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1 Download: 0

바리스타 교육을 활용한 장애학생주도 또래교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바리스타 교육을 활용한 장애학생주도 또래교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Directed Peer Tutoring Connected Barista Education on the Self-Estee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Peers without with Disabilities in High School
Authors
최유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성공적인 통합교육은 서로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인식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청소년기 장애학생의 경우 사회적 수용의 어려움과 잦은 실패 경험으로 인해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기 쉬우며, 비장애학생 역시 장애학생들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의 기회가 적어 장애학생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수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서로에 대한 이해부족과 상호작용의 기회의 제한에서 오는 심리적 거리감을 좁혀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는 것은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래교수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사회적 기술, 자아존중감 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입증된 교수방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또래교수연구에서 장애학생은 선행기술 부족 및 능력의 제한 등으로 인해 그 역할이 또래교수자 보다는 또래학습자에 편중되어 있어 동등한 역할 참여를 위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바리스타 교육은 장애학생의 취업과 창업의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어 교육 현장에서 많이 이뤄지고 있는 직업교육 중 하나이다. 또한 바리스타 교육은 많은 교육 경험으로 숙련된 관련 기술을 갖고 있는 장애학생이 상당수라는 점,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비장애학생은 장애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바리스타 교육 경험이 적다는 점,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적용하기 용이하다는 점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바리스타 교육은 또래교수자로서 장애학생이 지식, 기능, 태도 등을 또래학습자인 비장애학생에게 전달할 수 있는 또래교수에 활용하기 좋은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특수학급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바리스타 교육을 활용한 장애학생주도 또래교수를 고안하였으며,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에게는 기술통계를 비장애학생에게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실시하여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P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 4명과 비장애학생 24명으로 총 28명이며, 비장애학생 중 24명은 실험집단 12명, 대기자 통제집단 12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기간은 2018년 1월에서 7월까지이며, 프로그램은 사전교육 5회기와 본회기 10회로 총 15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바리스타 교육을 활용한 장애학생주도 또래교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학생별로사전-사후의 자아존중감 변화정도를 그래프로 확인하였다. 또한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변화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에 대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리스타 교육을 활용한 장애학생주도 또래교수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들 모두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모든 학생이 사전검사 점수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4개의 하위영역 중 학교-학업관련 자아존중감, 사회-또래관련 자아존중감, 자기관련 전반적 자아존중감 순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가정-부모관련 자아존중감에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은 장애학생 수용태도 변화 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의 장애학생 수용태도 점수가 프로그램 적용 후의 증가폭이 통제집단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바리스타 교육을 활용한 장애학생주도 또래교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전통적인 또래교수에서 주로 또래학습자의 제한적인 역할만 해왔던 장애학생이 또래교수자로서의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One of the important trends in special education is the expansion of inclusive education. As a result, discussions are actively underway to develop curricula and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Even if the importance of inclusive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a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receiving the inclusive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General teachers still have a lack of awarenes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teachers feel difficulty in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Furthermore, the lack of systemized inclusive education programs makes it worse to implement theinclusive education. Therefore,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here should be the change of awareness as well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grams for bo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in the high schools where the educational climate and curricula are focusing on the collage entrance, the opportun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nteract with peers are inevitably less than other school levels such as preschoo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However, as the high school special classes are the last stage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receive theeducation before adulthood, more structured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and researches are required for their smooth transition to local communities. Therefore, to develop a program to promote the inclusive education for both special class students and students without with disabilities in high schools, this study devised a method to use the peer professors who are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barista education.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for special class students and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for students without with disabilities, it tried to find out its influence on the self-esteem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and the acceptance attitude of students without with disabiliti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students attending P high school in Gyeonggi-do: 4 special class students and 24 studentswithout with disabilities. Among 24studentswithout with disabilities, 12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 rest 12 were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period was 7 months from January to July of 2018.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he effec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directed peer tutoring connected barista education used for analyzing the change degree in their self-esteem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attitude change of peers without with disabilities, two independent sample t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differences i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4 students of the special class participated in the peer professor program showed a positive change in self-esteem. All the post-test score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s and these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re were changes in tot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among the four sub-domains. Second, the ordinary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the acceptance of the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increase in their disability acceptance score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 was much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hows that the peer barista education led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positively influenced the peers without with disabilitie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arista education program led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positively affect the self-esteem of special class students and the acceptance attitude of peers without with disabilities in high school In this study, an inclusive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proposed and actually applied to an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at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mainly played as peer learners in the traditional peer education can also demonstrate the leadership as peer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