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8 Download: 0

학급SNS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중학교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와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급SNS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중학교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와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Using Classwide SNS on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Disability a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송재령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통합교육이 보편화하면서 일반학교에서 비장애학생과 함께 생활하는 장애학생을 발견하는 것은 쉬운 일이 되었다. 통합교육 현장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고자 교육 당국은 2008년부터 학교 현장에 장애이해교육의 의무 시행을 추진하였고, 십여 년 동안 정착되어 온 장애이해교육은 통합학급 내 비장애학생들에게 장애학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들에 대한 이해를 넓힐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청소년기 장애학생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요구가 다양한 상황에서 일률적인 장애이해교육의 시행이 통합학급 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들에게 얼마나 실효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특히 청소년기는 또래관계 속에서 소속감을 느끼고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이해교육 관련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SNS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기존 관계를 강화하거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지원하는 서비스로서 관계 형성에 많은 에너지를 쏟는 청소년기 중학생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근 다양한 교과에서 SNS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상호작용, 몰입, 학습 성과 등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장점을 학급 운영에 도입하여 구성원의 의사소통을 돕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급SNS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급SNS를 활용하여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들 간 상호작용의 기회를 마련하고 편견 없이 서로를 받아들일 수 있는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중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시행한 후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와 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E 중학교 3학년 2개의 통합학급으로, 실험집단 30명(비장애학생 29명, 장애학생 1명)과 통제집단 31명(비장애학생 30명, 장애학생 1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학급SNS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교과 및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10회기(오프라인 수업 7회, 온라인 과제 3회) 진행하였고, 같은 기간 통제집단은 별도의 장애이해교육을 받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개발은 기존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중학교 공통교육과정의 교과 내용과 연계를 생각하여 핵심요소를 선정하여 이루어졌다. 학급SNS는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수업자료 및 의견 공유, 질의응답, 투표, 1:1 대화 등 학생들의 활동 전반을 보조하였고, 실험집단 학생들의 상호작용 장(場)으로 활용되었다. 학급SNS의 운영은 장애학생과 매주 새로운 비장애학생으로 구성된 관리자(2인 1조)에 의해 이루어지며, 연구자로부터 사전안내를 받고 친구들의 학급SNS 활동을 지원하였다. 또 실험집단 장애학생은 매주 1회 특수학급에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필요한 학업적·사회적 기술을 별도로 지도받았다. 연구자는 중재를 마친 후 학급SNS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이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 변화에 대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총점과 하위영역별 점수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SNS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은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에 비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총 3개의 하위영역 중 2개(학습활동, 일상활동)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냈다. 조력활동 영역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학급SNS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 장애학생은 통제집단 장애학생보다 자아존중감에서 긍정적 점수 향상을 보였으며 총 4개의 하위영역 중 3개(자기관련 전반적, 사회-또래관련, 학교-학업관련 자아존중감)에서 점수의 유지 또는 상승을 보였다. 가정-부모관련 자아존중감 영역에서는 두 집단 장애학생 모두 점수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급SNS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중학교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와 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급SNS를 활용하여 장애이해교육을 실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에게 성공적인 통합교육 환경을 지원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using classwide SNS on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disability a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belong to a special classroom, and 59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to which they belong. 30 students(included one disabled student) from the group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31(included one disabled student) to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using classwide SNS to the experimental group 10 sessions(7 sessions in classroom, 3 sessions as SNS assignment)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regular class without any information for disability awareness. The classwide SNS was managed by a team that consisted of a student without disabilities and a student with disabilities and the team supported classwide SNS activities generally.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 with disabilities was taught academic and social skills that were required in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After the program, the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determine attitudes of 59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a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pretest-posttest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control group,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using classwide SN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ese changes appeared in learning activity and daily activ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pport activity. Second, a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d scores in self-esteem after the program, compared to the scores before the program. Self-esteem scores increased in general, social-peer and school-academic self-esteem area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home-parents self-esteem area. Thes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using classwide SNS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on their peers’ attitudes toward disabilities who studied together in inclusive classroo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s by educating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using classwide S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