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7 Download: 0

만4세 유아의 협력적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Title
만4세 유아의 협력적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The Action Research on the Effective Methods for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for Four-Year-Old Children
Authors
조주홍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여, 이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4세 구름반 유아의 협력적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2. 만4세 구름반 유아의 협력적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따른 유아와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실행연구로써 S시에 위치한 하늘유치원의 만4세 구름반 22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행되었다. 연구자는 협력적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1학기 동안 실시했던 신체활동 및 협력적 신체활동의 현황을 분석하였고, 만4세를 맡았던 2016년, 2018년의 유치원 교육과정과 교육환경 분석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수정 및 보완하여 협력적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8년 7월 30일부터 11월 7일까지이며, 하늘유치원 구름반에서 운영해 온 협력적 신체활동에 대한 문제점 인식 및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실행 방안 모색, 2차 실행, 1·2차 실행 평가의 순서로 실시되었다. 교육활동은 연구자에 의해 실행되었으며 이를 녹화, 녹음 및 전사하여 현장노트로 작성하였다. 이외에도 교육계획안, 연구자 저널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범주화, 부호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실행에서는 협력적 신체활동을 위한 준비단계 활동으로 집단 속에서 나와 친구를 이해하기, 친구와 긍정적 상호작용하기를 실시하였고, 그 후 소그룹 협력적 신체활동과 도구를 사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을 실시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나에 대해 알기, 친구에 대해 알기, 서로간의 차이에 대해 이해하기, 1:1 협력활동과 집단 협력활동을 통해 친구와 긍정적 상호작용하기, 2~3명이 함께하는 협력적 신체활동하기, 3명이 함께하는 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하기이다. 1차 실행 결과 협력적 신체활동이 힘든 개별 유아가 발견되었고, 다양한 집단으로 협력적 신체활동을 할 필요성과 집단 안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려는 유아 의 참여 증진 요구가 나타났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협력적 신체활동이 힘든 개별 유아를 지원하고, 다양한 집단으로 협력적 신체활동을 실시하며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협력적 신체활동을 실시했다. 구체적인 방안은 특수 유아 지원하기, 다양한 집단의 크기로 협력적 신체활동하기, 다양한 집단 구성 방법으로 협력적 신체활동하기, 협력적 신체활동의 환경 구성하기, 협력적 신체활동의 활동 방법 구성하기이다. 둘째, 협력적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방안에 따른 유아들의 반응은 긍정적 상호작용이 중가하고, 협력의 분위기가 형성되었으며 서로의 차이에 대한 존중의 태도가 형성되었다. 한편 교사는 유아기 협력적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협력적 신체활동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고, 유아의 참여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본 연구는 만4세 유아의 협력적 신체활동의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이에 관한 교육적인 의미를 찾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협력적 신체활동을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d implement the effective methods o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the results from infants and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are some effective methods for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ofthe four years old children in Gurum Class? 2. What is the response of the infants and teachers according to the effective methods for cooperative activities? The subject for this action research was 22 infants who are 4 years old in Gurum Class in Hanuel Kindergarten in S city. To establish an effective method for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the physical and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conducted in the first semester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kindergarten course and environment of 2016 and 2018 were analyzed for identifying problems. The analysis result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the effective method for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The research duration was from July 30, 2018, to November 7, 2018.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recognition of problems on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that had been continued in the class and seeking for an action plan, the first implementation, the evaluation of the first evaluation, seeking a second action plan,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plan, and the evalu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ction plans. The activities were conducted by the researcher and the course was recorded in the audio and video which was then transcribed into the field note. In additio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yllabus and research journal which was categorized and encoded for analysis per proble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first action plan was a preparatory step for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and the activities included understanding the self and friends in a group and having positive communication with friends.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were then carried out using tools. More specifically, activities included getting to know the self, getting to know friends,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others, having positive communication through one-on-one and group cooperative activities, conducting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with 2-3 people and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with 3 people using tools. After the first implementation of the action plan, some individual infants who were finding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difficult, and the need for the activities became apparent. Other infants were more active in the group, wanted to carry out different roles, and demanded proactiveness from other friends.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the result of the first plan was reflected. The individual infants who were having difficulties were supported while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different groups. Specific activities included supporting special infants, conducting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in different group sizes and forms,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for the activities, and structuring activity methods. Second, in terms of response from the infants and teachers,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increased positive communications between infants, established a cooperative atmosphere, and respectful attitude for each other. The teachers becam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of the infants, were more confident about the activities, and had a change of perception in the infants’ participat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a way that it proposed the need for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for 4-years-old childre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I hope that this study serves as a concrete data for field teachers to conduct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and its effective ope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