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7 Download: 0

표현론적 관점에서의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Title
표현론적 관점에서의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hod of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in the viewpoint of expression theory : Focused on the aspect of reception and production by the types of speaker
Authors
이빛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중심의 형식적인 문학교육에서 벗어나 ‘작가-작품-독자’의 소통 관계를 바탕으로 작가의 창조와 제작 정신을 고려하여 작품을 이해하는 표현론적 관점에서의 시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작가의 표현 의도와 효과를 주체적으로 파악하고 활용하는 수용과 생산의 활동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의 시 교육은 지식과 암기 위주의 학문중심 교육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창작의 주체인 시인의 관점 또한 고려되지 못하고 작품 구조에 포함된 요소 정도로만 이해되어져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표현론적 관점에서 시인과 화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현대시 작품의 수용과 생산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Ⅱ장에서는 표현론적 관점의 전반적인 이해와 작품 수용의 구체화를 위해 문학관에서 확인되는 표현론의 개념과 흐름을 확인한 뒤, 문학 교육에서의 교육적 연관성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시인의 표현 의도에 따른 화자 설정의 양상과 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교과서 현대시 작품에 적용될 수 있는 화자의 유형으로 구체화하여 설정하였다. 화자의 유형은 시인과 화자의 관계에 따라 시인과 화자를 동일시하지 않는 유형과 동일시하는 유형으로 구분하는 일반적인 관점을 활용하여 설정하였으며, 이와 같은 관점에 포괄되지 않고 사회 집단적 특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화자의 유형을 추가로 설정하여 ‘허구적 화자’, ‘자전적 화자’, ‘사회적 화자’등 세 층위의 화자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설정한 화자의 유형과 효과를 바탕으로 2011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시 작품과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표현론적 관점에서 시인의 표현 의도에 따른 화자 유형의 설정과 효과 및 학습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1종 『문학』 교과서에서 확인되는 화자 유형별 현대시 작품의 수는 총 25편으로 세 층위의 화자 유형 중 자전적 화자의 유형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 있었으며, 자전적 화자와 사회적 화자의 경우 학습활동에서 작품과 연관된 시인의 생애와 시대적·사회적 배경을 제시하여 작품의 이해를 높이고 있었으나, 시인의 창작과 표현의 의도 및 화자 설정에 따른 효과는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교과서에서의 화자 유형별 설정의 양상은 중·고등학생이 창작한 작품에서도 적용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작가의 표현 의도에 따른 화자 유형 설정이 학생들의 작품 생산 활동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중·고등학생이 창작한 시 작품에서 화자 유형별 설정의 사례 분석과 Ⅱ장과 Ⅲ장에서 논의한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화자의 유형에 기반한 표현론적 관점의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으며, 학교 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수용과 생산 교육 방안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현재 시 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방법적인 교육 내용 고찰의 목적으로 창작의 주체를 고려한 표현론적 관점에서의 시 교육을 통해 작가와 독자가 소통하는 바람직한 시 교육을 모색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문학 작품을 매개로 작가와 독자가 소통하며 수용과 생산의 활동을 이어나가는 구체화된 논의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ctivity method of reception and production by which learners subjectively grasp and utilize author’s expression intent and effect through poetry education in the viewpoint of expression theory in which they understand works in consideration of author’s creation and production spirit on the basis of communication relation among ‘author-work-reader’ getting out of formal literary education concentrating in text. Thus far, poetry education has been spread as academic education mainly based on knowledge and memorization. Even the viewpoint of poet, the entity of creation was not considered, but merely understood as an element included in work structure. Hence,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pedagogic method of accepting and producing modern poetry works mainly on the basis of relation between poet and speaker in the viewpoint of expression theory. For this study, the educational correlation and significance in literary education was presented in Chapter II after confirming the concept and flow of expression theory checked in literary opinion for overall comprehension of viewpoint in expression theory and embodiment of work reception. Further, the aspect of setting up speaker in accordance with poet's expression intent and its effect was analyzed to embody and set it up in the type of speaker applicable to modern poetry works in the textbook. The type of speaker is set up by utilizing general viewpoint where poet and speaker are not identified and they are identified depending on relation between poet and speaker. The types of speakers which are not covered by such viewpoint, but strongly exposes social group property are additionally set up and types of 3 classes of speakers, namely, fictional speaker, autobiographical speaker and social speaker are presented. Based on the type and effect of speaker set up in Chapter Ⅱ, I tried to analyze modern poetry works and learning activity of 『Literature』 high school textbook of Korean curriculum amended in 2011 in order to grasp effect of setting up types of speaker and learning aspect depending on poet's expression intent in the viewpoint of expression theory in Chapter Ⅲ. The total number of modern poetry works for each type of speaker confirmed in 11 kinds of 『Literature』 textbook is 25, which mostly reflect the type of autobiographical speaker out of 3 classes of speakers. In the case of autobiographical speaker and social speaker, works are better understood by presenting poet's life and time/social background related to work in learning activity. However, the intent of poet's creation and expression and the effect of setting up speaker is not presented. The aspect of setting up for each type of speaker in textbook can be also applied to the works crea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which I can confirm that the type of speaker set in accordance with authors' expression intent is identically applied to students' work production activity. Wholly generalizing the case analysis of sett up for each type of speaker in poetry works crea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outcome of discussion in Chapter Ⅱ and Chapter Ⅲ, I designed education content in viewpoint of expression based on the type of speaker and tried to conceive pedagogic method of reception and produc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eaching poetry in the school in Chapter Ⅳ.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search desirable poetry education where authors and readers communicate through poetry education in viewpoint of expression theory which considers the entity of creation for investigating methodological education contents supplementing the limit of present poetry education. I expect that this study be expanded toward specific discussion where authors and readers communicate and continue the activity of reception and production through media, literary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