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김연경-
dc.creator김연경-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51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5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6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61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934-
dc.description.abstract외국어 학습에서 어휘 지식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개별 어휘에 대한 학습과 더불어 어휘와 함께 쓰이는 표현을 학습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코퍼스 기반으로 교과서와 평가지문을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었다(김제우, 이동주, 2017; 조민수, 박은수, 2016; 김재은, 최인철, 2015). 그러나 기존의 평가지문 연구에서는 단일어 분석만이 시행되었으며, 다양한 단어의 조합을 분석한 연구는 시행되지 않았다. 응용언어학 분야에서는 코퍼스 언어학의 발달로 다양한 단어의 조합을 분석하는 어휘다발이나 정형어구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주로 학문 목적으로 사용되는 언어에서 사용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언어사용역에 따라 특별하게 나타나는 정형어구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정형어구의 구조적, 기능적 특징을 장르별로 비교한 연구도 수행되었다(Biber, 2006; Hyland, 2008; Simpson-Vlach & Ellis, 2010). Durrant(2018)는 학습자들이 목표로 삼는 학문목적 영어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정형어구 목록을 구축하여 학습자들이 중점을 둘 항목을 확인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언어사용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정형어구의 특성 중에서 평가 지문에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하고자 대학수학능력시험과 SAT 읽기 지문에 나타난 정형어구의 구조적, 기능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능 지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기존 연구에서 교과서에 나타난 정형어구 분석이나 듣기 지문에 나타난 정형어구 분석은 있었지만, 수능 읽기 지문의 어휘 간 결합과 쓰임에 관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이며, 수능 시험이 국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네 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는 수능·학력평가와 SAT 읽기 지문에 나타난 어휘의 밀집도와 어휘 분포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는 두 코퍼스에서 빈도수와 상호정보(MI)가 높은 3, 4단어 정형어구를 비교하였다. 셋째는 수능·학력평가와 SAT 읽기 지문에 나타난 정형어구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넷째는 두 코퍼스에 나타난 정형어구의 기능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도구는 Collocate 1.0을 사용하여 3, 4단어 정형어구를 추출하여 정형어구 목록을 구축하였고, 이를 구조적·기능적으로 분석하였다. RANG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두 코퍼스의 어휘의 밀집도와 분포를 살펴보았다. 구조적 분석은 Cortes(2004)의 분류 기준을 사용하였고, 기능적 분석 기준은 Simpson-Vlach과 Ellis(2010)의 분류를 따랐다. 빈도수와 상호정보 점수를 기준으로 양적 분석을 하였고, 세부적인 예시를 통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AntConc 3.5.0의 콘코던스 기능을 활용하여 각 정형어구의 예문을 살펴보고 쓰임을 분석하였다. 두 코퍼스에 나타난 어휘 다양도(TTR)를 분석한 결과, 수능·학력평가 지문보다 SAT 지문에 더 다양한 어휘가 사용되었고, 수능·학력평가 지문에는 반복되어 사용되는 어휘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RANGE 프로그램을 통해 각 코퍼스의 어휘를 분석한 결과 수능·학력평가의 지문에 쉬운 단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AT에 수능·학력평가 지문보다 더 다양하고 수준 높은 단어가 사용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빈도수를 기준으로 각 코퍼스에 나타난 정형어구를 분석한 결과 수능·학력평가 지문에 더 많은 수의 정형어구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능·학력평가 지문에 반복적인 표현이 등장하기 때문이며, SAT 지문은 다양한 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형어구를 구조적으로 분석한 결과, 수능·학력평가 지문에는 명사구의 사용이 가장 빈번하였고, SAT 지문에는 전치사구의 사용이 가장 많았다. 이는 선행 연구인 Biber 등(2004)의 분석 결과와 일치하는데, 기존 연구에서도 문어 텍스트의 경우 명사구와 전치사구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세부적인 예문을 살펴본 결과 수능 지문에서는 제한된 어휘를 사용하였으나, SAT에서는 표현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정형어구를 기능적으로 분석한 결과 두 코퍼스에서 모두 지칭 표현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문적 글쓰기에 지칭 표현이 자주 사용 된다는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Biber & Barbieri, 2007). 그 다음으로 양태 표현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담화구조자가 가장 적게 사용되었다. 수능·학력평가와 SAT 지문 모두 문어 담화의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정형어구의 특징이 언어 사용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 연구의 결과처럼 두 코퍼스에 나타나는 고빈도 정형어구에 차이가 있었다. 수능·학력평가에는 연결사 표현과 퍼센트를 나타내는 표현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도표 문항, 연결사가 들어갈 전후 문장의 논리를 파악하는 문항으로 인해 해당 표현들이 고빈도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형별로 출제되는 수능 시험의 특성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기능적으로는 담화구조자 표현들이 SAT보다 많이 사용되었는데, 주제를 제시하거나 상세화할 때 사용되는 표현이 반복적으로 수능·학력평가 지문에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분석하는 언어사용역의 특성에 따라 정형어구의 특징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Lexical competence is crucial in learning a second language. Through corpus linguistic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lexical bundles and formulaic sequences. In applied linguistics, studies have focused on comparing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formulaic sequences between registers(Biber, 2006; Hyland, 2008; Simpson-Vlach & Ellis, 2010).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differences between formulaic sequences in CS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SAT reading assessment texts. The corpus of the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198,663 words in CSAT and 198,737 words in SAT respectively. The key formulaic sequences of the study were extracted using Collocate 1.0 to conduct frequency, Mutual Information(MI) score,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es. Three and four word formulaic sequences were retrieved and filtered by frequency and MI score. In this manner, 190 formulaic sequences from CSAT and 100 from SAT were examined. RANGE program was used to compare the lexical density and distribution of words between the two corpora.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the formulaic sequences were explored through concordance analysis by modified versions of Cortes'(2004) structural framework and Simpson-Vlach and Ellis'(2010) functional taxonomy. The results of the RANGE program showed that SAT used more diverse and difficult words compared to CSAT.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formulaic sequences revealed that CSAT used more formulaic sequences than the SAT counterpart. This means that CSAT used more repeated expressions, whereas SAT used diverse words.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formulaic sequences showed that Noun Phrase was the most dominant in CSAT, whereas Prepositional Phrase was pervasive in SAT. The functional analysis showed that both corpora relied heavily on referential expressions.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analysis indicate that referential bundles are dominantly used in institutional writing (Biber & Barbieri, 2007). Stance expressions were second highest and discourse organizing functions were the least among the functional categories. Both CSAT and SAT exhibited the characteristics of a written regis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uggest that high frequency formulaic sequence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gister. In CSAT, connectives such as `as a result,' `on the other hand,' `in other words' were frequent. This may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 types in CSAT. The expression `the percentage of' was also frequent because of graphs in CSAT. Discourse organizers were prevalent in CSAT as well. This may indicate that formulaic sequences in texts are part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s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코퍼스와 어휘연구 4 B. 정형어구의 조작적 정의 7 C. 선행 연구 9 1. 영어 교과서와 평가 지문의 코퍼스 기반 어휘 분석 연구 9 2. 정형어구에 대한 선행 연구 11 3. 어휘 및 정형어구 목록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1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8 A. 연구 질문 18 B. 연구 방법 18 1. 연구 대상 코퍼스 구축 18 2. 참조 코퍼스 구축 19 C. 분석 절차 21 1. 정형어구 분석 21 2. 어휘 밀집도 및 어휘 분포 분석 25 3. 구조적 분석의 기준 26 4. 기능적 분석의 기준 27 D. 연구의 제한점 3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2 A. 연구대상 코퍼스의 어휘 분석 결과 32 1. 연구 대상 코퍼스의 개괄적 정보 32 2. 어휘 밀집도 및 어휘 분포 분석 결과 33 B. 정형어구의 빈도수 및 상호정보 분석 결과 34 C. 정형어구의 구조적 분석 결과 36 1. 명사구 분석 결과 37 2. 동사구 분석 결과 42 3. 전치사구 분석 결과 44 4. 절 분석 결과 47 5. 기타 표현 분석 결과 49 D. 정형어구의 기능적 분석 결과 50 1. 지칭 표현을 포함하는 정형어구의 기능적 분석 결과 53 2. 양태 표현을 포함하는 정형어구의 기능적 분석 결과 63 3. 담화구조자를 포함하는 정형어구의 기능적 분석 결과 69 Ⅴ.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77 부록 82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88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고등학교 영어 읽기 평가 지문의 코퍼스 기반 정형어구 비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대학수학능력시험, 학력평가, SAT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rpus-based Comparative Analysis of Formulaic Sequences in High School English Reading Assessment Texts : CSAT and SAT-
dc.creator.othernameKim, Youn Kyong-
dc.format.pagei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