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8 Download: 0

오감체험을 활용한 미술 감상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오감체험을 활용한 미술 감상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tilizing five-sense experiences on the creative expression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정현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기존에 행해지던 지식습득 위주의 교육은 가치를 잃어가고 있다. 앞으로도 기술발달과 사회변화의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며, 따라서 다가올 미래 사회를 살아갈 지금의 학습자들은 인공지능이 대체할 수 없는 창의성을 계발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대학 등에서는 창의성 교육의 긴급성에 뜻을 같이하는 교수들이 모여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학회를 발족하는 등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도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창의성 교육의 필요에 따라 2015개정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핵심역량으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를 융합해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 사고 역량’을 들어 교육에서의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다.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미술 활동 과정에서 타 분야와 융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창의‧융합 역량을 지닌 인재’를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다(교육부, 2015). 미술 교과는 정해진 정답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학습자로 하여금 미술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마음껏 표출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창의성 교육에 적합하다(이현아, 2015). 또한, 미술 교육은 다양한 매체와 재료를 직접 다뤄봄으로써 학습자의 오감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과이며(백중열, 2015), 특히 미술 감상 활동은 학습자가 실제 경험해볼 수 없는 감각들을 상상하고 표현해봄으로써 학습자의 감각체계를 발달시키는 교육적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Eisner, 2002) 미술 교과에서 감상 활동은 오감체험을 활용하여 창의성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은 오감 발달이 완성되는 시기이며, 뇌의 감각신경이 빠르게 확장‧발달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최현석, 2009), 학교 수업을 통해 다양한 감각을 직접 체험할 기회는 부족하기 때문에(김춘일, 윤정방, 2007),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오감 체험을 활용한 창의성 교육은 필요하다. 오감체험은 학습자의 전두엽을 활성화해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게 되므로 창의성 교육에 효과가 있으며(김영훈, 2015), 최근 선행 연구 결과, 오감체험을 활용한 수업 활동들이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오감체험을 활용하여 미술 감상 활동을 설계하고 실제 적용함으로써 초등학교 저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창의적 표현력과 오감체험에 대해 고찰하고 초등학교 미술 감상 활동에 오감체험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통한 창의적 표현력의 향상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오감체험을 활용한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 감상 활동을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서울시에 위치한 S 초등학교의 1-2학년 돌봄 교실 2개 학급의 18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7명으로 나누어 2018년 4월 4일부터 4월 25일까지 총 8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창의성향과 미술경험 및 흥미에 대해 동질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설계한 미술 감상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윤성연(2013)의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를 참고해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직 미술교사 2인과 연구자 본인의 총 3인이 수업 결과물을 평가한 뒤, 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 ‧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위해 카이제곱검정(χ2 test)과 Fisher의 정확한 검정(Fisher’s exact test)을 하였으며, 평정자 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급내상관계수(ICC)를 산출하였고, 집단 간 창의적 표현력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교사 인터뷰를 질적 분석하여 연구의 효과와 교육적 의의 및 논의 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감체험을 활용한 미술 감상 활동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의 전체적인 창의적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 표현력의 하위영역에서는 ‘상상과 관찰’영역과 ‘조형요소’영역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오감체험을 활용한 미술 감상 활동이 ‘상’, ‘중’, ‘하’의 모든 성취수준의 학습자에게 창의적 표현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실기결과물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셋째, 오감체험을 활용한 미술 감상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교육적 필요에 적합하며, 아동의 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적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담당교사의 인터뷰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넷째, 미술 감상 활동 시의 오감 체험의 활용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의 기반이 되는 창의적 사고능력의 계발과 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분석함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감체험을 활용한 미술 감상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오감 발달의 결정기에 해당하는 아동에게 오감체험활동은 수업의 전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바 앞으로도 미술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 오감체험을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set out to design and apply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tilizing five-sense experience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tilizing five-sense experiences on the creative expression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examined creative expression and five-sense experiences,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applying five-sense experiences to art appreciation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and looked into the possibilities of improving creative expression through them. With these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s, the study design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tilizing five-sense experiences f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include 18 students from two edu-care classroom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at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of 11 and control group of seven. Total eight lessons were given to them. Three evaluators assessed the lesson outcomes with an evaluation tool for creative expression to test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Then th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SPSS Ver. 22.0 program. The χ2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conducted to test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for analysis.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was obtained to measure reliability among the evaluators. Independent-sample t-test was also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in creative expression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practice outcome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tilizing five-sense experience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overall creative expression of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had special effects on "imagination and observation" and "formative elements," which were subareas of creative expression. Second,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of practice outcomes show that th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tilizing five-sense experiences were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creative expression of students 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achievement level.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in charge reveal that th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tilizing five-sense experiences were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al needs of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could have positive impacts on children's greater interest in lessons and improved creative expression.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 indicate that th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tilizing five-sense experienc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and facilitation of creative thinking abilities that were a basis of creative expression in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tilizing five-sense experienc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reative expression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Since five-sense experiences are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ll the areas of lessons for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at is decisive for the development of five senses, there should be efforts to develop and investigate lesson programs based on five-sense experiences across various domains of ar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