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5 Download: 0

이미지 기반 SNS에 나타난 애슬레저 룩의 패션감성 연구

Title
이미지 기반 SNS에 나타난 애슬레저 룩의 패션감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shion Sensibility of Athleisure Look in Image-Based SNS
Authors
권수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민정
Abstract
Modern people's pursuit of a healthier life has brought change in life styles through exercise and along with these changes in daily life styles, athleisure look, a combination of everyday clothes and sportswear such as yoga pants or bra tops, has rapidly spread through sharing on image-based SNS. Since users create and modify images to express their image, sensibility, life styles, etc., fashion related images shown in image-based SN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grasping the micro-needs with regard to the sensibility of the consumers. Especially the consuming behaviour formed around the sensibility of modern people are becoming more noticeable an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mage-based 3rd generation SNS is growing in the sensible and aesthetic industry of fash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about the fashion sensibility shown in image-based SNS where the consumers actually share and create the images, and to apply a method to supplement existing studies on fashion sensibility. In order to do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design factors that influence fashion sensibility and preference perceived by the consumers centering around athleisure look which has become as a mega trend, and to derive the results of analyzing fashion sensibility as an index to be utilized in actual sensibility designing processes. Study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fashion sensibility as well as image-based SNS and athleisure look. Through the empirical study, a total of 593 frontal clothes-wearing images were collected from Pinterest and Instagram in order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athleisure look. The images were categorized by type of athleisure look using domestic and overseas fashion information websites, preceding studies, and fashion publications, the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ach athleisure type were analyzed us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fashion sensibility of athleisure look, a total of 38 sensibility terms were selected through fashion publications, preceding studies, and internet resources on athleisure look, and using these term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women in their 20s-30s who use social media.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and R statistical system. Athleisure look, which reflects interests for a healthier life, can be defined as a style not limited by time nor space and can be worn for light exercises and daily activities rather than for sports activities or functional sportswear. Existing studies on athleisure look mainly focuses on the analysis of collections or the work of designers, and so there is a need for analysis on the fashion sensibility of athleisure look shown in image-based SNS, which represents the sensibility of consumers. Various methods are being studied for analyzing the subjective sensibility of consumers. Preceding studies on fashion sensibility usually uses a bipolar scale of sensibility terms or intends to grasp the consumers’ fashion sensibility through a few factors derived from an analysis of fashion sensibility, an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found out multi-dimensional methods that can supplement the existing methods of study.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athleisure look, the categories included sporty-athleisure, a free street-style combining sportswear and casual wear, modern-athleisure, featuring high-tech sensibility which is minimal, urban, and practical, high-end athleisure, with a fancy and luxurious as well as a flamboyant sense, retro-athleisure, which re-interprets traditional active wear through modern sensibility, and romantic-athleisure, a girly style with decorative detail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components of athleisure look through this study’s selected sensibility terms, the composing factors of athleisure look were derived into 7 terms including ‘activeness’, ‘modernity’, ‘class’, ‘femininity’, ‘liveliness’, ‘retro’, and ‘daring’. When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composing factors by the 5 types of athleisure, sporty-athleisure showed high activeness factor, modern-athleisure showed high modernity factor, high-end athleisure showed high class, femininity, and daring factors, and retro-athleisure showed high liveliness and retro factors, while romantic-athleisure showed high femininity factor. In sho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mposing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athleisure type. Thirdly,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and visualize the fashion sensibility of athleisure look, the positive aspect of the 1st principle component showed terms highly evaluated in sport-athleisure, and the negative aspect showed terms highly related to the high-end athleisure type. The positive aspect of the 2nd principle component showed terms highly evaluated in modern-athleisure, while negative aspect showed terms highly evaluated in retro-athleis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ashion sensibility of athleisure look shown in image-based SNS can be categorized into 4 main categories, and this study found that romantic-athleisure, a combination of sportism and decorative detail,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principle component that illustrates athleisure fashion sensibility. Fourthly, the results of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design factors of athleisure look with regard to preference showed that the sporty-athleisure type which can easily be utilized in daily life appeared to be the most preferable. The results of the preference analysis on design factors of the stimulative images showed that all design facto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reference, and among them, ‘style’ and ‘items’ were found to have even greater influence. Finally, the results of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reference design factors and fashion sensibility of athleisure look showed that ‘style, item, material, and detail’ with a ‘casual, daily, comfortable’ sense greatly influenced preference, and that achromatic, toned-down colors were preferred over primary, vivid color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fashion sensibility of the consumer group specified by age group from the consumer group with an overall high preference for athleisure look. As a result, the potential micro-needs of the specified consumer group were studied by deriving the fashion sensibility of the design factors preferred by each consumer group.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grasped the sensibility of athleisure look reflecting the needs of a healthy lifestyle of today’s people shown in image-based SNS, and was able to derive the potential characteristics within the sensibility evaluation data perceived by the consumers. Henc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applying a research method onto various factors of fashion images in an overall perspective. This study is expected to grasp the category criteria on the similarities and contrast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sensibility perceived by the consumers to provide various consumer sensibility information that can reflect a designing process, or even present preferred design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mers’ fashion sensi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stone for research methods that can grasp segmented consumer characteristics by applying various analysis methods in terms of subjective fashion sensibility. ;건강한 삶을 지향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는 운동을 통한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변화를 이끌어냈으며, 이러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요가 팬츠나 브라탑 등의 스포츠웨어와 일상복을 매치한 스타일인 애슬레저 룩이 이미지 기반 SNS를 통해 공유되면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미지 기반 SNS는 이용자 스스로 이미지를 생성하고 변형하면서 자신의 이미지, 감성, 라이프 스타일 등을 표현하기 때문에 이미지 기반 SNS에서 나타나는 패션 이미지는 소비자들의 감성에 따른 마이크로 니즈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현대인들의 감성 위주의 소비 행동이 두드러지고 있어, 이미지 기반 3세대 SNS는 감성적이고 미학적인 패션 산업에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기반 SNS에 나타난 패션감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기존의 패션감성에 대한 연구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메가 트렌드로 자리 잡은 애슬레저 룩을 중심으로 소비자가 인식하는 패션감성과 선호 디자인 요소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패션감성 분석 결과를 실제 감성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 활용할 수 있는 지표로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애슬레저 룩과 이미지 기반 SNS, 패션감성 평가 및 분석에 관한 문헌 고찰과 실증적 연구로 이루어졌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애슬레저 룩에 따른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핀터레스트와 인스타그램에서 전체 착장이 보이는 정면 이미지 총 593장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이미지는 국내·외 패션 전문 정보 사이트와 선행연구, 패션 전문 서적을 활용하여 애슬레저 룩의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애슬레저 유형별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애슬레저 룩의 패션감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패션 전문 서적, 선행연구 및 애슬레저 룩에 대한 인터넷 자료들을 통해 감성어휘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8개의 감성 어휘를 선정하여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적이 있는 20대-3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통계 패키지와 R statistical syste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현대인의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애슬레저 룩은 스포츠 활동을 위한 기능성 스포츠웨어가 아닌 가벼운 운동과 일상생활 등에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착용 가능한 스타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애슬레저 룩에 대한 연구는 주로 컬렉션이나 디자이너 작품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었기에 소비자 감성이 담긴 이미지 기반 SNS에 나타난 애슬레저 룩에 대한 패션감성 분석이 필요하다. 소비자의 주관적 감성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패션감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감성어휘 양극척도를 활용하거나 패션감성 분석 결과로 도출된 몇 가지 요인을 통해 소비자의 패션감성을 파악하고자 하였기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다차원적 감성분석 방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첫째, 애슬레저 룩의 유형에 대해 분석한 결과, 스포츠웨어나 캐주얼웨어와의 결합으로 자유로운 스트리트 감성의 스포티 애슬레저, 미니멀하고 도시적이며 실용적인 하이테크 감성의 모던 애슬레저, 화려하고 고급스러우며 과시적 감성의 하이엔드 애슬레저, 과거 정통 액티브웨어의 헤리티지를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한 레트로 애슬레저, 그리고 장식적 디테일을 적용한 소녀적 감성의 로맨틱 애슬레저로 분류되었다. 둘째, 감성어휘를 통한 애슬레저 룩의 이미지 구성요인을 분석한 결과, ‘활동성’, ‘현대성’, ‘품위성’, ‘여성성’, ‘쾌활성’, ‘복고성’, ‘대담성’의 7가지 요인으로 애슬레저 룩의 이미지 구성요인이 도출되었다. 5가지 애슬레저 유형에 따른 이미지 구성요인별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스포티 애슬레저 유형에서는 활동성, 모던 애슬레저 유형에서는 현대성, 하이엔드 유형에서는 품위성, 여성성, 그리고 대담성, 레트로 유형에서는 쾌활성과 복고성 , 마지막 로맨틱 유형에서는 여성성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즉, 유형에 따라 이미지 구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애슬레저 룩의 패션감성을 알아보고 이를 시각화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1 주성분의 양의 방향으로는 스포티 애슬레저 유형에서 높게 평가되는 어휘들이 부하되었으며, 음의 방향으로는 하이엔드 애슬레저 유형과 관련 높은 어휘들로 부하되었다. 제 2 주성분의 양의 방향으로는 모던 애슬레저에서 높게 평가된 어휘들이 부하되었으며, 음의 방향으로는 레트로 애슬레저 유형에서 높이 평가된 어휘들이 부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미지 기반 SNS에서 나타난 애슬레저 룩의 패션감성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스포티즘과 장식적 디테일이 결합된 로맨틱 애슬레저의 경우 제 1 차원과 제 2차원의 주성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슬레저 룩의 선호 디자인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주성분분석 결과로는, 모든 디자인 요소들이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 ‘스타일, 아이템’ 항목이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애슬레저 룩의 패션감성과 선호 디자인 요소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주성분분석 결과로는 ‘캐주얼하고 일상적인, 편안한’ 느낌의 ‘스타일, 아이템, 소재, 디테일’의 요소들이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채색 계열, 차분한 느낌의 ‘색상’을 원색적이고 비비드한 색상보다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애슬레저 룩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가 높은 소비자 그룹을 연령대로 세분화한 소비자 그룹의 패션감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소비자 그룹의 선호 디자인 요소에 대한 패션감성을 도출하여 세분화된 소비자 그룹의 잠재된 마이크로 니즈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이미지 기반 SNS에서 나타난 현대인들의 건강한 삶에 대한 요구가 반영된 애슬레저 룩의 감성 차원을 파악하였으며,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감성 평가 데이터 내 잠재되어 있는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패션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인 관점으로 연구하는 방법을 적용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소비자 감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소비자가 인식하는 패션감성에 대한 특성이나 유사·대조에 대한 분류 기준을 파악하거나, 소비자의 패션 감성에 따라 선호하는 디자인 요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 패션감성 분석에 있어 보다 다양한 분석 방법들을 적용하여 세분화된 소비자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 개발 방법에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