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강점코칭 프로그램이 일선간호관리자의 긍정심리자본, 코칭리더십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

Title
강점코칭 프로그램이 일선간호관리자의 긍정심리자본, 코칭리더십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a Strength Coaching Program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Front-line Nursing Managers
Authors
이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영
Abstract
일선간호관리자는 단위관리자로서 간호인력관리와 간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선간호관리자는 자신과 간호사에 대해 긍정적인 신념과 태도를 지녀야 하고 간호사가 지닌 역량을 개발하고 성장시키는 간호관리자로서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최근 코간호사를 대상으로 코칭을 적용하는 코칭리더십이 대두되고 있고, 특히 개인의 행복과 직장에서의 적응 및 조직성과에 효과가 있다고 입증이 된 긍정심리기반의 강점을 활용한 코칭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국내 간호현장에서는 일선간호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강점코칭의 중재가 시도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점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일선간호관리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강점코칭 프로그램은 교수설계모형 중 ADDIE 모형 체제설계 절차에 따라 긍정심리와 강점을 이해하고 이를 코칭에 접목한 코칭리더십을 적용하는 것을 내용으로 구성하여 전문코치의 검증을 통해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두 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일선간호관리자로 실험군 12명, 대조군 13명 총 25명이었다. 프로그램은 2017년 11월 13일부터 12월 18일까지 6주 동안 시행되었으며, 실험군은 강점코칭 프로그램을 2시간씩, 주 1회 제공받았다. 대조군은 설험군의 중재가 끝난 2주 후 강점코칭에 대한 강의를 2시간 제공하였다. 자료 수집은 사전과 사후, 추후(4주 후)에 시행되었으며, 긍정심리자본 척도, 코칭리더십 척도, 조직몰입 척도를 통해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 변수에 있어 시간경과에 따른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차이를 Repeated Measured ANOVA로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강점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긍정심리자본이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F=1.06, p=.364). 가설 2: ‘강점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코칭리더십이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F=0.50, p=.611). 가설 3: ‘강점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조직몰입이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F=1.21, p=.318).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의 강점코칭 프로그램은 일선간호관리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코칭리더십 및 조직몰입의 증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점코칭 프로그램 개발 시 대상자 요구도 조사를 통한 선정, 초기 코칭에 대한 집중교육, 코칭 질문목록의 사전제공, 그룹코칭과 일대일 코칭의 접목, 내부 코치와 대상자와의 신뢰관계 강화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추후연구에서 그룹 당 적정 인원을 고려하고 코칭리더십 역량 습득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며 근무 시간 내에 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도록 반영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trength coaching program for Front-line Nursing Managers. This study developed a strength coaching program for Front-line Nursing Manage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strength coaching program comprised six educational sessions involving understanding of strength and coaching and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self-reflective, collaborative, and practical processes within the group, related to coaching. The study involved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the strength coaching program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A total of 25 subjects comprised the experimental (n=12) and control (n=13) groups and the changes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ront-line Nursing Managers after the strength coaching program were investigated.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November 12 to December 18, 2017 in two general hospita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using SAS 9.4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1.06, p=.364), coaching leadership (F=0.50, p=.61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1.21, p=.318) than the control group. The strength coaching program in this study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Front-line Nursing Manager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developing a strength coaching program, there is a need for an initial intensive training for strength and coaching, a gradual approach combining group and one-on-one coaching, adequate program time, individual feedback, and an adequate number of people per group. Nevertheless, in the field of nursing, this study was meaning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combine coaching with values in action (VIA)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nd it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appraise the results through repeated research after revising the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