여러 가지 어려움에 대한 일반교사, 관리자, 학부모로부터의 이해와 신뢰에 대한 것으로, 일반교사의 특수교사에 대한 이해와 교류 노력이 도움이 되었으며, 관리자는 특수학급에 관심과 지원을 제공하고, 특수교사에게 조언을 포함한 정서적 지지 제공, 긍정적 학교 분위기 형성 등의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학부모는 교사에 대한 인정과 신뢰를 바탕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함으로써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기여하였음이 나타났다. 여섯 번째 대주제는 학생들로 인한 즐거움과 발전에 관련된 것이다. 즉, 장애학생들로부터의 긍정적 기여가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인데 여기에는 학생들의 존재 자체에 대한 감사와 뜻밖의 즐거움과 위로, 장애학생의 영향으로 인하여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 감사하는 마음과 사회적 시야 확장 등 삶을 바라보는 자세의 변화, 인내심과 긍정성, 배려심과 포용성 향상 등의 성격의 변화, 자신을 반성하고 성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곱 번째 대주제는 가족과 친구의 지원에 관한 것으로 가족과 친구의 무조건적인 신뢰와 지지, 위로가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 대주제는 연수를 통한 제도적 지원과 관련된 것이다. 필수 연수를 통한 자료와 지식의 습득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 내적 요인과 외부 환경적 요인간의 상호작용도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여 소진을 경험하는 특수교사의 건강한 직무 생활을 위하여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질적 연구를 통해 심도 있게 다루었다는 점과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요인과 외부 환경적 요인을 고찰하여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Resilience is a developmental and dynamic process that despite of adversity and challenging circumstances, gets positive adaptation and development. Hence, Resilience is a important concept for special teachers who experience high levels of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However, there still are not enough qualitative researches to recognize the factors that affect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Most of the prior studies on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in Korea are survey researches, therefore, there is a lack to find out how special teachers overcome their adversities and grow into resilient special teachers. Thus, in this study, individual-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pecial teachers at public schools in Seoul, and analyzed them qualitatively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The study involved 10 special teachers who worked more than 10 years in public schools in Seoul.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based on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modified through preliminary study,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method. The researcher repeated the process of categorizing the contents of similar subjects from one to the next, while repeatedly reading the transcripts. This study was continuously reviewed by professionals and through member checks. As a result, a total of eight themes and nineteen subthemes were drawn. The eight theme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ree themes correspond to individual internal factors-the personality traits of the individual that help the task of special teacher, personal efforts to overcome adversities as a special teacher. And five themes correspond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pecial teacher job fulfillment experience, advice and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colleagues, understanding and trust in school relationships, joy and development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amily and friends, institutional support through in-service training. Regarding the first theme which was the personality traits of the individual that help the task of special teacher, patience, activeness, open attitude, love to learn, tenacity, and optimism were mentioned. Regarding the second theme which was individual efforts to overcome adversities as a special teacher,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 who meet inside the school, efforts to separate own life from school for recharging and various self-development efforts to enhance professionalism were shown to contribute to the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Regarding the third theme which was special teacher job fulfillment experience, the participants mentioned relation to the teaching, relationships in schools with general teachers, administrators, parents and work related achievements. Regarding the fourth theme which was the advice and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colleagues, the participants mentioned empathy, support, understanding, comfort and caring as the most powerful factors.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objective judgments about problem situations through advice, the opportunity to learn or reflect on oneself, and the support of mentor were also mentioned as contributing to the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Regarding the fifth theme which was understanding and trust in school relationships, it is about general teachers’ understanding and interacting with specia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support, advice, and creating a positive school atmosphere, parents’interest and participation through trust were mentioned as contributing to the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Regarding the sixth theme which was joy and development by influ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ther words, positive contributions from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special teachers, that was shown to contribute to the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That is including the appreciation of students' existence, the efforts to enhance special teachers’ professionalism which was influ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the seventh theme which was family and friends, their unconditional trust, support and comfort of family and friends were contributed to the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Regarding the eighth theme which was institutional support through in-service training, it can be seen that the experiences of acquiring data and knowledge through mandatory training, expanding the point of view of special education, and having an overall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learning have affected special teachers’ resilience.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lso contributed in part to the resilience of the special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has proposed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meaningful for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of all, this study explored issues, related to the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who face diverse adversities and exhaustion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and those are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 Based on it,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in the face of various difficulties through qualitativ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