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03 Download: 0

예술가 작업실에서 발견된 일상적 사물의 재맥락화

Title
예술가 작업실에서 발견된 일상적 사물의 재맥락화
Other Titles
Re-contextualization of Everyday Objects in Artist's Studio : Focused on My Artworks
Authors
이미솔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예술가와 그의 작업실은 이중적 정체성을 가진다. 예술가는 누구나 그러하듯이 여러 현실적 문제들을 직면하며 사회의 일원으로서 살아간다. 동시에 예술가는 일상적 삶과 거리가 먼 ‘예술작품’을 창조하는 특별한 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비슷한 맥락에서 예술가는 대체로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자신만의 공간에서 일을 하지만, 그 작업실은 예술가에게는 평범한 일상의 공간이기도 하다. 본인은 이러한 예술가의 작업실에 대한 관찰로부터 예술 창작과 연구를 시작하였다. 특히 작업실의 비예술적 사물로부터 발견한 미적 가능성을 예술작품으로 표현함으로써, 일상적 사물들의 위상을 전환하였다. 우선 본 논문은 작업실에 위치한 사물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물’을 ‘예술작품’의 대립항인 ‘도구’이자 ‘현대 소비사회의 산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일상의 사물을 예술 창작의 요소로 끌어들여 이룩한 미적 효과를 ‘사물의 재맥락화’라고 규정하고, 본인과 유사한 예술적 실천의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인 작품의 미술사적 의의를.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에서 사물들의 맥락이 전환되는 방식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물을 캔버스 내로. 배치하는 회화의 시도에 의해 작업실의 주변적 존재로서의 사물은 예술적 행위의 주요한 소재로 변모하게 된다. 본인은 사물을 재현의 소재로 다루는 그림을 그릴 뿐만 아니라, 그러한 회화적 재현을 다시 실제 사물의 표면에 모방하는 오브제 작업도 병행하였다. 이는 사물 자체가 예술작품이 되게 하는 적극적인 재맥락화의 시도이다. 이렇게 사물-회화-오브제의 상관적인 과정에서, 회화는 사물의 재현이 되며 오브제는 회화의 재현이 된다. 이러한 관계성으로 인하여 본인의 회화와 오브제 작품은. 사물을 재맥락화함과 동시에 회화의 환영성까지 드러낼 수 있다. 이렇게 본 논문은 사물을 예술의 맥락으로 옮기려는 본인의 시도가 지닌 배경, 과정, 그 미적이고 역사적인 의미를. 탐구하였다. 본인은 예술가의 평범한 일상적 사물을 기존 환경에서 분리하여 예술작품 내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예술의 정의에. 대한. 관습적인 판단을 향해 총체적인 질문을 던지고자 하였다. 이는 예술/비예술의 관계가 가치/무가치의 의미로 인식되는 기존의 대립적인 간극을 무너뜨리고자 함이다. 이로 인한 해체적인 사유는 주변적인 일상의 사물들로부터 예술적 잠재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There exist dual identities in artist oneself and one's studio. Artist, like everyone else, encounters realistic confrontations while living as an individual member of society. Simultaneously, one is recognized as an extraordinary being who creates ‘artwork' that is distant from the ordinary life. The creation generally takes place in one's own space which is inaccessible for the public; however, the personal studio is also a daily workplace for the artist. The observations made from the studio become the derivatives for artistic creations and further study for the artist. Specifically, by expressing the aesthetic potentials found in non-artistic objects in the studio as work of art, artist is re-contextualizing the significance of everyday objects. First, the following thesi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in the artist's studio. Accordingly, ‘materials' are designated as ‘tools' and ‘products of modern consumer goods', which are the opposite of ‘artwork'. Then, the aesthetic effect in which the daily objects are acquired as an element of artistic creation is defined as ‘re-contextualization of everyday objects', and such similar cases of the artistic practice are examined as follows. In this manner, the artist attempts to objectify the artistic implication of the artwork. Succeeding the aforementioned, the thesis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 context of objects is reconstructed and applied in my artwork. By positioning the objects on the canvas, objects as peripheral commodities of the studio are transformed into the central existence of the aesthetic composition. I have not only painted the objects as the means of representation, but also imitated the painted representation on the surface of the real objects again. This is an attempt to actively re-contextualize the objects into the work of art. During the correlative process of object-painting-object, painting becomes the representation of the objects and the objects become the representation of the painting. Due to such relationship, the artwork reveals the re-contextualization of objects along with the illusive tendency of the painting. Thus the thesis explores the background, process, and its aesthet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ttempt to transfer daily objects into the context of art. By re-locating the everyday objects from the prior environment to the space of the artwork, I cast an overarching question about the customary judgement on the definition of art. It is to eradicate the oppositional disparity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art/non-art is perceived as value/non-value. Consequently, the deconstructive reasoning will be the driving force to evoke artistic potential from the surrounding everyday obj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