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2 Download: 0

The Effects of YouTube Production Activities on Phrasal Verbs Learning

Title
The Effects of YouTube Production Activities on Phrasal Verbs Learning
Other Titles
유튜브(YouTube) 제작 활동이 구동사 학습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조오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Josephine Lee(이미진)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YouTube production activities on phrasal verbs learning and its affective domains. A total of 3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eight sessions of this experiment; fifteen students were assign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fifteen students were assigned as a control group. For their phrasal verb learning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 had YouTube production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had role-play activities. Before these treatments, both groups received an explicit phrasal verbs instruction. The pre- and post-tests were implemented in both of the groups during the sessions. Two weeks after the post-test, the delayed post-test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vocabulary retention of the target phrasal verbs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order to inspect the effects of YouTube activities on phrasal verbs learning, the test results of the group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t-test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st-test scores of the YouTube group and role-play group. The YouTube group had a higher mean score in comparison to the role-play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ceptive test scores for both of the groups, where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oductive test scores for both groups. This implicates that the YouTube production activities were an effective means for acquiring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which is used in most parts of communication. A t-test was conducted to inspect the effects of the YouTube activities on the retention of phrasal verbs. The result of the t-test presen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layed post-test scores of both groups. The YouTube group had a higher mean score which indicated that YouTube activities are highly effective for the retention of phrasal verbs in comparison to the role-play activit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YouTube group and role-play group in terms of the receptive and productive test scores for the delayed post-tests. The YouTube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for the retention of phrasal verbs than role-play activities. The amount of receptive knowledge acquired through the YouTube production activities and the amount of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acquired through the role-play activities were approximately the same. In terms of vocabulary retention, however, the receptive knowledge gained by the YouTube activities retained longer than the role-play activities. The most important finding of the present study was that more productive knowledge retains when the vocabulary is taught with YouTube production activities rather than other traditional role-play activities. The YouTube group’s post-questionnaire scores for anxiety reduc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the pre-questionnaire score. Meanwhile, the post-questionnaire scores for the attitudes towards phrasal verbs learning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pre-questionnaire scores. The perceptions of the learner in the two groups were also compared across four categories. The role-play group had a higher average score for the interest, attitude, and intended behavior categories in comparison to the YouTube group’s mean score, which also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depth questionnaire analysis, the students of the YouTube group left positive responses in the positive comment section noting that the overall class was interesting, easy to review and that it provided opportunities to use their newly learned vocabulary. However, the students also responded that they felt shy when exposing their oral production in front of others and that the time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was limited. When asked about the YouTube activities, most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YouTube was easy to access and use. However, since YouTube is an open platform that everyone has access to, the students were concerned with the disclosure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and felt a burden when exposing their voice and face on the interne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 few pedagogical implications on phrasal verbs learning can be suggested. First, YouTube production activities promot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learning. The major findings indicate that YouTube was useful for enhancing the L2 learners’ vocabulary acquisition and retention. Second, the L2 learners’ anxiety is reduced when learners are exposed to activities that entail oral production. A class design that promotes language production would be considered for the EFL classroom settings, and there has yet to be various opportunities for practicing oral production. Third, when teachers use technology and digital platforms in the classroom, they should investigate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tools used and design suitable classroom activities for the objectives of the class. ;최근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학습을 강조하는 교육패러다임인 구성주의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영어교육에서도 학습자들이 직접 능동적으로 충분히 영어를 사용하여 배우는 이상적인 교실 환경 및 교수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학습자들은 EFL 환경 안팎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기회가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의 EFL 교육자들은 멀티미디어 기기와 및 다양한 종류의 기술을 활용하여 영어를 사용할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는 교수법과 학습 방법을 계획하고 시행하고 있으나 그 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많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학생들의 능동적 학습 및 영어 사용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유튜브 제작 활동이 한국 대학생 학습자들의 구동사 학습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총 30명의 대학생이 총 8차시에 걸친 실험에 참여하였고 각각 15명의 학생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임의로 배정되었다. 두 집단 모두 명시적인 구동사 수업을 받은 후 실험집단은 배운 구동사를 사용하여 대본 만들기 및 유튜브 제작 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배운 구동사를 포함하는 대본 읽기 및 역할극 활동을 하였다. 두 집단 모두 사전 및 사후 어휘 평가와 설문지를 주어졌으며, 실험 2주 후에 목표 어휘의 장기적인 암기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후 지연 평가가 시행되었다. 그것을 토대로 두 집단의 결과가 비교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 제작 활동이 단기적인 구동사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어휘 평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실험 전후 점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사후평가 점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튜브 활동은 수용적 어휘 지식 습득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어 내지 못했지만, 생산적 어휘를 습득하는 것에는 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유튜브 활동이 역할극 활동보다 어휘 암기에 효과적이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유튜브 제작 활동이 장기적인 구동사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 지연 어휘 평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과 사후 지연 평가 점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지연 평가에서 수용적 및 생산적 어휘의 측면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튜브 제작 활동은 어휘 장기기억에 있어 역할극 활동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어휘 보유 측면에서 유튜브 활동으로 얻어진 수용적 어휘 지식은 역할극 활동보다 더 오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적 교수법인 역할극 활동보다는 유튜브 제작 활동으로 어휘를 배울 때 학습자들이 장·단기적인 측면에서 더 많은 생산적 어휘 지식을 얻는 것으로 보여진다. 유튜브 제작 활동이 한국 대학생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영어에 대한 불안감이 사전 설문지의 답변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줄어들었다. 통제집단에서는 구동사 학습에 대한 태도에 대한 사후 설문 점수가 구동 사에 대한 태도의 사전 설문 점수와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 및 통제집단의 각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역할극 활동 집단이 유튜브 활동 집단의 점수에 비해 유용성을 제외한 관심, 태도, 행동 의도 측면에서 평균 점수가 더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심화 설문에서 실험집단은 수업이 흥미롭고, 복습하기 쉬우며, 학습된 어휘를 사용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튜브 제작 활동을 통한 구동사 학습에 대하여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영어 말하기가 타인에게 노출될 때 종종 부끄러움을 느꼈으며, 수업 시간이 부족하였다는 부정적인 의견 역시 제시하였다. 학습 도구로서 유튜브의 유용성에 관하여 묻는 항목에 대부분 학생들은 유튜브가 접근하기 쉽고 사용하기 쉽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대답했지만, 다른 한 편으로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에 대해 우려했고 유튜브가 개방성 때문에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다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고 진술하였다. 정의적 태도에 대한 결과의 분석은 다음과 같다. 유튜브 제작 활동은 학습자들의 구동사 학습과 영어에 대한 불안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튜브 제작 활동은 역할극 활동보다 관심, 태도, 행동 의도 측면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냈지만, 학습자들은 유튜브 활동이 영어학습에 있어 유용한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심화 설문에서 유튜브를 학습 도구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위의 도출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영어교육에 있어 제작 활동의 필요성과 테크놀로지 활용을 통해 제작 활동을 하기 위한 교사의 준비도 및 유의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