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함정혜-
dc.contributor.author김지예-
dc.creator김지예-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50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5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3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38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92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학교 무용수업 참여학생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로 얻어진 결과를 통하여 학교 무용수업 참여기회를 높이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 무용수업에서 학생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지원을 파악하여 앞으로 시행될 무용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5개 중학교에서 무용수업에 참여하는 1~3학년 남·여 총 800명으로 표집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로 결측값이 매우 많거나 응답이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총 705부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사후검증 Scheffé,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은 사회적지지 전체와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년은 부모지지가 1학년, 교사지지는 3학년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참여시간과 참여기간은 사회적지지 전체와 부모지지가 4시간 이상 참여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1시간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사후검증에서도 1시간보다 4시간 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간은 사회적지지 전체가 9~12개월 미만, 부모지지는 2년 이상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모두 1년~1년 6개월 미만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사후검증은 1년~1년 6개월보다 사회적지지 전체는 9~12개월 미만, 부모지지는 2년 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은 자신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와 자기조절효능감이 2학년, 자신감은 1학년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사후검증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는 3학년보다 1, 2학년, 자기조절효능감은 1, 3학년보다 2학년, 자신감은 3학년보다 1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참여시간과 참여기간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은 학교생활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년은 학교생활만족 전체, 대인관계, 학습활동, 학교생활 모두 2학년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사후검증은 학교생활만족 전체, 대인관계, 학교생활 모두 1, 3학년보다 2학년, 학습활동은 3학년보다 1, 2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참여시간과 참여기간은 학교생활만족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학교 무용수업 참여학생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지지 전체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 학교생활만족 전체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적지지 전체 및 하위요인과 과제난이도선호를 제외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학교생활만족 하위요인과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무용수업 참여학생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지지는 과제난이도선호와 자신감을 제외한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지지는 과제난이도선호를 제외한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지지는 과제난이도선호를 제외한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지지 전체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교 무용수업 참여학생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지지는 대인관계를 제외한 학습활동, 학교생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지지는 학습활동과 학교생활을 제외한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지지는 대인관계, 학습활동, 학교생활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지지 전체는 학교생활만족 전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학교 무용수업 참여학생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무용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얻어지는 부모, 친구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생활에 만족을 가져온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만 교사지지를 낮게 지각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무용수업에서 얻는 충분한 지지는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이 관심과 사랑의 대상임을 인지하여 학업적 상황과 학교생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학교 무용수업이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dance classes.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the crucial information to increase the opportunity to attend dance class and to identify the source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students in dance classes and to present the desired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to be implemented. This research was examined a total of 800 boys and girls from 1st to 3rd graders participated in dance classes at 5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tools analyzed 705 total of the survey, excluding data that were very fragile or unresponsive. Data processing was done by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o analyze frequency,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ost-verification Scheffé, correlation analyses, multiple and linear regression analyses. The conclusions is drawn from these analyses are as below. First, based on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gender was perceived by female students way more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general,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Freshman was perceived in parents’support, 3rd grade was perceived in teachers’support. Participation time and participation period were the highest for all social support and parent support for more than four hours, and the lowest was an hour. The total social support period was below 9-12 months, and parents' support was highest for more than two years, and the total was lowest for less than 1 to 6 month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gender is perceived for male student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self-confidence.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ng efficacy of the school year were the highest among the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and the first grade was the highest level of self-confidence. The time and duration of participatio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overall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sub-components. Based on differenc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 female students were perceived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school. School life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earning activities, and school life were all recognized as the highest in the 2nd grade. The time and duration of participatio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he sub-components.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dance class participa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whole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verall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ubcomponen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excepting all social support and its’subcomponents and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also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cademic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al support had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self-regulated efficacy excepting for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and confidence. Teacher support has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self-regulated efficacy and self-confidence except for task difficulty. Friend support h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self-regulated efficacy and self-confidence except for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and the entire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Fourth, the analysis of social support for the students attending dance class in middle school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dicated that parental support had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learning activities and school life, except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eacher support had nega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xpect for learning activities and school life.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by attending the dance classes improved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nd cause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However, it is likely that it seems to be needed the supplementation of the supporting from teacher because it has a low level of awareness. To sum up, we expect school dance classes to become more active as sufficient support from dance classes can make good relationships and positively affect academic situations and school life by recognizing that they are the one who is loved and concer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모형 5 D. 연구의 제한점 5 E.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학교 무용교육 8 1. 학교 무용교육의 개념 8 2. 학교 무용교육의 가치 및 효과 9 3. 중학교 무용교육의 현황 13 B. 사회적지지 15 1. 사회적지지의 개념 15 2. 사회적지지의 구성요인 16 C. 학업적 자기효능감 18 1.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개념 18 2.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 19 D. 학교생활만족 21 1. 학교생활만족의 개념 21 2. 학교생활만족의 구성요인 22 Ⅲ. 연구방법 24 A. 연구대상 24 B. 조사도구 26 1. 설문지 구성 26 2.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30 C. 연구 절차 37 D. 자료 분석 38 Ⅳ. 연구결과 39 A. 중학교 무용수업 참여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의 차이 39 B. 중학교 무용수업 참여학생에 대한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의 상관관계 62 C. 중학교 무용수업 참여학생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64 D. 중학교 무용수업 참여학생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69 Ⅴ. 논의 75 Ⅵ. 결론 및 제언 81 참고문헌 84 부록. 설문지 91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04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중학교 무용수업 참여학생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Academic Self-efficien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Students who attend Dance Class in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Kim, Jiye-
dc.format.pagevii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