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희-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39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3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9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94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868-
dc.description.abstract현 사회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시작되어 기술 공학의 발전이 최우선의 가치가 되었다. 수학은 시대 상황과 사회·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어 과학 기술 산업의 발달로 급속한 변화가 일어나는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지식을 단순히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주도적으로 지적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교육부(2015)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PISA와 TIMSS의 평가 결과를 보면 수학 성취도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이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지만 정의적 태도로 자신감과 흥미, 가치인식은 참여국 중 최하위권에 속한다. 정의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실제적인 문제 상황을 제시하여 학습자 맞춤형 수학 교육 또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통합·융합적인 지식의 활용이 요구되어 수학의 가치인식이 높아 질 수 있는 비구조화 상황에서 적용되고 도움 될 수 있는 수학을 가르쳐야 한다. 그 중 수학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깨닫게 하고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 상황을 수학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분석하는 사회정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외에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대한 연구가 되고 있지만 국내의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고 실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대한 주제를 확대시켜보려 한다. 사회는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좀 더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실제적인 주제를 제안하는 것이 의미 있을 것이다. 이러한 주제들이 교사와 학생의 매개체라고 할 수 있는 교과서에 어떻게, 얼마나 나타나있는지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사회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또,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대한 주제를 교과서에서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해결을 위한 방안이 적절하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다양성이 존재하는 사회에서 학생들이 비판적인 시각으로 현 사회의 문제점을 바라볼 수 있도록 교과서가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사회 정의가 어떻게,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가? 연구문제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사회 정의에 대한 서술 방식이 어떻게, 얼마나 나타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해 발행된 중·고등학교 검·인정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전 영역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주제를 사회적 이슈, 경제 교육, 민주 교육, 인성 교육, 인본주의적 교육으로 분류하고 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기하, 확률과 통계로 영역별로도 살펴보았다. 그 후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주제별 서술 방식을 단순 언급, 개념 및 일반화, 실태, 원인, 개선 방안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문제 1의 결과는 수업 주제별로 살펴보면 중학교에서는 사회적 이슈 주제에 대한 문항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고등학교에서는 경제 교육 주제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중학교에서는 인성 교육, 고등학교에서는 인본주의 교육 주제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영역별로 비교해 봤을 때 중학교는 확률과 통계, 수와 연산, 함수, 문자와 식 순으로 나타났고 고등학교는 문자와 식, 함수, 기하, 확률과 통계, 수와 연산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의 결과는 중학교에서는 개념 및 일반화 서술 방식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고등학교에서는 단순 언급 서술 방식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중학교는 원인, 고등학교는 개선 방안 서술 방식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의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주제와 그 서술 방식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 번째,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나타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주제의 문항 수가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나타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주제의 문항 수 보다 2배 이상 많다. 두 번째,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주제의 경우 비중의 차이가 있으나 전 영역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의 경우는 언급되지 않은 사회적 소재가 많다. 세 번째,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주제를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확률과 통계, 수와 연산, 함수, 문자와 식 순으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의 경우는 문자와 식, 함수, 기하, 확률과 통계, 수와 연산 순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는 사회적 이슈 주제가 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 개념 및 일반화 서술 방식으로 이를 제시하고 있다. 사회적 소재로 환경오염, 공정한 분배를 많이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에게 친숙한 소재로 사회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올바른 가치관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하다. 다섯 번째,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는 주로 경제 교육 주제에 대한 문항이고 단순 언급 서술 방식으로 이를 활용하고 있다. 사회적 소재로 최적화를 많이 살펴 볼 수 있었다. 이 역시 단순 언급 서술 방식으로 소재로만 사용되지 말고 실태, 원인, 개선 방안까지 고려해 볼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많은 기술, 공학이 발전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수학은 시대 상황과 사회·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어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자기 주도적으로 지적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실제적이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통합·융합적인 지식의 활용이 요구되어 수학의 가치인식이 높아 질 수 있는 수학을 가르쳐야 한다.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 상황을 수학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분석하는 사회정의 주제들을 통하여 수학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깨닫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교과서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이를 더 연구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후속 연구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수학 교과서가 중·고등학교 1학년만 출간되어 분석을 시행하였지만, 전 학년에서 분석도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기하’, ‘확률과 통계’, ‘미적분’등 영역별로도 분석을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정의에 관한 수학교육 주제들을 제안하였지만 누락된 주제가 있을 수 있고, 사회는 계속 변화하므로 추가적인 주제들이 계속 나타날 것이다. 후속 연구를 통해 추가, 보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과서뿐만 아니라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교사 지원 등이 더해진다면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이 실제 현장에서 더욱 활발히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Mat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ern society. Students should be taught math that can be applied and helpful in unstructured situations by presenting familiar and practical problem situations. Among them, there is a social justice that reminds people of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mathematics and that thinks critically of various social problems through mathematics. We will analyze how and how much topics are presented in textbooks. Also, we will look at how the topic of math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is described in textbooks and see if solutions for solution are properly presented.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much and how much social justice is reflected in math textbooks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and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Research Question 2. How and how much is the description of social justice shown in the math textbook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and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results of research question 1 were the most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social issues in middle school and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topics of economic education in high school. By area, middle schools were shown in order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number and arithmetic, function, character and expression, while high schools were given letters and expressions, function, geometry, probability and statistics, number and arithmetic. The results of study 2 were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concepts and generalized descriptions in middle schools, and the most frequently cited descriptions in high schools.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ave the least number of descriptions of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question 1 and research question 2, a large number of questions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emerg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covering all areas. That's not the case in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opics for social justice in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presented in order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number and arithmetic, function, letter and expression,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given letters, expressions, functions, geometry,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arithmetic. In middle school textbooks, social issues are mainly mentioned, and among them they are presented in a conceptual and generalized narrative. High schools are mainly a question of economic education and are using it as a simple reference. A map is needed so that the current situation, cause and improvement can be considered. The suggestion of this research is not actively used in textbooks or actual classroom, but I hope that it will be used actively by studying it further. An analysis is needed in the previous school year in relation to further study. In addition, there may be missing topics that have been proposed to teach mathematics about social justice, and as society continues to change, additional topics will continue to emerge. Additional and supplementary work is required through further study. Finally, if teachers' education and teacher support are added not only to textbooks but also to social justice, math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can be used more actively in real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사회정의 5 B. 비판적 수학 교육 9 C.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13 D.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목표 및 주제 16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23 A. 분석 대상 23 B. 분석틀 26 Ⅳ. 연구 결과 63 Ⅴ. 결론 및 제언 76 A. 결론 및 요약 76 B. 제언 78 참고문헌 80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384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대한 교과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extbook Analysis of Contents of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in the Curriculum of 2015-
dc.creator.othernameLee, Eun ju-
dc.format.pageix,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