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4 Download: 0

다문화 정체성 함양을 위한 현대 소설 교육 연구

Title
다문화 정체성 함양을 위한 현대 소설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for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Identity
Authors
이수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are currently implemented through textbooks and to find ways to overcome them. The present multicultural education is serious in division, separation and hierarchy, b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tself cannot be abandoned. Thus, this researcher tries to propo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multicultural identity that mutually connects immigrant and former inhabitant, instead of treating immigrant as an exception. In chapter Ⅱ, theoretical premise of novel education for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identity will be examined. There has been criticism of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ism. There has been a demand that multiculturalism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respect of various cultures, and modify the view itself which looking the culture as essential and static. The conceptual change of culture interpretation and identity gave strength to this argument. Multiculturalism has a complex context. In the aspect of novel education, through presenting multicultural identity, it highlights the dynamic part of culture. It takes the multilayeredness, relativity, and contextuality as the detailed elements. In chapter Ⅲ, aspect of multicultural novel education in literature textbooks will be examined. It is analyzed which were divided into the character representation of the texts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The culture of multicultural characters is expressed by exotic mysteries such as natural products. Emphasizing the image of the new marginalized class by emphasizing difficulties. As a person to live in our society, their ideal minority image is highlighted. As a matter of learning activities, the separation between multicultural characters and learners and emotional paternalism were based on. The gaze that views multiculturalism as their problem strengthens the dispensational attitude and hierarchy, and the emotional paternalism makes minimize the question in multiculturalism as the only problem of the learner's personal goodness. In chapter Ⅳ, the content of novel education for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identity is summarized. The multilayeredness, relativity, and contextuality presented as multicultural identity, were extended to understanding various levels of multicultural characters, introspection of the relative character of multiculturalism, and acquisition of critical participational consciousness. And a specific novel was mentioned as an example. The 「Happy New Year, Everyone」 of Yeon-soo Kim, the 「Forever, Summer」 of Ei-hyun Jung, the 「Curtain」 of Sung-ran Seo, are suitable for use in the aspect of multicultural identity education. By presenting multicultural identity, this study tried to lead the rethinking the fixed idea of culture and identity and make the place to consider our present. Multiculturalism is a problem to solve and an opportunity to look back at the its foundation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expect that looking again the fixed idea about culture and identity in a fluid way, and through the multicultural identity, expand the deepening of understanding about me and world, and other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행되는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을 교과서를 통해 살피고 극복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지금의 다문화 교육이 이주민과 선주민의 구분을 강화하고 위계화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렇다고 다문화 교육 자체를 중단할 수는 없다. 이주민을 예외 취급하는 것이 아닌, 이주민과 선주민을 공통으로 엮는 다문화 정체성을 통한 다문화 교육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다문화 정체성 함양을 위한 소설 교육의 이론적 전제를 살펴보았다. 다문화주의 실행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다문화주의가 다양한 문화의 존중에 그쳐서는 안 되며 문화를 본질화하고 정태적으로 보는 시각까지도 수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생겨났다. 문화 해석과 정체성에 대한 개념 변화는 이러한 주장에 힘을 실어주었다. 다문화주의에는 복잡한 맥락이 존재한다. 소설 교육의 측면에서 다문화 정체성을 제시하여 문화의 역동적인 부분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다층성, 상대성, 맥락성을 세부 요소로 삼았다. Ⅲ장에서는 문학 교과서의 다문화 소설 교육 양상을 알아보았다. 교과서에 수록된 텍스트의 인물 재현과 학습 활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문화 인물의 문화는 자연물 등의 이국적인 신비함으로 표현된다. 어려움을 강조하여 신소외계층의 이미지를 강조해왔다. 우리 사회에 함께 살아갈 인물로서 이상적 소수자의 모습을 부각하기도 하였다. 학습 활동의 문제로는 다문화 인물과 학습자의 분리와 정서적 온정주의가 나타났다. 다문화를 그들의 문제로 바라보는 시선은 시혜적 태도와 위계를 강화하며 정서적 온정주의는 다문화주의에 담긴 질문을 학습자의 개인적 선량함의 문제만으로 축소하였다. Ⅳ장에서는 다문화 정체성 함양을 위한 소설 교육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다문화 정체성으로 제시한 다층성, 상대성, 맥락성을 각각 다문화 인물의 다양한 층위 이해, 다문화의 상대적 성격 성찰, 세계에 대한 비판적 참여 의식 획득으로 확장하여 구체적인 소설을 예시로 들었다. 김연수의 「모두에게 복된 새해」, 정이현의 「영영, 여름」, 서성란의 「막」은 다문화 정체성 교육의 측면에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본 연구는 다문화 정체성을 제시하여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고정된 관념을 다시 사고하도록 이끌고 우리의 현재를 고찰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다문화는 해결해야 할 문제이면서 토대를 돌아보는 기회이기도 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획일화된 사고를 유동적으로 살펴보고, 다문화 정체성의 관점에서 다문화주의를 재고찰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