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0 Download: 0

확장형 듣기학습 상황에서 듣기 짝 협동 학습이 성인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itle
확장형 듣기학습 상황에서 듣기 짝 협동 학습이 성인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ired Listening for Extensive Listening on Korean EFL Students' Listen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Attitudes
Authors
하지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진
Abstract
확장형 듣기 학습은 의미 중심의 전체적인 내용 이해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텍스트를 최대한 많이 듣는 듣기 활동을 의미한다. 영어 학습자는 확장형 듣기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유형의 실제적인 듣기 자료에 노출이 되어 자연스럽게 듣기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듣기 활동은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정의적인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한다. 하지만 듣기 학습자의 동기 부족과 불안과 같은 확장형 듣기 활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요소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듣기 학습자가 듣기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듣기 중 느끼는 불안을 낮추기 위해서 확장형 듣기 학습 상황에서 듣기 짝 협동학습이 성인학습자의 듣기 이해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듣기 짝 협동학습과 결합한 확장형 듣기 활동의 효과성과 현장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평생교육원 성인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10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고 연구 설계는 다음과 같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1과 2는 듣기 수업 후 부여받은 과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통제집단은 전통적 듣기 과제를 수행하는 집단으로 연구자가 정해준 듣기 자료를 듣고 듣기 이해 문제가 포함된 과제를 수행한다. 실험집단은 확장형 듣기 활동을 하는 집단으로 자신이 직접 듣기 자료를 선택한다. 실험집단1은 개인듣기일지를 작성하는 집단으로 혼자서 확장형 듣기를 수행하고, 실험집단2는 협동듣기일지를 작성하는 집단으로 동질 수준으로 구성된 듣기 짝과 함께 확장형 듣기를 수행한다. 연구 참가자들은 연구 시작 첫 주에 사전평가와 사전설문지를 작성하였고 8주 동안 각기 다른 과제를 수행했다. 10주차에는 사후평가와 사후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분석한 내용과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으로 확장형 듣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1과 듣기 짝과 함께 확장형 듣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2의 사전평가와 사후평가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 결과는 확장형 듣기 활동을 통한 듣기 일지 작성이 듣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하위 학습자는 전통적 듣기 이해 과제를 수행한 통제집단이 듣기 이해 능력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고, 상위 학습자는 듣기 짝 활동과 결합하여 확장형 듣기를 수행한 실험집단2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 결과는 학습자를 수준별로 다른 듣기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위 학습자에게는 교사가 정해준 실제적 듣기의 전통적 듣기 이해를 푸는 과제를 제공하고, 상위학습자에게는 듣기 짝과 함께 협동듣기일지를 쓰며 확장형 듣기 활동을 할 수 있게 격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듣기 짝과 함께 확장형 듣기를 수행한 실험집단2가 다른 집단보다 난이도가 적절한 듣기 자료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확장형 듣기 활동에서 듣기 짝의 존재가 적절한 듣기자료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을 시사한다. 넷째, 정의적 측면에서, 통제집단의 상위학습자의 동기와 하위학습자의 흥미와 자신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집단1의 하위학습자의 자율성이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 결과는 연구자가 선택한 실제적 듣기 자료가 하위학습자의 흥미와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상위학습자에게는 동기가 높아진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개별적으로 확장형 듣기 활동을 하면 하위 학습자의 자율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영어듣기 과제에 대한 인식에서 실험집단1이 개인 듣기일지의 활용도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학습자 자신이 자유롭게 듣기 자료를 선택하고 듣기 일지를 사용하여 들은 내용을 다시 정리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듣기 짝 협동학습과 결합된 확장형 듣기 활동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확장형 듣기 활동을 수업 외의 듣기 활동으로 격려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과제에 대한 목적을 분명하게 상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확장형 듣기 활동은 즐거움을 위한 의미중심의 듣기 학습이기에 자신의 흥미를 고려한 듣기 쉬운 듣기 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교사가 적극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둘째, 확장형 듣기 활동을 실행할 때,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듣기 자료 선택에 제한을 두어야 한다.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너무 광범위한 장르의 듣기 자료를 제공해 주는 것 보다는 특정한 장르에 국한되어 듣기 자료를 선택하도록 유도해야한다. 하위 학습자에게는 듣기 자료의 선택권이 너무 광범위하기에 교사가 선택한 적절한 난이도의 실제적인 듣기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듣기 짝 협동 학습을 활용한 확장형 듣기 활동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규 수업 시간에 과제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비록 확장형 듣기 활동이 수업 외 활동으로 과제의 형태로 진행된다 하더라도, 모든 학습자들이 참석한 수업시간에 교사의 지도하에 자신의 듣기 경험에 대해 공유하면서 학습자들이 선택한 듣기자료와 출처의 정보를 공유하면서 과제에 대한 동기를 높일 수 있고, 듣기 자료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넷째, 확장형 듣기 학습 상황에서 듣기 짝 협동 학습을 실행할 때, 학습자별 학습 스타일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자마다 선호하는 학습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교사는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개인듣기일지나 협동듣기일지를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험 연구는 8주라는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듣기 짝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에게 광범위한 듣기 자료를 제공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난이도 선택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확장형 듣기 활동을 위한 자료를 수준별 학습자에게 제한을 두어서 듣기 짝 활동의 효과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Extensive Listening refers to a listening activity that focuses overall meaning of the listening text with abundant input from a variety of authentic text. L2 learners should naturally improve their listening proficiency while exposed to a plenty of real life input. This activity not only helps learners improve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but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learners' affective attitudes. However, some factors such as low motivation and high anxiety prevent successful listening experiences from being achieved. In order for L2 learners to persist their listening and lower their anxiety during listening experienc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listening buddies or paired listening for extensive listening on Korean EFL students' listen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attitudes, thereby suggest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to Korean EFL situ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is grownup students who attend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n Seoul. For 10 weeks, one control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performed different types of task outside class. The participants in control group were assigned traditional comprehension check task, which includes multiple choice questions about the content of listening materials chosen by the researcher.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s performed extensive listening activities. The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1 individually wrote 8 listening logs on self-selected listening materials while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2 wrote 8 listening logs in a cooperative manner with a listening buddy. The first week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from all groups took a pre-test and responded to pre-questionnaire. For the following 8 weeks, they performed their own tasks. On the final week of the study, all participants took a post-test and responded to post-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1 and 2 from pre-test to post-test shows that listening logs for extensive listening are better than comprehension check task to improve listening proficiency. Second, the test score by lower proficiency students in control group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nd higher proficiency level students' score in experimental group 2 has statistically meaning improvement. It means that students have to perform different types of task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 For lower students, instructor should give them traditional multiple choice questions, while collaborative listening logs for higher-level students. Third, experimental group 2 selected more suitable level of listening material than the other, indicating that the availability of listening buddy helps students sort out listening material appropriate to their current level. Finally, in terms of affective aspects, higher level student in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motivation score. Also, lower level in control group showed a meaningful increase in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tems. And lower level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1 h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utonomy. This suggests that authentic materials chosen by researcher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n lower achieving students and on motivation in higher ones. In addition, individual listening journal positively influences autonomy in low proficiency level students. And in the perception of listening task questionnaire, the response of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1 to task usefulnes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his may result from the fact that they can get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on their listening experience through listening lo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that first, it is important to make sure the purpose of the extensive listening activity to students: listening for pleasure. Extensive listening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so that instructors make sure that students select listening material slightly below their current level. Second, proficiency level of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selection of material. Teacher should narrow down students' choice to a certain genre for successful extensive listening. As for lower students, it would be more helpful to assign teacher-selected material rather than provide a broad range of choices. Third, teacher should reserve some time for student discussion over extensive listening during class. Although extensive listening activity is designed for outside of class, class discussion provides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share the information about listening resources and thus explore listening material that suits learners' interest as well as their level. Finally, learning style should be considered when implementing extensive listening programme. Since some learner prefer learning alone, or others learning together, teacher should assign either individual listening logs or collaborative listening logs to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preference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was conducted for relatively short period, 8 weeks, which is not enough to look at the long term effect of paired listening for extensive listening. Also, too much variety in material selection confused students when finding right level material. Therefore, explicit guide to choice of right material and long term effects of listening buddies for extensive listening are suggested as a further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