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Plastic Plant’

Title
‘Plastic Plant’
Other Titles
‘Plastic Plant’ : The Ego of the Modern People Empathized to Plants and Trees of the City
Authors
최은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현대인은 도시의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생활방식뿐 아니라 내재한 의식구조와 가치관까지도 변화시켜왔다.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현대사회의 지나친 효율성 추구는 인간을 역으로 그 자신의 창조물인 기술이나 사회조직에 종속시켜 버렸다. 그리하여 인간은 더 이상 주체가 아니라 하나의 객체로 전락하여 극단적으로는 인간성마저 상실되어가는 ‘사물화’ 현상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사고방식의 획일화와 개성의 상실을 야기하였고, 개인으로서의 인간은 대중을 구성하는 한 개체에 불과한 존재로 전락함으로써 인간의 ‘소외’가 발생한 것이다. 이렇게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현대사회의 모순들과 인간소외에 따른 현대인의 불안한 심리 현상은 자아정체성의 발견과 인간의 가치에 대한 물음을 제시하며 예술을 포함한 철학과 사회학 등 여러 분야에서 주요 주제로 탐구되어 왔다. 연구자 또한 이러한 맥락 아래서 현대도시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일상적 삶과 모습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을 예술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구획된 도시 공간 속 지정된 공간에 배치되는 수목(樹木)을 소재로 은유를 통해 이러한 사회 현상을 상징적으로 표출하고자 했다. 연구자의 작업에서 도시의 획일화된 공간과 시스템으로 패턴화된 현대인의 생활방식의 심각성을 고조시키기 위해 사용한 은유적 장치는 도식화된 수목 이미지 ‘Plastic Plant’이다. ‘Plastic Plant’ 이미지는 인공수목(artificial plant)의 ‘인공성’을 강조하기 위해 ‘인공’을 ‘플라스틱’으로 치환하여 표현한 것이다. 인위성이 강조된 ‘Plastic Plant’는 도시의 생존 경쟁 속에서 살아가는 연구자 본인의 초상이자, 현대 도시인의 초상으로 자기 형태화된 연구자 작품의 상징적 ‘캐릭터’가 된다. 현대 도시 문명에서의 ‘비인간화’와 ‘사물화’ 등에 따른 연구자의 부정적 인식은 연구자가 작업을 이어나가는 과정에서 ‘나와 사회와의 관계’와 ‘나와 타자와의 관계’에서 도출되는 새로운 의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인간은 도시 속에서 성장하면서 생활 방식과 정신적인 성숙 과정을 함께 겪으며 가치체계를 내재화한다. 그리고 좀 더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사고를 하며 성장하게 된다. 현대인은 ‘현실’이라는 주어진 상황 속에서 주인공이 되지 못한 자괴감에만 빠져 있는 것이 아니라 공통의 엑스트라(extra) 역할에서 벗어나 스스로 삶의 과정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하며 그것의 결과를 반성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 연구자 작품의 상징이라고 볼 수 있는 ‘Plastic Plant'를 어떻게 해석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형식과 내용적인 측면에서 적용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반복되는 일상으로 인해 주체성을 잃고 정형화된 현대인의 모습을 ‘Plastic Plant’라는 도상으로 드러내는 한편, 도시 안에서 적응하고 발전하는 사람들의 변화상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처음 ‘Plastic Plant’에 대한 연구자의 시선은 자신의 삶을 수동적 입장으로 살아가는, 혹은 살아져 가고 있는 삶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기 위함이었지만, 작업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잘 다듬어진 수목들이 도시에 들어가게 되고, 그 안에서 난관에 부딪혀도 나름대로 적응력을 보여주며 조화롭게 살아가는 것과 같이, 도시의 사람들 또한 새로운 상황과 사건들을 경험하며 발전하고 성장하고 있음을 깨닫고, 그 안에서 ‘익명의 개인’이 아니라 ‘유일성을 지닌 개인’의 가치를 발견하기를 시도하고자 하였다.;Modern people have changed not only their lifestyle but also their inherent consciousness structure and values in order to survive in the city's survival competition. The pursuit of excessive efficiency in the modern society which started to develop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subordinated humans inversely to their own creation, technology or social organization. Thus, human beings are no longer subject, but they had fallen into a single object. At the extreme, it caused the phenomenon of ‘reification’ which even lost humanity. This phenomenon led to uniformity of the way of thinking and loss of personality, and human being as an individual had fallen into being an entity that constitutes the mass, and ‘alienation’ of human has arisen. Like this,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society surrounding human beings and the anxious psychological phenomenon of contemporary people due to human alienation were presented the discovery of self-identity and the question of human worth. And it has been explored as a major theme in many fields such as philosophy, sociology, and art.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was also interested in the daily life and form of the people living in modern cities and tried to express it as art. The researcher sought to express this social phenomenon symbolically through metaphor, based on the trees placed in a designated space in the compartmented urban space. In the art work of the researcher, used metaphorical device to raise the seriousness of the modern lifestyle which patterned as the standardized space and system of city is the schematized plant image, the ‘Plastic Plant’. The image of ‘Plastic Plant’ is expressed by replacing ‘artificial’ with ‘plastic’ to emphasize ‘artificialness’ of artificial plant. The ‘Plastic Plant’, which emphasizes artificiality, becomes the own portrait of the researcher who lives in the city's survival competition, and the symbolic ‘character’ of the researcher's art work which is self-formed as the portrait of the modern urban person. In the process of the researcher's art work, the negative perceptions of a researcher due to ‘dehumanization’ and ‘reification’ in urban civilization led to the interest about new meaning which had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socie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the other’. The humans growing in the city, they experience the lifestyle and mental maturation process together, and internalize the value system. And they grow up with a more pluralistic and complex way of thinking. Because, the modern people are not only in a sense of shame that is not the main character in the given situation of ‘reality’ but they are trying to get away from the common extra role and choose the process of life for themselves, and they try to achieve the goal and reflect on their result.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out how to interpret the ‘Plastic Plant’, which is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researcher's art work, and how to apply it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The researcher wanted to reveal the reflection of modern people who lose their subjectivity due to repeated daily life and standardized. Also, researcher wanted to show the changes in people who adapt and develop in the city. At the first time, the researcher's gaze on the ‘Plastic Plant’ was to express the life metaphorically, which lives a passive position of one's life, or be lived life. However, in the process of continuing the art work, it could be realized that just as well-trimmed trees enter the city, and when they face difficulties, they show their adaptability and harmony, the people of the city are also developing and growing by experiencing new situations and events. And in there, the researcher tried to discover the value of ‘person with uniqueness’, not ‘anonymous pers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