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남북한 중학교 미술교육 통합방안연구

Title
남북한 중학교 미술교육 통합방안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asures to incorporate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of South and North Korea : focusing on comparison of art education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Authors
김연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Despite the era which was not possible to relax the tensed atmosphere continued until last year, a mild feeling have begun to blow in 70 years after the division, as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began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se trends, the education system will also have to cope effectively with the future. The most noteworthy of these is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in North and South Korea. Education i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and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new Korean peninsula through education integration particularly at this time, which may be confusing. In the era of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rt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erms of restoring the homogeneity of the people and raising community conscious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comparative analysis of art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in middle schools in North and South Korea. With regard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was examin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of North and South Korea. As for the cases, the study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ion as a combination of transplant integration, injection integration, and phase integration. Furthermore, it compare the art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analyzed the art textbooks in middle schools in North and South Kore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goals, and while South Korea puts emphasis on art textbooks in creative and free expression through textbook analysis, North Korea showed the critical difference that focused on basic and realistic imita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As a matter of fact, the conclusions obtained by interviewing two defectors and one lecturer who taught them in North Korea were as follows: Students who are North Korean defectors had difficulties in the art classes of South Korea, which emphasize the creative process rather than the art class that merely imitate and reproduce particular subject realistically. Nonetheless, the fact that it was the art education necessary for stability and self-esteem of defectors students who found difficulties in linguistic expression and had psychological anxiety. was verified as well. Consequently, the study was able to figure out the macroscopic direction of the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by requesting a written interview from the Professor of North Korean Studies and the experts in education of Ministry of Unification.  Analysis middle school art education curriculum of North and South Korea, interview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finally interviews with experts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art curriculum of both middle schools in North and South Korea presents 'creative and convergent human beings' in common. In the near future, 'creative and convergent human beings' would be important keyword raising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of art curriculum between North and South. Second, the study confirmed the art textbooks of South Korea of which contents lean toward foreign works and the closed nature of art textbooks of North Korea. It proposed the necessity to expand the education on traditional arts which are shared by North and South Korea in order to derive the middle point between North Korean art education which excludes Western art and South Korea's text book which is devoted to Western art education. In order to integrate edu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arts curriculum along with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should also emphasize the aspect of cultivating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covering homogeneity through understanding of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traditional arts. Third, North Korean defecto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creative thinking and diverse expression when engaging in South Korean art classes. The study of North Korean defectors will serve as a good material for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North Korean students' difficulties in South Korean education after reunifi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for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eaching a defector as a preparation for unification and to examine its relevance. For this purpose, it is prerequisite to operate school that can prepare fo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by utilizing a school of North Korean defectors which have accumulated expert guidance on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future,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ill continue, and the education field will also continue, raising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two Korea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지난해까지만 해도 긴장의 분위기를 늦출 수 없었던 한반도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교류가 시작되면서 분단70여 년 만에 따뜻한 훈풍이 불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류에 따라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해 나가야 하는 교육계 역시 변화의 바람을 맞이하고 있으며 빠르게 폭발하는 시대적 요구를 수용함으로써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효율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 중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남북한의 교육통합이다. 교육은 나라의 기틀을 이루는 근간으로, 자칫 혼란스러울 수 있는 이 시기에 교육통합을 통해 새로운 한반도의 기틀을 다져야 한다. 남북한 통일시대에서 미술교육은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공동체 의식 함양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 비교 분석과 남북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비교분석을 해보고 남북한 미술과 통합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북한과 남한의 교육과정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남북과 비슷한 상황에서 교육통합을 단행한 교육통합사례들을 살펴 보았다.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남북한의 교육과정에 대한 차이점을 확인하였으며, 선례로 제시한 사례는 이식형 통합, 주입식 통합, 단계별 통합으로 통합의 성격을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후 남북한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남북한 중학교 미술교과서를 비교분석했으며 그 결과로는 정치적 체제의 차이로 인한 교육목표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남한은 창의적이며 자유로운 표현에 미술교과서의 중점을 두었다면 북한은 기초적이고 사실적인 모방에 집중한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탈북학생의 면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실제 북한에서 수업을 경험한 탈북학생 2명과 이들을 가르친 강사 1명, 총 3명을 면담하여 얻은 결론으로는 특정한 대상을 사실적으로 모방하고 재현하는 미술 수업이 아닌 창의적인 발상과정을 중시하는 남한의 미술 수업에서 탈북 학생들은 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리적 불안과 언어적 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탈북학생들에게 안정과 자존감을 위해 필요한 과목 역시 미술교육으로 확인되었다. 이후, 북한학과 교수와 통일부 교육 전문가에게 서면 인터뷰를 요청해 남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통합에 있어 거시적인 방향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남북한 중학교 미술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과 탈북자 면담, 마지막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간’을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남북한 미술교육과정 통합에 있어서 ‘창의·융합형 인간’은 매우 중요한 키워드로 이를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목표의 재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외국 작품에 치우친 남한의 미술교과서와 폐쇄적인 북한의 미술교과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통합하기 위해 전통미술에 대한 비중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이는 서구 미술교육에 치우친 서구미술을 아예 배제한 북한 미술교육의 중간지점을 찾기 위해 남북한이 공유하고 있는 전통미술에 대한 교육을 확대할 것을 제언한다. 남북한 교육통합을 위해 사회과, 도덕과와 더불어 미술교과 역시 전통미술을 통한 남북한 역사의 이해를 통해 공동체 의식 함양과 민족의 동질성 회복이라는 측면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셋째, 탈북학생들은 남한의 미술수업에서 창의적인 발상과 다양한 표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탈북학생들의 연구는 통일 후, 북한 학생들이 남한 교육에서 겪는 어려움을 미리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따라서 통일 준비로서 탈북학생 지도 경험을 토대로 한 연구를 바탕으로 탈북학생용 교과서를 개발하고, 그 적실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탈북학생에 대한 전문적 지도 경험을 축적하고 있는 탈북학생 밀집학교를 활용하여 남북통일을 준비하는 학교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남북한의 교류 협력이 지속될 것이고 교육현장 역시 변화에 발맞춰 남북한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