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0 Download: 0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역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Title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역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on Activation Plan of Art Area, Focusing on Exploration of Art Media
Authors
김지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is study aims at seeking for activation plan of art area, focusing on exploration of art media, and executing the plan to monitor reactions of children and teacher. Th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set to meet the research objective are as below: 1. What is the activation plan of art area, focusing on exploration of art media? 2. What are the reactions of children and teacher in accordance with the activation plan of art area, focusing on exploration of art media? This study was conducted at a 4-year-old class in Somang Kindergarten, a corporate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 subject of study includes 26 children and 1 teacher. To establish activation plan of art area, focusing on exploration of art media, the study inspected class curriculum and daily education plan of 3 and 4-year old classes of 2017-2018 semesters to analyze operation problem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9th July to 5th November, 2018, and executed activation plan of art area, focusing on exploration of art media that was suitable for the interest and development of 4-year-old children. The study was conducted first by recognizing problem on art area focusing on exploration of art media, followed by seeking for respective resolution, first execution, evaluation of first attempt and seeking for second execution plan, second execution, and evaluation of first and second executions. During the course of research, the study used children interview, video recording, photograph, art area participation timetable and sampling of exploration to create field note for data collection and collected education curriculum and research journals which were later categorized and encoded to be analyzed as per each research problem. The output of this research is as below. First of all, the study prepared and executed effective activation plan of art area, focusing on exploration of art media. While putting great emphasis on expression activities from existing art activities, the study found out the needs for provision of uniform and limited at media, environment change of art area, and encouragement for children lacking interest in art activities. Based on these insights, the study sought resolutions of supporting art media according to children’s interest, basis children interview, supporting environment for art area, and supporting for children’s participation. As the first execution plan, the study consecutively supported various art media by enabling children to voluntarily use art media that they are used to, remove un-used art media, replace worn out art media, and replenish lacking art media, all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children. Furthermore, the study not only moved the physical space of art area to expand and changed structure to support environment for art area, but also supported small group activities to drive participation of children towards exploration of art media. As a result of the first execution plan, the needs for new art media, exhibition space, and measures to support participation of children, on exploration of art media, with low interest were indicated. Hence, in second execution, addition of new art media, building exhibition space, completion by combining individual artwork, and support for exhibition were included. Secondly, as for the children’s reaction on activation plan of art area, focusing on exploration of art media, there were improvements on voluntary participation on art area, improvements on more active exploration capability, expanded visuals with improved expression skills, and heightened two-way interaction between peers. As for the teacher, the importance of art media was once again registered, with increased sense of efficacy on art. This study poses significance as it suggested the need to seek for measures for activation plan of art area, focusing on exploration of art media, while suggesting exploration plan of consecutive art media based on children’s interest and development. It is expected for this study to contribute for effective use by teachers at the field, by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for the teachers to plan, organize, and execute exploration on art media. ;본 연구는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역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2.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역 활성화 방안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법인유치원인 소망유치원 만 4세 학급에서 실시되었으며 연구 대상은 사랑반 유아 26명과 교사 1명이다.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역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2017-2018학년도의 만 3, 4세 학급 교육과정과 일일교육계획안의 평가를 점검하여 운영의 문제점을 분석했다. 연구 기간은 2018년 7월 9일부터 2018년 11월 5일까지이며, 만 4세 유아의 흥미와 발달에 적합한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역 활성화 방안을 실행했다. 연구는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역에 대한 문제 인식 및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실행 방안 모색, 2차 실행, 1·2차 실행 평가 순서로 실시되었다. 연구기간 동안 유아 면담, 비디오 녹화, 사진, 미술영역 참여 시간표집, 탐색행동에 대한 사건표집과 현장 약기를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했으며 교육계획안, 연구자 저널을 수집한 후 이를 범주화, 부호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하는 효과적인 미술영역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기존 미술활동에서 표현에 주력하면서 일률적이며 한정적인 미술 매체 제공과 미술영역 환경 변화의 필요성, 미술활동에 관심이 적은 유아 참여를 위한 격려의 필요성을 발견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먼저 유아 면담을 토대로 유아 흥미에 따라 미술 매체 지원하기, 미술영역 환경 지원하기, 유아 참여 지원하기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1차 실행 방안은 유아 흥미에 따라 익숙한 미술 매체는 자율적으로 꺼내 쓰게 하고, 안 쓰는 미술 매체는 제거하고, 낡은 미술 매체는 교체해 주고, 부족한 미술 매체는 보충해 주어 다양한 미술 매체를 순차적으로 지원했다. 또한 미술영역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미술영역 공간을 이동하여 확장하고 구조를 변경했으며, 미술 매체 탐색에 유아의 참여를 위해 소집단 활동 지원이 이루어졌다. 1차 실행 결과 새로운 미술 매체 지원하기와 전시 공간의 필요성, 미술 매체 탐색활동에 관심이 적은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른 2차 실행에서는 새로운 미술 매체 추가하기와 전시 공간 만들기, 개인 작품 합하여 완성하기와 전시회하기 지원이 이루어졌다. 둘째,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역 활성화 방안에 따른 유아의 반응은 자발적인 미술영역 참여 증가, 능동적 탐색능력 증진, 미술 매체에 대한 시각 확대와 표현능력 향상, 또래와의 상호 교류 증진으로 나타났다. 교사에게는 미술 매체에 대한 중요성 재인식과 미술에 대한 교수 효능감이 신장 되었다. 본 연구는 미술 매체 탐색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역 활성화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유아의 흥미와 발달에 따른 순차적인 미술 매체 탐색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미술 매체 탐색을 계획·조직하여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